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8-07 21:36
[공군] F/A-50에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따위 필요없습니다.
 글쓴이 : 집토끼
조회 : 4,584  

한국 공군에 한정해서 하는 말입니다. (수출용이라면 공대공 미사일을 RFP에서 제시하는 곳이 많으니 최소 요건이라도 수용할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만...)

F/A-50에 정말 필요하고 절실했던 개량은 스나이퍼 포드 통합입니다. 이미 진행 중이기도 합니다.

향후 80대가 배치될 F/A-50의 가장 큰 임무는 근접항공지원이며, 이 임무는 공군의 임무 중에서 가장 위험한 임무이기도 합니다. 적 지상군에게 폭탄 몇 발 떨굴려다가, 휴대용 SAM이나 방공포에 귀중한 조종사와 전투기를 손실하기 딱 좋은 임무죠.

하지만 스나이퍼 포드를 장착하는 순간...F/A-50은 그야말로 북한 지상군에게는 사신같은 존재가 됩니다.
스나이퍼 포드를 장착한 F/A-50은 주/야간을 가리지 않고, 최대 4만피트 고도에서 AGM-65, KGGB, JDAM을 쉴 새 없이 북한 지상군에게 퍼부어 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4만피트 고도는 북한이 엄청나게 다량 보유한 휴대용SAM(10만기라고 했나요?)이나 거의 대부분의 조잡스러운 구경의 방공포가 도달하지 못하는 고도로써 F/A-50은 아주 안전하게 쉴새없이 출격과 귀환을 반복하며, 북한 지상군에게 미사일과 유도폭탄, 클러스터탄 세례를 선사할 수 있습니다.


스나이퍼 포드는 F-16이나 F-15도 이미 달고서 적지 깊숙히 침투하는 여러 작전에 투입되겠지만, 사실 F/A-50같은 근접 지원 항공기에게도 필수인 존재인 겁니다.

또한 스나이퍼 포트를 단 F/A-50이 적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에서 과부하가 걸릴 정도로 쉴 새 없이 북한 지상군에 AGM-65, KGGB, JDAM을 배달해 줘야만, F-16이나 F-15은 근접지원임무가 아닌 더 중요한 임무(제공권 장악, 지휘 벙커 타격, ICBM기지. 발사대 사냥 등)에 집중하여 투입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만약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F/A-50에 통합하는 순간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만약 중거리 미사일을 통합하고도, 여전히 근접항공지원 임무에만 집중한다면, 정말 쓰지도 않을 거 쓸데없는 돈 지랄한 것에 다름 아니며...
중거리 미사일을 달고, 그런 미사일이 필요한 임무에 F/A-50이 투입된다면...전투기 조무사로도 불리는 어설픈 기체가 중거리 미사일 하나 달았다는 이유만으로 F-16이나 F-15가 더 잘할 수 있는 제공 장악 임무에 투입될 수 있는 비효율이 발생합니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라, 이런 능력에 맞지 않는 임무를 하느라 F/A-50 1기가 빠지면, 그 빠진 1기만큼의 근접지원항공 임무 수요를 F-16이 대신하는 추가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달고 제공 장악 작전할 전투기는 F/A-50 말고도 거의 300대(F-16, F-15, F-35)나 있습니다.
KF-21이 완전히 배치되는 미래에는 거의 400대쯤 될 겁니다.

수출을 위해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통합이 필요한 것은 알겠으나, 실상 한국 공군에는 전혀 쓸모없는 짓이니, 외국 RFP 최소 요건 충족용으로 이스라엘 더비(EL/M-2032에 적합한)나 값싸게 통합해서 최소 요건이나 충족시키면 어떨까 합니다.(당연히 한국 공군에는 필요없으니, 수출용 사양으로만 제안하는 용도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대팔이 22-08-07 21:41
   
맞아요
파오공은 BVR 필요없습니다...
KAI가 파오공에 암람 인티할려는 이유는 오로지 수출때문입니다..
근데 수출용 중거리AAM으로 더비 미사일 인티도 좋지만 도입가능국 상당수는 암람을 원해서...
     
집토끼 22-08-07 21:47
   
한국이 쓰지도 않을 수출용 사양에 얼마의 비용을 들일 수 있나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어차피 F/A-50의 상대는 테자스나 중국산 전투기이니
RFP의 최소 요건(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통합)만 충족시킨 상태에서 상대의 선택을 기다려 봐야 할 것 같습니다.
(EL/M-2032 레이더에 더비 조합은 궁합도 잘 맞고 가장 적은 비용으로 최소 요건은 달성할 수 있으니 해본 얘기입니다.)
          
archwave 22-08-07 22:27
   
인티를 기체 하나 하나마다 그 돈 들여서 해야 하는 것 아닙니다.
인티 작업하면 모든 기체에 별다른 추가비용없이 다 적용할 수 있죠. 인티비용/댓수 가 단가.

