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9-18 22:41
[질문] 천무 과 하이마스 차이는 뭔가요?
 글쓴이 : 살수있다면
조회 : 5,079  

이번에 폴란드가 천무을 수입해 갈꺼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러 전쟁에서 하이마스의 위력을 본 폴란드가 하이마스 대신 천무을 구입할려고 한다는데요 
하이마스의 생산력이 딸려 폴란드가 원하는 기간내에 납품을 할수가 없어 
대신 천무을 구입한다 고 한답니다   ~유튭 피셜입니다 ~
뭐 폴란드가 구입하고 안하고 를 떠나서 
천무가 하이마스와 비교 될 정도로 좋은 물건인지 궁금 합니다 
우러 전쟁에서 다련장 로켓 발사대 몇십대 와 로켓으로 전쟁상황이 바뀔정도로 하이마스의 위력이 대단한거 같은데요 
천무은 어떤가요? 
발사대도 로켓도 한화에서 생산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밀초로써 궁금한게 
하이마스와 비교 했을때 천무은 어느정도의 물건일까요? 
천무가 하이마스나 m270과 나란히 볼만한 무기인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칼까마귀 22-09-18 22:47
   
비슷한 스펙과 성능이지만
일단 탄창 크기가 다르죠.
이것으로 설명 끝이죠.
Sanguis 22-09-18 22:47
   
순수 화력으로만 따진다면야 당연히 천무죠. 애초에 하이마스와 천무는 개념 자체가 틀린 무기

미군은 원래 M270 MLRS를 운용하고 있지만 너무 무겁고 궤도형으로 인한 기동성 제약 때문에 좀 더 저렴하고, 가볍고, 항공수송이 가능한 다련장포를 원해서 개발된게 하이마스에요

애초에 발사대도 천무는 12문, 하이마스는 6문.

천무는 M270과 비교할 급이고 하이마스와는 아예 개념 자체가 틀린거라고 보면되요.

하이마스는 가볍고 빠른 항공수송 등 전개를 위한 체계.
     
살수있다면 22-09-18 22:53
   
답변 감사 합니다
그럼 로켓은 어떤가요?
발사대도 중요하지만 로켓의 성능이나 위력도 중요할꺼 같은데요 ?
한화에서 만든 로켓도 무유도 유도로 나뉜다고 하는데요
로켓은 하이마스나 천궁이나 비슷할까요?
          
칼까마귀 22-09-18 23:02
   
간단하게 겸용과 호환이
된다고 봐도 됩니다.

탄창이 12발 그중에
6발은 M270급으로 무장으로
나머지는 하이마스급으로
장착을 할 수도 있죠.

어떻게 포탄을 세팅을 하느냐는 차이죠
          
대팔이 22-09-18 23:05
   
너무 기초적인걸 물어보시네...천궁은 대공미사일이고...
그런건 네이버 검색만해도 알수 있는데...
마치 M16과 K2의 탄약은 어떤차이인가요? 라는 질문같네요..
               
살수있다면 22-09-18 23:25
   
천무 이지 말입니다
제가 헷갈려서 제목부터 글 내용까지 천궁이라고 적었었네요 ㅎㅎㅎ
          
A톰 22-09-18 23:07
   
하이마스는 케이스가 2개 들어가고 하나에 보통 2개에서 6개의 각 기 다른 크기의 로켓이 들어가지만 천무는 탄약이 130미리에서 239미리 로켓과 400에서 600까지의 전술탄도 미사일까지 운용 가능 합니다. 천무2는 ktssm발사대 역할을 하구요. 확산탄과 열압력 관통탄등 다양 합니다.
케이티즘은 벙커버스터로쓰입니다.
          
Sanguis 22-09-18 23:07
   
하이마스는 결과적으로 M270 MRLS 12문 발사대를 6문으로 줄인거 뿐이에요. 그래서 가벼워진거고.

