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2-22 15:47
[기타] 對 사우디 비호복합 수출관련 문서
 글쓴이 : 노닉
조회 : 5,828  


유전 테러 이후 비호 수출 청신호다 뭐다 하면서 사우디가 직접 한국이랑 관련 체계 도입을 위해 검토, 협력 한다고만 기사가 떳는데
(서로 뭘 사고 판다고 분명히 나온 피셜이 없었음, 사우디쪽 트위터 정보로 비호 혹은 비호2 타령만 있었음)

수출예비승인도 아니고 아예 비호를 지칭한 '수출관련 협조'란 이름으로 뜸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핏파이어 19-12-22 15:52
   
방산판~미운 오리 새끼~ㅋㅋㅋ
도나201 19-12-22 15:56
   
제목을 잘봐야 합니다.

비호복합        수출              관련    협조요청.

비호복합 을
수출 합니다.

이에 관련한 출장비 지원바랍니다. 
라는 의미의 제목임.

수출일정이 가까워졌다라는 이야기입니다.


만약 수출에 관련한 아직 미정인 상황이라면. 제목이 이렇게 됩니다.

대  사우디 비호복합 수출에 관한 협조요청.
이렇게 나왓다면.
수출협상을 위해서 출장한다라는 의미임.

즉, 위의 문서로 볼때..
판매 대수  판매 대당 가격등 세부사항에 대한 결정을 하러가는 듯 합니다.

공문서 에서  접속사 ~에 ~는  이라는 접속문체에 따라서 결과가 다릅니다.
이런 중간 접속사가 아닌경우.. 위의 경우는

대 사우디 비호복합 수출      이부분은 사실이라는 소리입니다.

관련.... 즉 수출은 확정이고 기타 수량 및 대당 가격 및 수출방법 등등 자질구레한 사항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협조요청.............즉,  총무부에다가.....출장비 달라는 소리입니다. ㅡ.ㅡ
     
다른생각 19-12-22 16:12
   
출장까지는 일치하고.. 유관부서 지원 요청쪽이 더 가능성 높지않을까 싶네요..
협상 준비에 필요한 이러이러한것이 있으니..
요런요런것을 지원해달라..
단순 출장비 요청을 저런식의 공문으로 처리 하지는 않죠..
          
도나201 19-12-22 16:16
   
그냥 이해하기 쉽게 하는 소리입니다.

이미 교통부와 배달 해수부 등등 이에 관한 협조와
기타 일이 더많겠죠. .ㅡ.

근데 저부분은 사우디에 직접 방문한다라는 이야기이기에..
그에 관련한 사항을 이야기해달라는 의미가 강하겠죠. ㅡ.ㅡ.

중요한 부분인  대 사우디 비호복합 수출 은 이미 확정이라는 소리가 .. 주제이기에..
나머지는 대충 말했습니다.
임펙트 19-12-22 16:45
   
좀 냉정하게 봐야할것이, 사우디가 이와같은 단거리 대공포에대한 소요를 제기한 이유가 유전지대에 이루어진 순항미사일 및 드론에의한 공격을 막기위해서라는 점입니다.

 그럼, 굳이 이동식일 필요는 없거든요. 오히려 독일의 만티스와같은 고정식 대공포체계가 더 신뢰성이 높죠. 물론, 가격이 많이 비싸긴해도 그만큼 확실을 기할 수 있는데다가 우리 복합비호는 야전군을 따라 이동하면서 단거리대공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체계입니다.

 이런 이유들로인해서 어쩌면 사우디가 독일의 만티스를 구매하기위해서 우리의 복합비호를 지렛대로 삼는게 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들기도합니다. 실제로 독일 만티스가 중동의 어느 국가에 상당한 금액의 매출을 기대하는중이라는 뉴스가 있었기도하고요.

 아무리 사우디등, 중동의 친서방국가들이 미국이나 유럽의 방산호구라 불린다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이런 서방선진국들에 한정된 이야기이고 우리에겐 다를 수 있다는겁니다. 그들에게 미치는 국제적인 영향력이 아무래도 약할 수 밖에없으니, 쉽게 보고 들어갔다간 고배를 마실 수 있다고생각합니다.