수출용 사양을 위해 인티했다 하더라도, 그거 그냥 한국군용에도 별 비용 안 들이고 적용할 수 있는겁니다.

한국 공군이 쓰는 FA-50 의 파일런에도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 해줄까 말까 이거나 따지면 되는거죠.

그리고 KAI 가 FA-50 계열을 무려 1000 대 목표 세웠죠. 그 정도까지 안 간다 해도 수출 물량만으로도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인티하는거 본전(?) 뽑을거고요.

일단 폴란드 예약이죠. 폴란드를 위해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인티하면 나머지 다른 국가의 기체들도 그냥 혜택 받을 수 있습니다. ( 물론 업그레이드 비 내야 할거고, 이게 인티 비용을 낸 폴란드에게 페이백될 수도 있죠. 폴란드도 이걸 염두에 둘테고요. )
               
노세노세 22-08-07 22:54
   
fa-50에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장착하면 님 말씀대로 인티비용은 크게 안들지 몰라도..
시험하는 데 최소 2500억 이상은 들간다던데요...
                    
archwave 22-08-07 23:05
   
그거 감안하고 한 얘기입니다.
인티할 모든 기체에 다 일일이 시험하는 것도 아니니, 2500 억이든 얼마든 1 회성 비용이죠.
Wombat 22-08-07 21:45
   
우리사정과 남의사정은 서로 다릅니다
물건을 팔려면 범용성에서 구입처가 늘어나는거죠
아르곤 22-08-07 21:52
   
뭐 어쩌겠습니까 구매자가 원하는 것을요
우리야 파오공이 3군이지만 구매하려는 국가에서는 2군이거나 심하면 1군을 담당해야 줘야 하니까요
archwave 22-08-07 21:57
   
위 글에서 거론하신 JDAM, 매버릭(AGM-65), KGGB 는 이미 운용 가능합니다.
물론 스나이퍼포드가 있으면 더 좋을 것이고, 블록 10 에서 통합되고요.

수출형으로 거론되는 블록 20 가서야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통합입니다.

위 굴은 이미 다 고려되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좀 핀트가 안 맞네요.
     
집토끼 22-08-07 22:07
   
우선 FA-50에 주야간 표적식별 장비인 스나이퍼(Sniper) ATP(Advanced Targeting Pod)를 장착하는 적합성 시험은 2019년에 마무리된 바 있다. 이밖에 올 상반기에 FA-50과의 완전 통합도 끝난 상황이다. KF-16과 F-15K에서도 운용되는 스나이퍼 ATP는 우리 공군이 운용 중인 기존 1세대 야간표적식별 장비와 비교해 2배 이상의 거리에서 3~5배의 해상도로 표적 획득과 식별을 할 수 있다.

이미 통합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다 아는 얘기인데, 그 중에서도 중거리 공대공은 특히 필요없어 보여서 쓴 글입니다.

반면 외국에서는 중거리 공대공 능력이 당장 필요하고(누가 2030년대 중반까지 느긋히 기다려줄지는...)
          
archwave 22-08-07 22:14
   
위 글에서는 스나이퍼 포드가 장착 안 되어 있는 것처럼 쓰셨기에 한 말입니다.
Tigerstone 22-08-07 22:01
   
한국군용 FA-50은 2032년 이후에나 블록20(BVR)로 업글시작됩니다.
그때는 이미 KF-21이 양산완료되서 배치된상태입니다. 지금당장하는거 아닙니다.
지금하는건 블록10 (소프트웨어,생존장비, 시뮬)업글입니다.
수출용은 수출당사국에 맞춰서 알람 인티 해달라면 인티해주고할겁니다.
폴란드도 알람인티된 BVR가능한 버젼(수출용 블록20)을 받길희망합니다
언론에서는 수출용 BVR업글을 그냥 싸잡아서 블록20이라고 하지만 수출용과 내수용은 시기가 다르다고합니다.

수출용블록20= 수출국가에 맞춰서.  BVR. 폴란드 or 말레이경전투기(숭리시)
내수용블록20= 2032년이후  공장자동화PASS, 부품국산화, KF-21기술적용         

KKND 이유튜버가 정리해놨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P-tApLd7y0&t=531s

글고FA-50은 제공임무에 투입되더라도 방어적 제공에만 투입될겁니다. 그마저도  투입될가능성이 낮다고봅니다.
     