M270이 운용하는 무장은 고스란히 운용가능. 에이테킴스도 운용 가능하니 현 시점에서는 천무보다 화력은 훨씬 우위에요.

(한국은 에이테킴스와 비슷하게 운용하려고 KTSSM-II 개발해서 2021년부터 양산 들어가는데 아직은 천무에 인티가 안되어서 천무에 운용불가. 조만간 인티 완료되면 에이테킴스에 버금가는 300km 탄도미사일 운용가능해서 비슷한 수준이 되죠.)

물론 국방부 공식 피셜로 인티가 완료되었다고 발표한적이 없으니 알려진 내용만 가지고 말한거고..  실제로는 인티가 완료되었을지도?  이건 아직 검증불가해서 확실치 않음.
               
Sanguis 22-09-18 23:11
   
조금 수정하면 KTSSM-I이 양산 들어갔고 KTSSM-II가 아직 양산 전.

KTSSM-I은 천무가 아닌 고정발사대에서 발사하는거고 KTSSM-II가 이동식발사대인 천무에서 발사되는거.

이건 아직 양산중이라는 소식은 없음.
               
살수있다면 22-09-18 23:14
   
에이테킴스를 사용할수 있는 하이마스가 위력은 더 좋군요
답변 감사 합니다
                    
archwave 22-09-19 00:03
   
에이테킴스는 지대지 미사일로 분류될만한건데,
MLRS 를 발사대로 쓸 수 있도록 작게 만든 것에 해당하죠.
실제로 MLRS 에서 많이 쓰게 될 탄종인 것도 아니고요.

미사일 수출 규제 때문에 자유롭게(?) 수출 가능한 최대치에 해당하는 것이
KTSSM-II 와 에이테킴스입니다.
한국의 경우 개발은 해놨지만, 실제로 쓸 일은 거의 없다 봐야 하는 것이라서, 언제 양산하기는 할지 의문입니다만, 폴란드가 주문한다면 당장이라도 양산 들어가서 맞춰줄 수 있는 것이고요.
archwave 22-09-18 23:01
   
천무 : 6 발짜리 포드(탄창 ?) 을 2 개 운용. M270 을 궤도형에서 차륜형으로 바꾼 것에 해당.
HIMARS : 6 발짜리 포드 개 운용. 차륜형이고, 차체 고정 장치가 없음.

HIMARS 의 경우 무유도로켓을 연속으로 발사할 경우 차체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 때문에 정밀도가 더 떨어져버리지만, 어차피 무유도로켓은 광역 공격인거라 그 정도는 무시해버린다는 개념으로 볼 수도 있지만, 미군은 유도로켓(GMLRS) 를 주로 쓸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지라 문제로 여기지 않음. 우크라이나에게 준 것도 유도로켓만인 것으로 보임.

위에 말한 것외에는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봐도 됩니다. 다만 사격통제체제는 서로 다른 것이 들어갔다는 차이는 있겠고, 대부분의 탄종이 서로 호환되지만 대형 로켓은 호환 안 된다 봐야 함. 물론 약간의 개조로 운영이 가능할테지만, 어차피 다른 쪽에만 있는 탄종도 비슷한 것이 있다는 식이기에 굳이 그럴 이유는 없음.
     
살수있다면 22-09-18 23:18
   
답변감사합니다
역시 에이테킴스같은 로켓이 있어야 겠네요
도나201 22-09-18 23:01
   
정확히 말하면 하이마스가 우세한 이유는 바로  군사GPS의 능력차입니다.
독자적인 GPS 체계를 구축한 능력이 된 것만 거기에 군사GPS 에 걸려잇는 보안장비및 관련해서
방해전파등등.  가장 안전한 체계를 구축했다라는 것이죠.

