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8-04-06 13:27
[질문] 입대 제한 연령이 낮은 이유가 뭔가요?
 글쓴이 : 윅포인트
조회 : 1,925  

입대 제한 연령을 높게 잡으면 20~30대 최절정으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군의 사람들도

특혜니 뭐니 할 것 없이 편하게 일과 입대를 선택할 수 있을텐데

굳이 입대 제한 연령을 낮게 잡는 이유가 뭘까요?

특별한 기저정신이나 이론이 깔려있는가요?(헌법적 제한?)

아니면 관리의 편의성 때문인가요?

비교적 낮은 연령층들이 통제가 편하고 나이의 스펙트럼이 좁은 것이 병들간의 위화감 감소 측면에서 장점

이 있기는 하겠지만 2년 남짓하게 인권이 크게 제한되는 군 생활의 시기조차 좁은 선택권 밖에 주지않는 다

는 것은 너무하다 생각합니다. 

통제적 측면과 위화감 문제 등은 군, 국가 자체의 노력이 바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리더십 배양이라든가 아니면 비슷한 연령대를 분류해서 배치하는 등의 노력말이죠.

다른 징병제 국가들도 입대 제한 연령이 우리나라처럼 낮은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erong 18-04-06 13:41
   
20~30대 최절정으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 중에 하나가 군인입니다.
칼리S 18-04-06 14:10
   
지금도 입대제한 연령이 짧은것도 아닌데요? 손흥민 같은 선수를 염두에 두신 분 같은데, 몇몇 스포츠 스타 때문에 병역행정을 망칠 수는 없죠.

일단 늦은 나이까지 다 연기를 해주면, 병역자원 관리가 힘들어집니다. 처음 신체검사를 할 시기에는 괜찮았던 몸이 시간이 가면 갈수록 상할 확률이 커지죠. 당장 유아인국만 봐도 미루고 미루다, 늦은 나이에 진단서 들고 입대해서 결국 면제 받잖아요.

지금도 운동선수들은 상무라든지, 올림픽, 아시안게임에서 합법적인 면제(체육요원)가 가능한 점에서 일반인보다 특혜를 주고 있습니다.
     
윅포인트 18-04-06 14:18
   
님께서는 나이가 들수록 부상 등 신체조건의 하락으로 인한 병역자원 관리 문제를 지적해주셨네요.
윅포인트 18-04-06 14:11
   
조금 더 알아봤는데 미군 모병은 18세 ~ 35세네요. 고졸 요건도 있고요. 전엔 42세였는데 낮춘거라네요. 병종에 따라 차이는 있겠죠.
     
칼리S 18-04-06 14:14
   
미국은 모병제고 우리는 징병제입니다.

비교를 할려면 우리와 비슷한 처지의 이스라엘 정도랑 비교를 해야죠.

모병은 원해서 가는거고 징병은 끌려가는거라서 애당초 징집연령제한이 다르죠.
          
윅포인트 18-04-06 14:23
   
이스라엘은 찾기 어렵네요. 좀 찾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징병제 모병제를 떠나서 병역자원 관리 문제를 지적하신 입장에서 미국의 35세 조건은 어떻게생각하시는지 알고싶어요.
               
칼리S 18-04-06 14:35
   
미국이 왜 연령을 그렇게 높게 잡았느냐가 먼저 아닐까요?

애당초 미국도 징집제한 연령을 낮게 잡고 싶지만, 지원자체가 적으니깐 어쩔수 없이 높게 잡는거죠.

기본적으로 군인은 신체팔팔한 10대후반에서 20대초반이 가장 적절하죠. 만약 미국도 대규모 전쟁이 터져서 징병제로 전환하면 다 이 연령대에서 징집하겠죠.
                    
윅포인트 18-04-06 14:37
   
죄송한데 전엔 42세 ㅠ
                         
칼리S 18-04-06 14:45
   
이해를 못하시는 분이네.

미국이 모병이 잘 되면 모병제한연령을 낮추고, 안되면 늘리는거죠. 즉 할수만 있다면, 제한연령을 낮추는게 군대내에서는 이득이죠. 미군 모병 연령 제한은 항시 변합니다. 그러나 가장 이상적인 건 낮추는거죠.