집토끼 22-08-07 22:08
   
블록20은 KAI의 계획이지 공군의 계획이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Tigerstone 22-08-07 22:11
   
그냥카이에서만든 로드맵이죠. 카이에서 제시한걸로알아요
2032년이후에나 가능하다는걸 쓸려고 그리고 내수랑 수출이랑 다르다는걸 쓸려고
예로든거에요
archwave 22-08-07 22:12
   
FA-50 을 왜 경공격기라고 부르는건지도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F-16 폭장량의 60 % 정도밖에 안 됩니다. 즉 공격기로 쓰기에도 폭장량 부족이라서 경공격기죠.
     
구름위하늘 22-08-08 11:32
   
부족한 것은 맞는데, 수치는 틀린 것 같습니다.
F-16은 현재 대부분이 C/D 버전이며, 구형 A/B 와 최신형 E/F/V 는 소수 입니다.

F-16 C/D 기준으로는 최대이륙중량 비율이 19,200 kg (42,300lb) 이고,
FA-50은 13,500 kg (30,000 lb) 이라서 71% 입니다.

아마 F-16 을 최신형인 F-16 E/F/V 를 기준으로 최대이륙중량을 FA-50과 비교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이 대략 65% 입니다.
          
archwave 22-08-08 11:57
   
최대이륙중량으로 비교하면 안 됩니다.

한국 모델이기에 그냥 나무위키 참고.

KF-16
최대이륙중량 19.2 톤
탑재중량 (Gross weight) 12 톤
차이 7.2 톤 - 폭장량으로 가늠.

참고로 공허중량 + 내부연료탑재량은 11.77 톤, 탑재중량과 차이 0.23 톤은 조종사 2 명의 체중과 기타등등으로 추정.

FA-50
최대이륙중량 13.5 톤
전비중량 (Gross weight) 8.9 톤
차이 4.6 톤 - 폭장량으로 가늠 가능 but.

자체중량 + 내부연료양은 8.954 톤인데, 전비중량은 8.9 톤이라 조종사 몸무게가 마이너스가 되야 한다는 황당한 결과. 만약 KF-16 과 같은 기준 적용해서 0.23 톤 더 하면 9.184 톤이고 최대이륙중량과 차이인 4.316 톤이 폭장량이라고 보는 것이 현실적.

4.316 / 7.2 = 59.94 %

FA-50 을 F-16 과 비교하는 기사를 보면 폭장량 60 % 라는 말이 자주 보임.
               
구름위하늘 22-08-08 13:10
   
그렇군요. 폭장량 계산 방식을 몰랐네요.
종훈이당 22-08-07 22:14
   
일단 비용대비 효율성을 봐야죠. 큰 비용 아니라면.. 무기는 이미 있는 것이고 용도가 있을수도 있죠.
제가 알기론 그렇게 큰 비용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할수 있는데 안하는 것과 아예 할수 없는것은 다르지 않을까요
비용이 고작 500억인데.. 급하게 사용할수 있다면 그 급한자리가 500억 가치인가 아닌가의 문제인데
기회비용이 얼마인가를 보고 크지 않다면 내수도 않할 이유가 있을까 싶긴 합니다.
     
archwave 22-08-07 22:30
   
500 억은 록히드마틴에 줘야 하는 비용인거 같고, KAI 가 해야 할 작업에 들어가는 비용까지 계산하면 2500 억인가 든다 합니다.
          
종훈이당 22-08-07 22:32
   
예로 든겁니다. 하필 같은 금액을 적어서... 2500억에 국내 비행기 댓수 및 수출용 감안 대략 500억 정도 보는게 적당하지 않을까 싶긴 해서..
정확한 수치는 저는 모르는 내용이긴 합니다.
          
종훈이당 22-08-07 22:40
   
글쓴이의 글의 의도가 우리가 필요 없는것 과연 우리가 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있는가.. 수출용 이라면 그쪽에 국한 해야 한다는 의도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전 그런 의도로 해석이 되어서.. 그런데 과연 우리도 전혀 용도가 없다고 할수 있는가
비용 나누기 해서 들어갈 정도는 해야 한다.. 이런 말을 하고픈 것이고..
archwave 22-08-07 22:21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한국군용 FA-50 에 정말 필요없는 것인가도 좀 생각할 점이 있습니다.

한국 영공과 그 근처라면 한국 지상/해상 레이더, 조기경보기등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FA-50 도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달면 제공기로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방어 목적 제공기라면 FA-50 의 비행 성능, 항속 거리 같은 것도 아무 문제가 안 되고요.