러시아도 이러한 대방사포가 없는것도 아닌데 왜.. 밀리냐.  하는데  바로 이 자체 GPS인 글로나스에 해킹문제와 전파방해가  원인이 되서  활용을 잘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이마스가 생산이 안되서라고 하는 것은 다 뻘짓거리소리고,
이하이마스의 GPS관련해서 기밀사항이  붙어 있기에 수출형에서는 이걸 뺀것을 판매한다고 했을 겁니다.
그러나 하이마스에서 이걸 뺀다고 하면 정확도및 기타관련해서  이러한 GPS체계없으면 사실상 무유도 폭탄과 다를바없기에.    아마도  수출용 하이마스의 능력치에 대해서  상당한 의문이 생길겁니다. 

그런 그와중에 자체적인 GPS체계를 구축하면서 서방제무기에 호환이 가능한 것이 바로 천무입니다.
물론 MLRS 도 있기는 하지만,  M270 관련해서는  구 수입국이 대부분  미군주둔지가 있는 국가가 대부분입니다.

후에  미군주둔해서  이에 관련한 미군GPS를 이용할수가 있죠.

하지만 이러한  것 없이  독자적으로 어느정도 오차율이 5M  글로나스, GPS, 유럽GPS망인 갈릴레오    거기에 후에 국산 KGPS망 까지  혼용해서  운영할수 있는  것이 바로 천무입니다.
민간 GPS 망을 같이 활용이가능하기에 전파방해및 기타관련 문제에 대해서 어느정도 해결책이 있고,
후에  미군주둔하게 되면  미군의 GPS 망을 구축지원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에이테킴스도 그낭 발사포드로 사용하고 미국에서  지정좌표 지원이 가능하게 되죠.

현재 전자전에 방해전파가 엄청나게 나고 있는데  그 걸 교묘히 피한 작품이 바로 천무 입니다.
오차율도 5M 정도이니.  사실상 없는거나 마찬가지고 .

전략거점 타격에는 적절한 무기이기도 하고,  거기에  하이마스는  항공이송을 위한 경량화에 집중해서.
사실상 폴란드로서는 굳이  단열포트를  사용할 이유도 없습니다.
이미 거점 지역확보 상황에서  타격목표만 떨어지만 바로 저지해야 하는 임무이니.

거기에 이동성 및 기타관련해서  사실상 러시아가 갖고 있는  방사포관련해서는 전혀 다른 물건이죠.

거기에 위장성이라던가 기타 관련 기술이전부분에서  탄약 관련해서 . 지원체계자체가 차원이 다르고,

단순하게 GPS 로  통합해서 이야기했는데 자세히들어가면 엄청난 부품의 세계가 펼쳐지고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에 대한  부분도 다르게 느껴질겁니다. 정말로 이름도 헛갈리는 부분도 많고 해서  그냥 일률적으로 GPS계열의 문제때문이다... 라고 생각하는게  속편합니다.

뭐 몇가지 부품안다고 그걸가지고 꼬투리잡고 하는것에 질려서. 미리이야기합니다.
     
살수있다면 22-09-18 23:20
   
아.. gps 관련은 전혀 몰랐네요
오늘도 한수 배웁니다
     
호밀빵 22-09-18 23:36
   
사실 이게 핵심이죠...
많이들 눈에 보이는 화력에만 집중하고 정말 중요한 GPS, 전자전기, 재밍, 통합시스템 등은 무시하더군요. 미국이 진짜 무서운 건 이런 건데...
단지 미국이 사용할 때 얘기고...
하이마스 수입국들은 반 쪽 짜리 성능이 되기 때문에 독자 성능의 천무가 더 낫죠.
간단히 말해서 미국 에이브람스 전차 같은... 미국이 사용하면 열화 우라륨을 쓰기 때문에 최고인데, 수출은 이걸 빼기 때문에... 비싼 쓰레기.
     
