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5-29 13:23
[육군] 레드백 우리도 도입하나요? 11사단에서 보인 레드백 운용시범
 글쓴이 : drdenma
조회 : 2,570  




국방NEWS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대팔이 22-05-29 13:30
   
차체 : 한화
파워팩 : 독일제
캐터필러 : 캐나다제
저판장갑재 : 이스라엘제
포탑 : 이스라엘제
기관포 : 미국제
대전차미사일 : 이스라엘제
능동방호체계 : 이스라엘제
HMD 외부 감시체계 : 이스라엘제
C4I : 이스라엘제

이걸 국군이 도입할까요?
     
살수있다면 22-05-29 13:40
   
밀초라 잘모르지만
위에 나열하신건 아마 호주 사양일꺼고
우리나라에 도입되는건  주로 국산으로 대체 되지 않을까요?
호주 사양보다 다운그레이드 되지 않을찌...
          
대팔이 22-05-29 16:16
   
외관상으론 호주사양 그대로입니다
               
밀덕달봉 22-05-29 17:02
   
저건 실험한 장갑차를 가져와서 시험용으로 써보는거구요.
재식화 하려면 국산화한 cta포및 위아랑 로템에서 개발한 전방향 감시장비들 국산화한 장비들이 그자리 대체하겠죠.
               
딴지맨 22-05-30 11:54
   
외관상이라는 뜻을 잘 모르시는 듯..... 요구사양만 맞으면 그에 맞춰 장착하면 되는 거고 우리 군 특성상 무조건 경비절감할수 있는 부품을 달겠죠....
     
사커좀비 22-05-29 17:06
   
ㅋㅋ 우리 육군이 도입하겠다고 결정하면 그 사양들 중 대부분은 바뀌겠죠...
시범운용 및 테스트지요... 말 그대로...
도입을 위한 테스트는 아닐겁니다..
     
드뎌가입 22-05-29 19:42
   
네 도입합니다
          
범내려온다 22-05-30 12:39
   
누가 그래?
식후산책 22-05-29 14:02
   
k21 있어서 도입 안할거 같네요..
Wombat 22-05-29 14:10
   
한국 육군은 장갑차 도하능력 절대로 포기 안할거라는데 한표
모두들 레드백 한국군 도입을 주장할때도 난 절대로 그렇게 보지 않았음
피격되서 터지는 장갑차보다 위험한건 전술적인 한계
스랑똘 22-05-29 14:49
   
윗분 말씀대로 한국 육군은 절대로 장갑차의 자체 도하능력을 포기하지 않을거 같습니다.
이번 우러전에서 보듯이 러시아 기갑부대가 어설프게 어리버리 도하작전하면서 부교설치하고
건너려고 지체하는 시간에 좌표따이고 포격으로 전멸하는걸 보면
우리 장갑차들은 어떻게든 신속하게 도하작전을 빠르게 완료하고
지체없이 이동하는게 생존에 훨씬 더 유리해 보입니다.
부교를 설치해야할만큼 큰 강이 아니라면 k21처럼 소규모 하천은 부교 설치 없이
신속하게 통과하는게 좋겠죠...
     
대팔이 22-05-29 16:14
   
러시아는 거의 모든 장갑차들이 도하능력 가지고 있어요...
BTR BMP BRDM BMD 다 도하능력있죠..
오히려 도하능력만 보면 국군보다 우수하죠..
우리 K21도 BMP3로 자극받은 육군이 무조건 도하능력을 ROC에 추가하면서 대폭적으로 바뀐사례죠..

그 부교는 전차 도하용으로 가설된겁니다..
태지2 22-05-29 14:57
   
비싸서 안한다 한 것으로 아는데... 수출 시장 열리고 하면 팔리려나?
깡패같은 이승현이가 먼저 생각나는 한화...
제가 고향이 부여이고 해서 빙그레 펜이었는데 나쁜인간이라! 생각 했었습니다.
앞으로는 덜 속이고 할까요? 그 인간이.... ㅎㅎ
도나201 22-05-29 15:44
   
엥? 
기존 호주로 성능테스트 2대가 모두 돌아온것인가요.

한대는 포탑이 가포탑형이고,
한대는  신형포탑을 얹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신형포탑을 얹은 한대로 들어와서 실전테스트 거치는 것인지..

뭐 현재 K21 추가 양산이 결정된 마당에.. 차세대로 갈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현재로서는 K21 의 수량도 긴급히 마련하는 수준이라서
현궁의 발사장비를 버리기에는 ...
아마도 현재 K21 성능개발은 추가생산은 현궁의 추가양산하고 맞물려 있습니다.

도하능력에 관한 전술적인 부분은 생각보다 큰게 아니라고 합니다.
생각외로 북한의 치수설비가 잘되어 있어서 .. 무계획적으로 ㅡ.ㅡ.

도하장비의 중요성보다는 시가전에 맞춰서 준비하는게 나은지.
다시 전술적인 연구가 들어간듯이 보여집니다.
     
대팔이 22-05-29 16:20
   
1. 저 포탑은 이스라엘 엘빗제 포탑 그대롭니다.
2. K21에 현궁 탑재업글 안함.. 기존 K21에 현궁발사기 다 없앴음..
거기에 대신 바스켓 담..
리히토벤 22-05-29 18:37
   
예전부터 레드백에 관한 밀덕후들의 의견에 대한 한화와 국방부의 대답은 같았음..

레드백 원제품 그대로 사용못한다

시제품 사용해보고 적용가능한 장점을 추려서 k21 개량에 추가하겠다
유장만 22-05-29 19:57
   
이번에 호주 독일 링스에게 지면  폐기 될꺼 같은데 ~
나그네x 22-05-29 21:28
   
듣기로는 도입할려고 국군이 운영하는게 아니고 뭐랄까 일종에 실전?같은 운영테스트 뭐라는것 같았씀.
한국육군이 상당한 규모이고 기갑훈련도 자주해서 저런 신형수출장비들을 군 훈련할때 운영테스트를 의뢰한다는것 같았씀. 저렇게 장비운영테스트를 하면 뭐가 부족한지 뭐가 문제가 생기는지를 업체측에서 발견하고 즉각적인 개선사항으로 수정한다는 들은것 같은데 자세히는 모르겠씀.
저런 장비의 테스트도 의외로 비용과 기간이 많이드는 부분이라고 함. 그래서 육군이 그 전장테스트를 국내업체를 위해 운영테스트 해본다는것 같음. 방산산업쪽에서는 군이나 업체나 서로서로 협력한다는것. 
아무튼 한국육군이 도입할려도 테스트하는건 아니라는것같음. 그러기에는 레드백의 포탑전체를 비록한 주요장비가 상당량이 전부 외산이고 도입가격조차 k2흑표보다 더 고가의 장갑차량을 도입할리없다고 보여짐.
흑표도 가격문제로 수량을 조절해가며 뽑고있는 상황에. 그리고 그닥 마음에는 안들지만 이미 가성비의 k21이 있고요.
승리만세 22-05-30 15:16
   
k2가격의 장갑차를 과연 도입할지..
저가에 대량운용하며 화력기동을 중시하는 한국의 기갑부대의 특성상 맞진 않음
진짜 해외원정군 위주로 군대를 운영하는 호주에게나 어울리는 물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