또한 공격기로 쓸 때 무거운 것들을 잔뜩 달아야 하는 것과 달리 공대공미사일들은 중거리용이라 해도 가볍습니다.
방공망의 서포트가 따라붙는 방어용으로는 FA-50 도 윗선 전투기들이상으로 충분한 제공 능력을 발휘할 수 있죠.

공격기로서 쓸모보다 방어용 제공기로서 쓸모가 오히려 더 크다 할 수 있을겁니다.
물론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달 경우임.
밥밥c 22-08-07 22:51
   
원래 그것 때문에 공군하고 카이하고 싸우다 시간만 잡아먹었죠.

카이는 그냥 개발비 3천억정도 달라는 것이고,

공군은 싫다는 것인데 어짜피 이정도 금액으로 f-35 제대로 살것도 아니라서

그냥 들여서 빨랑 블락 20 만드는 것이 낫죠.
     
archwave 22-08-07 23:08
   
가장 큰 이유는 전술기 숫자 부족입니다.
안 그래도 숫자가 택없이 부족한데, FA-50 으로 떼우란 얘기나 할까봐 그런거죠.

중거리 공대공미사일을 FA-50 에도 달게 되면, 그보다 더 윗선 전투기가 왜 필요해 이딴 소리 나올까봐..
펀치볼 22-08-07 23:00
   
스나이퍼 포드 통합은 진즉에 시작했고 곧 완료됩니다. 언급하신대로 우리 공군에게 가장 필요한 업그레이드죠.,추후 고려할만한 업그레이드 라면 항전장비와 체적이 동일하지만 추력과 연비가 좋은 414엔진으로 업글하는 정도 일겁니다. 더 빨리 더 멀리 치고 빠지는 전술에서는 엔진이 중요하니까요.

블럭20은 우리군을 위한게 아니라 카이가 수출을 하기 위함이 맞습니다. 여기에 포함되는게 프로브엔드로그 방식의 refuleing 그리고 AESA Radar와 BVR 능력 추가인데 우리군에겐 크게 필요치 않은 기능입니다.
베스타니 22-08-07 23:02
   
흠....애초에 fa-50은 멀티롤 제공기를 염두한 기체가 아니지 않나요??....

그래서 우리군이 지금도 말하는게 훈련기 및 경공격기고......

애초 태생 자체가 멀티롤 제공기가 아닌데.....

현대전 멀티롤 제공기를 fa-50에 요구하는게 좀 웃김......

그정도 스펙을 원하면 그정도 스펙의 돈을 지불하면 됨........

개인적인 fa-50에 대한 생각은 사공이 많으니 비행기가 산으로 가는 느낌임......

아무리 개량해도 주력 멀티롤 제공기엔 부족한게 fa-50아님??.....
wagthedog 22-08-07 23:18
   
미국도 무기 개발에 시행착오 엄청나서 국회 청문회도 열고 예산도 못받고 사장되는 경우 많다고 합니다
도나201 22-08-08 01:2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차피  KF21 성공적인 배치 끝나면.
AESA레이더 축소형을 이미 개발할것임.
그렇게 되면 하지말라고 해도  해야되는 상황임.  ..      그때되면 KF21 실전배치완료되면.

FA50  창정비기간이 도래하게 됨.
현재 블럭10 이후 블럭20 상황이 딱 창정비기간하고 맞아 떨어지는 기간임.
그걸  KAI 에서  한화에서 개량사업으로 가자고 난리일텐데....

KF21 관련해서 AESA 레이더관련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서 당연히 .. 하지말래도 할 것임.   

다만 현재 더 필요한게.. 우리입장에서 스나이퍼포드일뿐이지....   
미국에서 오히려.. 더 원한다라는게 문제고,


문제는 수출형에서  말레이시아,  폴란드 필리핀... 전부  레이시온사제... 를 원한다고 하니.
이에 대한 개량연구비용을  우리가 낼 이유가 없다고 KAI에서 버팅기고 있는것이죠.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미공군의 ATT 사업에서 AESA 레이더장착이 기본이니.
록마에서는 여기까지 개발이 가능한데.... 문제는  장거리공대공미사일의 무장테스트관련해서는 전혀 다른 이야기라는 것이죠.  막상 KAI에게 넘길려고 하는데.

우리야.....지금 KF21 AESA 관련 무장인티 하는데...... 한화에서 이미 계획되어 있고 여기에 무장테스트관련해서 다 일정이 잡혀 있는데..  후에.  천천히 하면 되는것이고,

급한 현재 록마라는 것이죠.    KAI아니라는 것.    록마에서 일종의 무장테스트비용을 떠넘기기로 은근히..
돌려칠려고... 현재  MOU협정을 하는것이죠. 

