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9-06 14:05
[공군] 공군 항공통제기 E-X 2차사업에 E-2D 도전장
 글쓴이 : 넷우익증오
조회 : 3,629  

공군의 E-X 2차사업이 가까운 장래에 사업화를 위한 준비에 들어갈 예정 입니다.
알려진대로 2대를 추가로 구매하는 사업으로
공군참모총장이 공개적으로 언급한 사업이기도 합니다.
기존 E-737 AEW&C 4대가 있으므로 당연히 추가 구매는 동일 기종으로 가는 것이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노스롭 그라만사가 한국 공군의 E-X 2차사업에 E-2D를 경쟁자로 내세울 예정으로 있으며
이미 공군에 E-2D 항공기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의향을 타진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들의 논리는 SLBM 등 탄도탄 추적에 특화되어있다는게 주된 내용이며 미해군이 장기간 보장,보증하는 항공기로
미공군이 사용하지 않는 E-737에 비교해 안정된 운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군의 반응은 기존 E-737을 사용하고 싶다고 반응하여 당장 E-2D에 대한 관심은 낮을 것 같습니다.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90412304331012

니프카는 호크아이(E-2D)와 같은 공중 감시 센서를 이지스함의 레이더와 연결시키기 때문에 이지스함들이 적 대함 미사일을 더 먼 거리에서 추적할 수 있도록 해준다.
E-2D는 기존 E-2C를 개량한 조기경보기로  항공모함에서 운용한다. E-2D의 레이더는 556km 이상 전방의 피아를 식별하고 레디어 탐지거리 밖 표적을 탐지분류한다. 니프카로 호크아이의 레이더와 연결된 이지스함의 레이더는 그만큼 탐지거리가 획기적으로 확장된다.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pn=1&num=87109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통팔달 16-09-06 14:33
   
e-2d는 탄도탄 추적말고도 해군 이지스함 운용에 있어서도 좋죠.
4leaf 16-09-06 14:42
   
나중에 해군이 그냥 우리가 산다 하면서 자기들이 호크아이 살 느낌
노파랑 16-09-06 15:41
   
SM-6와 연관되는 비행기 아닌가요? 괴안을 것도 같은데....
     
4leaf 16-09-06 16:10
   
지금은 개선되었을지 모르지만 예전에 검토했는데 산악지형쪽 감시가 잘 안된다고 퇴짜 맞았다던데요.
          
호랭이님 16-09-06 16:20
   
sm6가 산악지형쪽 감시가 안된다는 이야기는 금시초문입니다.
sm6는 함대함 대공 미사일인데 감시까지;;;

각설하고 일단 sm6는 제한적인 탄도탄 요격능력 정도입니다. 사거리가 400킬로미터라 사드가 감당할 부분을 어느정도 커버쳐주고 그 상부도 방어가 가능한데 이게 탄도 미사일 요격용이 아니고 주된 목적은 지상에서 날아오는 공격미사일이나 해상에서의 함대함 교전을 위해 만든 넘입니다. 물론 탄도미사일도 격추는 할 수 있으나 주된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탄도탄 방어능력은 제한된 방어능력밖에 없습니다. 쉽게 말하면 sm2의 개량형이예요.
능동형이라서 순전히 미사일을 발사한 함의 능력에 따라 미사일의 정확도가 더 갈립니다.
기존의 반 능동형같이 계속 정보를 주사할 필요가 없는 물건이예요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e2d는 대 탄도 방어미사일인 sm3 쪽과 더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사통팔달 16-09-06 17:12
   
sm-6미사일은 반능동 능동 겸용이죠.e-2d가 있으므로해서 sm-6미사일 초수평선 넘는거리 목표물도 타격이 가능해지기때문이죠.함 자체 대수상 레이더는 성능이 좋아봤자 적함이나 대함미사일 발견하는게 40km안쪽이죠.대잠헬기 함에 싣고 다니는게 대잠임무도있지만 더먼거리경보역활도있지만 헬기는 sm-6미사일 유도를 못해주니까요.
               
4leaf 16-09-06 17:21
   
E-737 들어오기전의 이야기 입니다. 말했자나요. 지금 개선되었을지 모르겠다고...
남아당자강 16-09-06 16:16
   
조기경보기면 조기경보기의 능력이 본편인데..... E-2는 그 능력이 많이 딸리지 않아요???
사통팔달 16-09-06 19:12
   
피스아이도 아직 모르는게 터키 추가발주,카타르 발주,호주 중간수명연장 개량이 있긴한데 아직 roc이 안정해져서 카타르는 탄도탄추적 호주는 cec 한다는 말이 있긴한데
우리가 원하는 기능이 있으면 피스아이 사겠죠.개량 없는데 사면 문제있죠.
나무와바람 16-09-06 19:18
   
E-2D 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보니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지네요!
힘이곧정의 16-09-06 19:53
   
추가 도입수량이 4대 이상이라면 E-2D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첨단무기 도입사업에서 "개발국이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은 작지 않은 페널티니까요.
그런 면에서 피스아이는 감점이죠. 그나마 민항기로서 보잉 737이 베스트셀러이고 우리나라의 항공사들도 중단거리 노선의 주력으로 보잉 737을 운용하고 있으니 다행이지.

그런데 이번 2차 E-X 사업의 추가 도입수량이 2대뿐이니...
     
사통팔달 16-09-06 20:22
   
최근 계약금액으로보면 카타르 피스아이 3대 21억불이고 일본 e2d 17억불 계약이죠.우리나라 피스아이2대분 예산이면 14억불 정도라치면 조금 더증액하면 4대는 사죠.카타르는 처음사용하니 정비부품 장비부터 정비교육 운용인원 교육 여러가지 돈더들어가니 좀더들죠,우리나라는 14억불 조금 덜들여도 되긴하죠.e2d는 우리가 일본보다 돈약간 더들죠,제반 시설 정비나 정비장비하고 교육도 받아야하고요,일본인 그이전모델을 운용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