 인도급 정도로 까다로울 각오를 해야할지도...
     
도나201 19-12-22 17:44
   
오히려 고정식 포대라는 점이 만티스의 약점이죠.

이미 다 포대의위치를 잡은 상황에서 어디로 갈지 드론의 방향성이 바로 전해지죠.

또 문제는 만티스의 경우 경보레이더의 네트워크화라서...


비호복합은 단독적으로 운영이 가능함. 이게 오히려 장점으로 부각되엇죠.

한대만 있어도 어떻게서든지 드론을 잡을수 있다라는 것.

방향을 피하더라도 단독체계로인해서 뒤에. 바로 대처가 가능하다라는 점이고,

독자적인 움직임을 선호하는 사우디로서는 독자적 움직임에 대한 대응체계가 굉장히 맘에 들어했죠. ..

빠른 대응체제도 그렇고 빠른 응사도 만티스와는 비교가 안되죠.

거기다 만티스의 레이더체계가 드론의 위치를 정확히 잡아낼수 있는 부분도 의문점이고,
심지어 시각적인 대응체계의 독자성/ 때문에 저고도도 바로 대응사격이 가능하다라는 점이
비호복합의 장점입니다.

그런 부분이 사우디로서는 이번 방공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임펙트 19-12-22 18:08
   
무슨일이든간에 그 해당 사업의 목적에 부합해야합니다. 유전지대 방호는 거점방어이고 그에따라 고정식도 가능하기에 굳이 이동식일 필요가 없는것이죠.

 그리고 단독운영이 가능하다는 문제는 나쁘게보면, 신뢰도가 낮다는 의미도 되고 실제로 비호복합이 그렇기도합니다. 맨위에 돌아가는 그 레이더의 성능은 우리나라에서조차 얕잡아보여서 따로 국지방공레이더 체계를 구비하여 C2A로 하는거죠. 차륜형대공포가 비호와는 다르게 레이더가 없다는 점이 이를 증명하는 바입니다.

 오히려 만티스체계가 더욱 뛰어나서 CRAM수준이기에 드론에도 충분하고 넘치죠. 이 역시나 당연히 저고도 방공체계이기도하고요.
               
엘카이나 19-12-22 21:28
   
가격적인 문제도 있을거고 독일물건이라는 문제도 있을겁니다. 분쟁지역에 무기파는거 엄청 싫어하는 나라잖아요. 맨티스 1세트가 700억 이상이라고 알려져있고 비호복합 인도판매가가  3조에 108대에 탄약차, 지휘차량, 탄약 다 포함하니까 맨티스는 같은가격으로 순수 시스템 40세트 정도네요. 거의 3배에 가까운 물량차...
                    
임펙트 19-12-23 00:21
   
분쟁지역에 무기파는거 싫어한다라... 그런 명분은 자기 편할대로 적용하거나 안하거나죠.

 어디 듣도보도못한 나라도 아니고 무려 사우디정도인데다가 제대로 도입하면 최하 십여세트이상의 조단위로 넘어가는데, 기준이 말랑해지지않을리가 없죠.

 비싸긴하지만, 권력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는게 가장 우선인데, 특히나 전제군주제나 독재정권같은 비민주적인 국가에서는 더욱 그러하죠. 그런상황에서 좀 비싼 무기를 도입한다해서 그리 반대할 세력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북한의 김정은이 핵으로 미국과 신경전을 벌이는거나 터키의 에르도안이도 자신을 끌어내릴려했던 쿠데타의 배후에 미국이 있다는 강한 의심에 마찬가지의 긴장관계를 가지며 친러시아적인 행보를 보이는것도 비슷하다하겠습니다. 둘다 국민이나 국가의 미래보다는 자신의 권력유지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있다고보여집니다.
나그네x 19-12-22 23:55
   
수출승인해서 선적할 때까지는 확신할수 없다는..
유일구화 19-12-23 17:41
   
댓글 흠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