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12-20 10:19
[잡담] 발사체와 가스터빈엔진
 글쓴이 : 으쓱으쓱
조회 : 2,592  

최근 한국형 발사체 기술 획득과 관련하여 가스터빈 엔진에 대해 연관지어 생각해봤습니다.

발사체는 미사일과 연관지어 있어 기술이전이 불과하고 우리는 우크라이나에서 도움으로 작은것 만들어봄을 발판으로 자체적으로 75톤 발사체를 만들었습니다. 나로호 10년을 제외하고 거진 10년이 다 되어 가는데 후속 발사체가 85톤,100 톤 개발이 있을지 모르지만 보통 기술개발 완료전에 병행해서 다음 기술 개발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인력들이 부족하지만 일부 인력들을 가스터빈엔진 개발에 투여하야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면 하네요. 가스터빈엔진이 원리야 쉽지만 소재 설계 등 생각보다.... 제대로 된 물건 만들기 어렵다는 걸 압니다. 그렇다고 손놓고 있을수는 없으니 발전용 가스터빈엔진 국산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아는데 정확히 공개되거나 계획을 찾아 볼 수가 없네요.

발사체가 터보펌프, 연소기, 가스발생기, 연료계통으로 이루어지고 가스터빈이 압축기, 연소기, 터빈으로 구성되는데 물론 완전 다른 개념이긴 하지만 설계라든지 해석을 발사체 개발하며 조금의 기초를 닦아쓰니 한화테크윈(구 삼성항공)을 주축으로 부품업체들이 뭉쳐 정부에서 지원하여 10년간 단계적 플랜을 마련하여 소형부터 차근히 국산화해 갔으면 합니다. 중국이 20년간 몇조를 투자해서 노력하고 있지만 우린 노력도 안하면서 중국을 비아냥합니다. 우린 기초 소재 전자산업이 조금은 나으니 조금 빠른 진행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거의 100% 우리나라 화력 발전소 가스터빈은 Ge. Simens. Mitubishi 세 회사가 우리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데 국산화하며 범위를 넓혀 실효성은 모르지만 선박, 전차부터 군용 항공기에서 추후에 민간 항공엔진까지 진출해야되지 않나 싶습니다.

조선 철강 등 중국이 따라오는 입장에 연구개발해서 레드오션까지는 아니더라도 산업화를.고도화하는시점에 이런 장기 프로젝트는 국가가 나서서 하루빨리 프로젝트 진행해주셨으면 하네요. 이전에 add, 힌국항공우주연구원, 삼성항공에서 부분별로 맡아 100(?)메가와트인지 가스터빈엔진 구성품을 개발중이였다는 말만 나오고 너무 조용해서 궁금하기도 합니다. 한국재료연구소애서 초내열합금과 세라믹 개발중이고.전주 탄소연구소에서 탄소섬유 개발중..

마냥 있는다고 떡을 주는것고 아니고 진입시점이 너무 늦으면 잘 들여 놓기 어렵고 미리 부족한 산업부분 그로인한 파생기술이 넓은 가스터빈쪽에 투자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미래도 준비하는 사람이 희망이 있지 않을까요?

어떻게들 생각하시는지요..

비전문가라 다소 글에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정봉이 17-12-20 11:28
   
가스터빈이 기계공업의 끝판왕격이라 누구나 만들고 싶어하긴 하지만 만들수 있는나라 한손에 꼽죠

군사과학기술에 나름 큰소리치는 러시아도 가스터빈없어서 군함건조를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샤랄라야 17-12-20 11:45
   
맞다고 생각합니다.
신하 17-12-20 13:10
   
지금까지는 설비 미비로 제대로 된 실험을 못했거나 시뮬레이션 또는 페이퍼 연구
어떤 설비가 필요한지도 몰랐고 관련된 정보도 선도국에서는 대부분 비밀이니까
이런저런 잡다한 정보와 학습으로 시험 설비 갖추는 것도 세월이었네요.

논문들 나오는 것 보면 가시적인 성과도 있고
무엇보다 설비를 갖춤으로 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
또 여기에 뛰어든 기관과 과학자들이 늘어나 풍부해졌다는 것.

