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8-02-04 03:52
[질문] 전면전 상황에서 보병사단이 한달 소모하는 탄약이 어느정도 될까요?
 글쓴이 : 정봉이
조회 : 4,183  

한20년전에 자료를 본 기억에
1개 사단이 신규장비나 군장구류같은 보급품을 제외한

순수한 탄약 (총알/포탄)만  
부피/무게는 기억이 안나고 (생각보다 어마어마한 양을 소모했던것만 기억나네요)
당시의 가격으로 2천억원어치 정도를 소모할거라고 했었는데
워낙 오래전 자료라 지금하곤 맞지 않을거고 탄종도 바뀌여서(주력탄종은 안바뀐건가?)

최근에 데이타분석한 자료같은거 있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이띠 18-02-04 08:27
   
그게 왜~~궁금하시는디요?
     
banggoo 18-02-04 09:32
   
ㅋ 궁금할수도 있는거죠
     
참치 18-02-04 12:07
   
여기는 밀게입니다만.. ㅋㅋ
     
마린아제 18-02-04 16:09
   
궁금하면 안돼나요? 나도 궁금한디.....
     
다른생각 18-02-04 19:55
   
나도 이건 궁금하던디..
먹구름9 18-02-04 09:35
   
그런 자료는 아무리 낮게 잡아도 3급비밀될겁니다.
꽃보다소 18-02-04 09:53
   
다른 것은 몰라도 우리나라 전군이 사용할 수 있는 탄약은 2틀치 분량 밖에 없다고 합니다.
국회의원이 떠들고 다니는 말이라서 ㅋㅋ 어차피 전쟁나면 모든 공장들 군수공장으로 바뀌기는 하죠.
그래도 생각보다 정말 적은 양이란 생각을 했었습니다.
     
먹구름9 18-02-04 09:59
   
국회의원이 떠드는게 다 팩트는 아닙니다.
     
현시창 18-02-04 10:04
   
정밀탄약이 이틀치란 말이겠죠. 그외 포탄이나 로켓등은 일주일분을 상정하여 치장합니다.
그런데 유사시 한국군이 계획한 탄약소모계획을 보면 다른 국가들이 상정한 범위를 아득히 벗어나는 겁니다. 사거리 80Km의 장사정 유도로켓만 3.3조원어치를 양산합니다. 2500~3000발 수준이지요. 이걸 일주일 동안 쓸 예정입니다.

하루 400여발씩 쓰겠다는 것이고 기존 무유도 로켓탄이나 구룡 로켓탄까지 사용한다는 걸 고려하면 생각보다 정말 적은 양이란 생각은 못 하실 겁니다. 어떤 나라가 장사정 유도로켓탄을 하루 400발씩 퍼부을 생각을 하겠습니까?

공군 역시도 LGB/JDAM과 같은 정밀탄약을 하루 200발씩 갈기겠다는 계획인데. 지난 리비아 사태시 NATO연합군이 하루 30~40발씩 떨구고 탄약 떨어져 헐떡 거렸다는 걸 고려하면 한국이야 말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막대한 탄약을 비축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집토끼 18-02-04 10:40
   
3.3조원 어치 양산에 최대 3000발이라면 80km 장사정 유도로켓(239mm) 가격이 1발당 10억이 넘는건가요?

1발당 가격이 대략 1억 정도에 3만발정도라야 납득할만한 것 같은데요...
(1발당 1억도 비싸죠...500파운드 KGGB가 1발당 1억인데, 239mm 유도로켓하고 화력이 비교가 안되니)
               
술나비 18-02-04 10:57
   
kggb는 킷 아닌가요?  기존 무유도탄에 추가하는 연결장치 같은 거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엄청 싼거긴 하지만 전혀 다른 분야라...
               
현시창 18-02-04 13:21
   
멍텅구리 폭탄에 날개 달아 GPS 이용하는 물건이 1억이라고. 80Km를 날아가는 로켓탄이 1억이여야만 한다는 법은 없죠. 상식적으로 로켓모터를 달아 80Km를 마하 2이상으로 날아가는 물건이 날개만 펴면 땡인 물건하고 값이 똑같을리가 없잖아요?

게다가 KGGB와는 달리 천무로켓탄에 장비된 IMU는 더 비싼 고가품입니다. GPS가 재밍되더라도 최소한의 오차를 내기 위함입니다. 여기에 60Cm의 콘크리트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탄두와 관통신관까지 적용되었으니 원래부터 싼 2000만원짜리 내외 폭탄에 장착하는 물건보다 당연히 비쌀 수 밖에요.
                    