아이쿠 22-09-19 02:35
   
천무에 사용되는 유도로켓은 군용gps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국산 유도로켓은 매우 정밀한 관성항법(INS)을 주력으로 사용하며
상용gps들로 오차를 보정합니다

미국 유도로켓은 군용gps가 주력이고 이것이 교란당할때
INS로 보조하는것과는 정반대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군용GPS는 매일 미군으로 부터 암호코드를 받아 갱신해줘야하는
문제점등으로 우리군은 군용 GPS사용을 포기했습니다.

대신 정밀한 INS를 만드느라 유도부 가격이 비싸졌고
양산 물량에서도 큰 차이가 있으니
당연히 국산 유도로켓이 M31보다 훨씬 비쌉니다.

만약 폴란드에 수출하면 우리군 유도로켓을 그냥 팔기에는 가격적인 문제가 있고
유도부를 군용 GPS로 바꿔주려해도 개발비가 다시 투입될것이며
그래도 미국의 M31보다 비쌀 가능성이 크며
미국의 M31을 그냥 인티 시켜 주기에는 미국의 허락과는 별개로
다연장 로켓시스템에서는 발사차량보다 로켓을 팔아먹어야 돈이 되는건데
이걸 미국거로 달아주면 재주는 한화가 부리고 돈은 록마가 가져가게 되는거죠

그리고 저아래 무유도 로켓의 문제도 써놨는데
기존에 생산하던 무유도 클러스터탄 로켓은 미국 라이센스 생산이였는데
미국이 클러스터탄 생산을 중단하면서 라이센스도 종료되어
무유도 로켓의 생산이 중단되엇습니다

MLRS의 핵심은 로켓인데
무유도 클러스터는 라이센스생산 중단
유도로켓은 미국꺼보다 비씬상황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내야 하는가?
뭐 한화가 알아서 잘하것지 ㅋ
          
도나201 22-09-19 05:29
   
대충 내막은 잘알고 계시네요.
그런데  핵심은 2028년에 KGPS 체계를 운영한다라는 것이고
이에 대한 군관련 통신체계까지 완성되는 단계라서 .
아마도 군사용관련 GPS를  시범운영하게 될겁니다.

이걸 위해서 이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우주관련 위성분야까지 이미 손을 데고 있는 상황이고,  표면적으로  자탄관련 로켓 사업은  자회사식으로 독립을 시켜놔서 
표면적으로는 MLRS 관련 로켓과는 관련이 없는 회사입니다.

정확한것은 2026 이 되어봐야 그실체가 나올것으로 예상되고 잇습니다
          
nigma 22-09-19 17:55
   
흠, 미군 군용GPS 사용문제는 우리가 그걸 포기했다면 폴란드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폴란드라고 매일 미군으로부터 암호받아 갱신하는 번거러움이 사라지진 않을테니 말입니다.
대신 폴란드에서도 대량주문하면 단가가 내려가니 우리와 폴란드 같이 좋을 듯합니다.
벌레 22-09-18 23:01
   
파이어파워 x2+@
bonus : targetting speed up + self defense up
하이마스와 비교할 물건이 아님
ㅣㅏㅏ 22-09-18 23:14
   
하이마스는 수송기에 싣기위해 m270 포대 반절로 자르고 트럭에 올려 기동력을 올린건데.
천무는 첨부터 m270을 벤치마킹하고 개선해서 화력을 그대로 차륜형으로 바꾸는걸로 개발을 했죠. 기존 구룡탄도 호환되고 m270 주력탄도 벤치마킹하고 현무탄도탄까지 넣어서 화력도 별차이없습니다. 게다가 가격이 싸죠.
먼저간다 22-09-18 23:49
   
탄 가격비교도 필요할겁니다
들리는 말로는 현재 우리군이 사용하기에는 미국 수입탄 사용한다는 말이 있어요
그게 현 우리 생산보다 싸다고 하더군요
좀 이해가 안가던데
그런 부분에 대한 지원을 미국이 거부한다는 말도 있어서 어떻게 전개될지는 지켜봐야 할겁니다
     
archwave 22-09-19 00:29
   
천무 다연장로켓의 개발비는 약 1,300억 원이고 양산비용은 약 3조 5182억 원 정도다. 대부분은 탄약체계 가격이다. --- 라고 합니다. 천무용으로 탄 양산을 조 단위로 했습니다.