어차피 동체나 기타등등 기골에관한 개량은 필수고,  록마로서는 돈을 조금만이라도 줄여볼려고 하는데.
여기에 레이시온사제 AESA레이더를 장착한다고 해도,
우리하고는 상관없으니,  후에.. 관련 해서  록마에서 다맡을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굳이 말려들 필요도 없고  존버가 답이다..... 생각하고 있는 것이죠.
아직까지  TA50 FA50 관련 창정비기간은 남아 있고,  그전에 KF21 실전배치되는순간 바로 FA50 창정비로 들어가면됩니다.  그때  한화에서 득달같이 개량이야기 나올겁니다.
꼬마와팻맨 22-08-08 01:29
   
여기서 필요 없다고 떠들어봤자 영향도 하나도 없습니다
안개늑대 22-08-08 05:26
   
자군 AIM-120 한 1000발 있다고 합시다. 보유 F-35, F-15, F-16에 가지고 있는 공대공미사일 달고 날면 북칸이랑 떠서 제공권 제압 가능? 이라고 물으면 공군은 'YES'라고 할겁니다. 자 그럼 공군이 KAI의 계획을 받아 들여서 FA-50에 공대공미사일 인티해달라고 국회가봅시다. 뺨따구 맞겠죠? 사실 북한대비 우리나가 공군에 투자한 예산이면 F-35, F-15 만으로 북칸 뱅기 그 비스무리한 것들까지 다 떨구고 남아야 할테니까요. 북한한테 제공권 우위를 가져오기 힘들다면 일단 급한대로 FA-50 업글 해야겟지만 것두 아닌데 예산 3000억 국회에서 승인나면 그거는 그거대로 문제임. 국빙비 공군 혼자 쓰는것도 아닌데 타군 눈치도 봐야죠. 항공분야는 KFX사업으로 인해서 예산 투입해서 장기적으로 육성될거고 또 그렇게 하고 있는데 때거리 없어서 굶고 있는 거면 Block20 업글 제안을 지금 당장 받아주겠지만요. FA-50 Blcok20 개발을 공군 예산으로 한다면 당연히 보유 FA-50을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돌려야겠지요. AIM-120을 인티했으면 FA-50이 사용할 AIM-120도 구매해야하죠. F-16꺼 같이 쓰게 한다면, 이전 사업에서 AIM-120을 남을 만큼 구매 했든지 아니면 F-16의 가동율에 문제가 있어서 FA-50이 대신해야 한다든지 뭔가 그럴싸한 이유가 있어야 하겟지만 어떤 이유든 그전에 삽질해서 뭔가 잘못햇다고 공군스스로 인정하는 꼴이라서 어려워요.

진짜 딱 공군이 국회에서 Block20 예산을 딸만한 근거로는 이거입니다.
'FA-50 성능 업글 가능하다는데 방위산업 육성차원에서 개발비 투자 좀 해주세요.'
국회의 예상 답변은 이겁니다.
'KFX 사업으로 이미 충분히 지원해주고 있다. 헛소리를 자꾸 가져와서 능력에 의심을 가지게 한다면
다른 예산삭감을 고려하겠다.'

그리고 KF-21 개발로 기술이 좀 더 축적되면, 국산 레이더+공대공미사일 등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대한민국 공군 입장에서는 KF-21, FA-50 양쪽 다에게 유리할겁니다.
     
ㅣㅏㅏ 22-08-08 14:08
   
동감 입니다. Fa50 bvr과 암람인티는 카이만 하고 싶어하는거죠. 해외 팔아먹으려고. 우리 공군 입장에선 사실 fa50 지금 수량 충분하고 fa50에 들일 돈 있음 f35나 더 사거나 kf21에 투입하길 원하죠.
커피빵 22-08-08 09:42
   
어쩨서 북한만 생각하고 중요한 군의 전력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지 알 수 없음

한국의 주변엔 러시아를 제외해도 중국 과 일본 이라는 강력한 공군력을 가진 나라들이 있음

당연히 두 나라와의 전쟁을 상정한 준비가 있어야하고 부족한 공군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함

스크램블 발생시 가장 빠르게 준비되고 가장 값싸게 운영할 수 있는 기체가 fa50 이라니

국산 중거리 미사일 통합은 불 필요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필수사항 이라고 생각됨.
나그네x 22-08-09 02:51
   
수입하는 나라에서 인티비용 다 지불하고 원한다면 충분히 해줄수있슴.하지만.
우리예산으로 인티비용을 내라면 그건 아닐세. 반대.
미공군 최신f-15도 사우디가 업글비용을 다 지불해서 득본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