집토끼 18-02-04 13:31
   
그렇군요...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비싼 느낌이 있습니다. 다연장 로켓 1발당 10억원이라니..
저는 1발당 가격이 10억원이라 혹시 전술단거리탄도탄인가도 생각해봤는데, 그게(239mm) 맞다고 하시니...암튼 가격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너무 비싸네요. (미국의 MLRS GPS유도로켓이 1억쯤 하는 것으로 나오거든요)
                         
이도저도 18-02-04 14:44
   
미국처럼 전세계를 전쟁하러  다니는게 아니라서 미국보다 가격이낮기는 힘듭니다. 생산량자체가달라요. 단적인예로 헬파이어가격만봐도 알수있습니다.
          
모래니 18-02-04 12:03
   
어떻게 1일 소모 탄약을 산정했는지, 의심스럽긴 하던데..
     
sunnylee 18-02-04 10:46
   
현시창님이 잘설명해주셨지만..
국회의원의 이틀치 발언관련.. 몇자 덧붙여 ...
밑에글에도 있는  한국형 GPS 유도폭탄(KGGB, Korea GPS Guide Bomb)
같은 정밀탄  전투비축분을 수출전용으로 돌린일
국회국방 감사때 나온 내용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례 공중투하,발사 정밀탄 비축하는 전투예비탄은 전시 상황에서 60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을 보관하고 있어야 하지만
그 절반도 채우지 못한 채 LIG넥스원에게 수출용으로 150발을 빌려줘 논란이 있어죠...
2013년까진 이틀 치 밖에 없었다고 .
2013년이면 KGGB가 본격적인 양산, 배치를 막 시작한 시기였으므로
보유 분량이 적을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은 감안이 없었던것도 사실..

최초계획은 군 훈령에 명시된 KGGB의 60일치 비축량을 산정, 무시하고
정부가 수출 업체의 편의를 봐주기 위해 위반한 것은 명백하고,
공군은 KGGB말고도 JDAM, SLAM-ER, 타우러스를 포함한 대지공격용
 대체수단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  궁색한 해명 있었지만..
원래  KGGB가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는 
북한의 방사포, 해안포 등  위협하는 재래식 전력에 사용하긴에는
SLAM-ER, 타우러스탄이 KGGB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정밀탄종 인것도 사실...

다만, 그걸 한국군 전체 탄약비축분  전체의 문제점 이라긴 보단.
정밀탄종에 생산기업에 대한 특혜, 군상층부의 정신적 해이를 지적하기위한 ...
의미가  더 큰 발언이 아닌가 생각 합니다
로보트킹 18-02-04 10:25
   
흠...
눈길을간다 18-02-04 11:03
   
전면전 상황을 어떻게 상정하는가에 따라
탄약 소비량은 천차만별로 나올꺼 같은데요.
당진사람 18-02-04 13:25
   
하루에 1조원이상씩 쓴다고 생각하세요
     
정봉이 18-02-04 14:21
   
1개 사단의 소모량을 여쭤본건데요
4leaf 18-02-05 01:58
   
제 생각은 말이 일주일치지 일주일까지 갈까하는 생각입니다.

한국전쟁 당시에도 고지하나 점령하려 수백~수천발의 포병사격이 집중된 부분도 생각하면 상대 주 공격루트가 어디냐에 따라 포병의 사용량이 달라지지 않나 생각합니다.

한국전쟁 당시보다 포의 위력과 정확도가 올라갔어도 하루에 엄청난 소모량이 존재하리란건 뻔히 보입니다. 탄을 탄약고에서 수동으로 날랐다던 연평도 포격사건때도 K-9 3대가 한시간에 80발인걸보면 준비된 상태에서 쏘면 이 4~5배 아니 10배는 가뿐히 넘어갈겁니다.

일단 자주포와 견인포 합쳐서 155mm포만 3천문 가까이가는데 각 문당 하루에 30~40발씩 쏜다고 생각해보세요. 거기에 속사능력은 더 우월한 105mm는 어떨지... 박격포는 또..

한국군이 전면전에서 하루 작정하고 소모하는 포탄은 한국전쟁 이후 일어난 그 어떤 전쟁보다 많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