예전 M270 용으로 들여온 탄, M270 에 쓰려고 생산했던 탄을 천무에도 쓸 수 있게 한 탓에 나온 말인 것 같네요.

어쨌든 탄 가격은 양산 수량 영향도 많이 받는거라서요. 폴란드가 사간다면 탄도 엄청 양산할테니 미국제보다는 싸질거 같고요.
          
살수있다면 22-09-19 00:46
   
천무가 하이마스 가격의 반이라고 하는 말이 있는데
탄의 가격이 아니고  발사대를 말하는건가 보네요
               
archwave 22-09-19 04:05
   
그렇죠. 발사대등의 체계는 국산이 경쟁력이 있지만, 탄은 복잡한 문제들이..

탄 종류, 양산 규모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것이고, 폴란드 정도로 대규모 물량이라면 국산도 경쟁력이 있을거란 기대 정도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이쿠 22-09-19 02:05
   
천무 다연장의 주력 탄종(양산 물량의 70%)이 KM26A2탄인데
KM26A2탄은 무유도 클러스터탄입니다

KM26A2에 들어가는 DPICM(이중목적자탄)은 미국꺼 면허생산 이였고

미국이 CCW(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에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자국내 법을 만들어 자탄 불발율 1%이상의 물건은 양산과 사용을 금지하게 되고
우리나라 풍산이 생산하던 KM26A2도 라이센스가 종료됩니다.

즉 지금은 천무의 주력 탄종 KM26A2양산이 중단 되었으며
기존 탄의 오버홀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폴란드에 천무를 팔려고 해도 이 무유도 클러스터탄이 가장 큰 걸림돌 입니다.

지금은 풍산도 1%이하의 불발율의 자탄을 연구중이고
한화도 탄약 산업에 숟가락 올리려고 자체 개발한 1%이하 자탄을 개발했지만
올해 초 미국에 가져가 실사격 테스트에서 불량율이 1% 넘겨서 빠꾸먹었습니다.

풍산은 자체 개발 로켓 생산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그동안 수십만발이 대량 양산된 KM26A2 계열 탄과는
가격 경쟁이 불가능 한 수준으로 비쌈

다연장은 발사체계보다
로켓의 비중이 7~80%에 달하는 무기체계인데
기본으로 싸게 대량으로 뿌려대야할 무유도 클러스터탄이
가격이 비싸다면 대량 양산이 불가능함

KM26A2탄의 불발율 1% 이걸 미국과 쇼부를 치던가
1%이하를 달성하던가 해야만 천무 판매가 가능하리라 생각됨
     
살수있다면 22-09-19 02:53
   
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에 우리나라도 가입이 되어 있나요?
말씀데로 풍산에서 개발중인 탄이 불발률 1프로를 넘겼다지만
미국을 따라할 필요는 없을꺼 같아서요 
풍산탄을 국내에서 사용하는거는 문제가 없는지요?
만약 폴란드에 수출을 한다면 문제가 되겠네요
          
archwave 22-09-19 03:25
   
한국, 폴란드, 러시아 모두 가입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런데 불발율 1% 이하는 미국이 법 만들었다지만, 정작 미국도 달성 못 해서 해당 로켓탄은 아무도 생산 안 한다는 묘한 상황. ( 미국도 협약은 가입 안 함 )
          
아이쿠 22-09-19 03:30
   
미국도 가입을 안했지만 자국 국내법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나 폴란드는 당연히 가입을 안했구요