미국도 모병이 힘들면, 연령 다시 올리는 거 밖에 방법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징병제는 모병제랑 다릅니다. 그냥 최고의 상태에서 뽑아서 쓰는 겁니다. 즉 형평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죠.

근본적으로 징병제와 모병제는 다릅니다. 모병제는 말 그대로 지원이니, 좋은 자원을 쓸려면 그만큼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것이고(대우가 좋지 않으면 않을수록 모병자원들 수준이 떨어지는걸 막을 수 없겠죠?) 징병제는 최선의 자원을 형평성있게 쓰는게 관건이죠.

제가 위에서도 말했듯이 미국이 전쟁이 터져서 징병제로 전환하면, 30대보다 20대부터 징발하겠죠.
                         
윅포인트 18-04-06 20:32
   
이 밑에 글에는 댓글이 안달아지는군요.

모병의 난이에 따라 연령제한이 변한다고 하셨는데 뭐 당연한 말씀이죠. 공급이 늘면 문턱을 높이고 공급이 줄면 문턱을 낮추고.

잠깐 알아본 바 미군 특히 미 육군은 인력부족이 있다는데 위의 논리로는 공급이 줄었으니 연령제한을 올려야지 않겠습니까?
뭐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만 꼬투리를 잡아봤습니다.

징병제에서 형평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라 하셨는데
연령 제한을 높이는 것은 공평하지 않도록 소수에게 혜택을 주자는 것이 아니고 요건없이 누구나 동등하게 그 연령까지는 입대의 시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입니까?

님께서 말하는 징병제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형평성보다는 효율성인 것 같습니다.
미국이 전쟁이 터져서 징병제로 전환하면 20대를 뽑는다는 말이 30대보다 20대가 효율적이라는 것이 바탕된 것 아닙니까?

어떤 말을 하시고자하는  바는  알겠습니다.

징병제 국가별 징병대상 연령은 찾기 어렵네요.
하한선만 있고 상한선이 안보여요.
굳이 연령제한이 높은 나라를 찾아보자니 (출처 나무위키 ㅋㅋㅋㅋㅋ)
니제르는 18~49세 대상, 모잠비크는 18~35세 등등 찾아볼 수 있었네요.
익숙지 않은 나라들이고 경제적 규모, 인구, 주변 상황 등이 우리랑 많이 달라서
비교가 어렵죠.

앞에 댓글 말대로 이스라엘과 비교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도저도 18-04-06 15:40
   
과거부터 저 나이때가 사명감을 심어주기 좋은 나이라는것도 한몫합니다.
꼬끼리코 18-04-06 15:49
   
군대가 20대를 선호하는건 뭐 다 아시겠죠. 신체적이나 정신적이나 건장할뿐만 아니라 20대 후반이나 30대 처럼 각종 사회생활을 거쳐오면서 생긴 개인 문제들을 안고 입대를 할 경우도 나이가 젊을 수록 훨씬 적으니깐요.
특히나 집단생활함에 있어서 사회경험이 적은 젊은 청년들 일수록 더 빨리 적응되고 융합되는 편입니다. 사회적경험이 많을수록 님이 말한 통제적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을수도 있겠지요.


군입장에서는 이런 최적의 자원들을 기준으로 가용가능한 인구범위내에서 계산한후 나이대를 제한할건데 징병제인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청년이 입대대상자인점을 생각하면 가용가능한 인구가 모병제보단 훨씬 넉넉하니 당연히 군이 선호하는 어린나이대에 가깝게 최대한 제한하겠죠.
마구쉬자 18-04-06 17:18
   
나이가 많아지면 돌격 앞으로 했을때 안나간데요.. 그래서 중세나 세계대전 베트남전등
전세계의 모든 군대의 적정 연령대는 만16??~20세 사이라네요. 이해가죠??
혈기왕성하고.. 무식한 나이..  나이가 많아지면 목숨에 연연해서 적정 연령의 병사보다는 못하다함.
     
윅포인트 18-04-06 20:40
   
적정 연령대가 만 16세~20세라고요? 아프리카 등지에서 소년병을 많이 이용(?)한다는 안타까운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만 ㅠ
          
이도저도 18-04-06 21:38
   
2차대전때 연합군 병사들 평균연령이 18세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