[전북대, 우주기술개발사업 선정..세라믹 코팅 개발]
http://v.media.daum.net/v/20170502163547915

[핵융합연구소, 중소기업에 플라즈마 용사코팅 기술 이전]
http://v.media.daum.net/v/2017050214445907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5-2017 경영성과계획서.pdf]
https://www.kari.re.kr/download/viewer/1463961803021/index.html

[국내 가스터빈 연구·개발을 위해서 구축된 시험실험설비 - 대한기계학회]
http://ksme.or.kr/UploadData/Editor/BBS9/201711/74078C46465F4001B84F7424EC4AC4F4.pdf

[중소형 항공기용 터보팬 엔진의 냉각설계기술개발 및시험평가기술 구축]
     
으쓱으쓱 17-12-20 13:42
   
와. 올려주신자료 고맙습니다. 몇개자료를 꼼꼼히 읽어봤는데 더디지만 꾸준히 개발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전에 테스트 설비가 제대로 설치가 안되어 있었군요. 발사체 개발 초창기도 시험설비가 없어 러시아에 자주 갔다왔다고 글 본적 있습니다. 재료학회나 기계학회에 자료가 잘 나와있네요. 희망이 보입니다. 시작은 미약하나 미래는 밝으니 연구원들분들이 곧 애국자이십니다. 화이팅
점퍼 17-12-20 13:31
   
이미 상당한 인력이 투입되어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가스터빈 문제가 아니고 소재처리기술이 문제 입니다.
형상이나 구조 같은 것은 기존 제품을 뜯어봐도 충분히 카피 가능 합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소재기술이 떨어져서 동등한 성능의 제품을 못 만들죠.
즉 똑같은 형상을 만들었는데  80%출력에서 날개가 부서져 나가는 식이죠.
흑표의 아픈 심장도 비슷한 문제죠...라이센스 생산하던 기술로 유사한 변속기를 만들었는데... 출력을 못이기고 부품이 부서져나가니....
     
으쓱으쓱 17-12-20 13:46
   
소재, 금속 가공, 야금학쪽에 연구가 더 필요하겠군요. 미국쪽 엔진이 유럽, 러시아쪽 보다 수명이 긴 것도 이런것들이겠죠...  산업쪽에서 국산화 열망이 있으니 공동연구나 기술개발에 전염할듯 보입니다. 예전에 다큐를 보니 블레이드 하나에도 여러방향 여러겹의 열처리 가공, 절삭한다고 본적이 있네요.
     
신하 17-12-20 14:57
   
소재처리기술도 지금은 선진국 수준과 동일한 또는 수출하고 지냈는지는 좀 됐습니다.

[스팀터빈의 강도와 수명 높인 'HIP 특수 열처리 기술']
http://v.media.daum.net/v/20171219172824063

‘중성자를 이용한 터빈 블레이드 이물질 탐지기법 연구’ 성과
[터빈 블레이드 결함여부 탐지 연구 본격화]
http://www.sciencetimes.co.kr/?p=76730&cat=129&post_type=news&paged=161

[한화테크윈, 4조5000억 규모 항공기 엔진부품 공급권 획득]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51221010004854

[차세대 로켓 추진 기관용 내열 나노금속복합재료의 개발]

플라즈마 세라믹 용사코팅이 개발되긴 했지만
실제 적용에 관련된 연구와 실험, 이러저러한 것들이 2~3년간 필요하고
추측으론 내삭마 연구를 더 진행하지 않을까 싶은...
          
으쓱으쓱 17-12-20 15:05
   
이쪽 계열에 있으신가봐요. 아님 꾸준히 서치해서 최신 자료를 습득하고 계신듯.. 한발 가스터빈 프로젝트 한다면 이런것들 뭉쳐서 해보면 성공하리라는 확신이 드네요.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에서 통합 프로젝트 추진해 주세요.!!!! 링크 감사합니다.
희비 17-12-20 14:36
   
발전용 가스터빈 국산화를 위한 민관협력 프로젝트가 몇 년 전부터 가동중입니다.
     
으쓱으쓱 17-12-20 14:44
   
부품 국산화가 아니라  가스터빈 개발이겠죠. 응원합니다
bluered 17-12-20 15:08
   
이미 항우연에서 이번에 개발한 75톤 엔진에 이어 연료효율과 추력을 더 확대한 차세대 엔진인 다단연소 엔진을 이미 개발 중에 있습니다. 또한 현재 엔진에 사용 중인 연료공급을 위한 터보모터 펌프 대신 전기모터를 이용한 펌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기모터를 이용하면, 엔진의 구조가 더욱 간소화 된다고 하네요.

간단하고 연비 좋은 로켓 엔진을 만든다
https://blog.naver.com/karipr/220982422657

아래는 항우연에서 개발 중인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의 연소시험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GoiJE5_NVA
     
으쓱으쓱 17-12-20 15:13
   
발사체쪽으로도 다음 방향잡고 잘 계획하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