기존에 생산해놓은 탄을 사용하는건 문제가 안되지만
추가 생산하는것은 막힌 상황입니다

이걸 1%이하로 개량하던가
아예 미국 특허를 회피하는 국산 물건을 만들던가 해야하는 상황인데

국산화는 가격적인 문제가 크고
1%이하로 개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mlrs의 용도가 크게 2가지인데
1. 전략 모표 타격 (유도 로켓 + 미사일)
2. 대량의 기계화 부대 면적 단위로 청소 (무유도 클러스터)

폴란드가 500세트에 달하는 시스템을 구입한다고 하는데
이거 전시에 사용할 로켓을 생산하려면
10조원이상을 로켓 생산에만 쏟아 부어야 하는 수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로켓은 무조건 기술이전 해서 자국 생산을 할려고 할거고
생산 단가 억제 못하면
폴란드 육군 부도날 수준입니다


그런데 하이마스는 2번 임무를 수행할 무유도 클러스터탄 자체를 사용못하니
폴란드가 500세트 구입한다고 했던건
군부가 뭘 모르고 착각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1번 임무용으로 도입할거면 50~100세트면 떡을 치기 때문이죠


폴란드는 천무 밖에 답이 없는데
지금 한화랑 풍산 폴란드 담당자가 앉아서
로켓 생산을 어떻게 하면 싸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을겁니다
          
archwave 22-09-19 03:33
   
무유도 클러스터탄을 미국에서 설계 받아서 한국이 라이센스 생산하고 있었든데, 아이쿠님이 말씀하신 이유로 인해 라이센스 계약이 갱신 안 된다는 것이 문제죠.

미국법으로는 사용도 금지되었다지만, 한국이나 폴란드가 사용하는 것까지 막힌 것은 당연히 아닙니다.

현재 상태로는 라이센스받은 무유도 클러스터탄을 더 이상 신규 생산할 수 없고,
한국이 독자 개발/생산한 무유도 클러스터탄을 천무에 쓰면 됨.
               
아이쿠 22-09-19 03:37
   
그런데 폴란드가 500세트 구입한다고 하는데
이거 전시비축탄약 생산하려면

그 금액이 어마어마 할터인데
국산 물건으로 생산해서 가격이 xx% 상승한다면
조단위의 비용이 왔다 갔다 하는 문제라

뭐 폴란드 입장에서는
풍산이나 한화가 1%이할 달성하길 기원하거나
국산 로켓 라이센스  밖에 선택지가 없긴 합니다
어벙이 22-09-19 03:38
   
윗분들이 설명 잘해놨네요
중요한건 발사 미사일임
이게 미국같은 경우 군사용gps임 이게 제약이 많음
미군이 암호등 따줘야하고  기한도 2주라
사우디?아랍쪽 애들이 그래서 재대로 못쓰는중이고
거기다 탄가격도 비싸고 자국 무기 호환등 미지수라 
유지비도 비싼  미국꺼 써야는데 허락받아야하는
그냥 국산으로 가면 정밀도 좀 떨어지지만 미국간섭없고
폴란드 자국 무기 통합등도  협조적이라
여러모로 자국 방산도 키우고 유지비도 절감  미국 눈치볼것도 없고
     
아이쿠 22-09-19 03:41
   
유도 로켓은 미국산 m31보다 국산 유도로켓이 더 비싼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만약 폴란드가 우리나라와 함께 대량 양산 하면
가격이 낮아 질수는 있겠네요
N1ghtEast 22-09-19 13:03
   
하이마스는 신속전개용 공수자주포대 개념
미해병대 신속전개에 화력보조를 위한 기종으로 공중수송기 탑재가 용이한 모델

재래식 전력이 수상으로 집결하기 전까지
신속전개시킨 미해병대의 화력증강을 위한 자주로켓포대

일단 빠르게 전개시킨 장갑차+드론+하이마스정밀타격 + 공중지원으로 버티다
2차로 도착한 재래식 풀 전력으로 후려버리기

함재기들로 공중장악, 장갑차 하이마스 신속이동
정찰과 드론으로 보는 족족 하이마스 정밀유도로켓으로 박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