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2-16 03:22
[질문] 중국 전투기와 kf21 비교 - 이 표가 맞는 건가요?
 글쓴이 : Lopaet
조회 : 4,102  


_ xml_ns="http://www.w3.org/1999/xhtml" cellspacing="0" cellpadding="0" dir="ltr" border="1" data-sheets-root="1" style="table-layout: fixed; font-size: 10pt; font-family: Arial; width: 0px;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 none">
항목 J-7 J-10 J-11 J-16 J-20 KF-21
개발년도 1960년대 199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10년대
엔진 개수 1개 1개 2개 2개 2개 2개
항속거리 850km 1,850km 3,500km 3,900km 5,500km 2,900km
최고 속도 마하 2.0 마하 2.2 마하 2.5 마하 2.0 마하 2.5 마하 1.8
레이다 범위 90km 120km 170km 170km 200km 120km
무장 중량 7톤 7톤 4.5톤 12톤 12톤 7.7톤
세대 2세대 3세대 3.5세대 4.5세대 5세대 4.5세대
중국 보유 대수 1,000대 이상 500대 이상 350대 이상 250대 이상 200대 이상 -

궁금해서 검색해 찾은 표인데 중국 전투기 스펙이 뭔가 이상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이스가이 24-02-16 04:01
   
중국전투기 스펙은 아무도 모른다고 하던데 말이죠
천추옹 24-02-16 04:32
   
동일 기준이 아닌듯..
j20찾아보니 Range: 5,500 km (3,400 mi, 3,000 nmi) with 2 external fuel tanks
연료탱크 2개 추가로 달은  범위..
     
구름위하늘 24-02-16 11:29
   
항속거리(ferry range)는 보통 외부연료탱크를 추가한 상태에서 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내/외부 연료를 최대로 채우고, 무장은 하나도 없이 갈 수 있는 최대 거리로 표시됩니다.
그래서 참고자료로는 사용하지만 현실성은 많이 없는 수치입니다.

오히려 내부연료만으로 항속거리를 제시할 때에 그걸 명시해서 표시하더군요.
bluered 24-02-16 06:55
   
풉....
대팔이 24-02-16 07:58
   
일단 체급이 다름...
필립스 24-02-16 08:16
   
ㅋㅋㅋㅋㅋㅋ 뻥스펙. ..  레이더걸릴까봐 못나오는 스텔기가 있다던데??
slrkanfk022 24-02-16 08:45
   
짱ㄲ 스펙이 사실이라면 미국을 능가하며
전투기시장에서 엄청난 수출도 나와야함.
현실은 그냥 개 ㅈ망.
실제 사서 써본 나라들 전부
아.c바. 호구당했네 임.
하나박 24-02-16 09:14
   
저 해충새키들은 스펙을 뻥튀기 하더라도 좀 현실성있게 해야지 븅 신들 ㅋ
그나저나 중국산 전투기라니.. 개끔찍하다
태양속으로 24-02-16 09:47
   
J-20의 저 스펙은
2100년 이후에 WS-9999가 개발되면 달성되는 성능입니다.
뭐 2100년 되면 중국 레이더를 포함하여 다른 성능도 향상될 예정입니다.

뭐 대충 2100년 이후의 스펙이라고 보면 얼추 맞는 것 같네요.
그 전에 중국이 망할 가능성이 99% 이긴 하지만,
뭐 1% 확률로 존속된다면 2100년 이후에는 달성될 겁니다.
ㅣㅏㅏ 24-02-16 09:51
   
f-22 항속거리 연료통2개 달고 3000km 임. f35가 2200km 고 달린 AN/APG-81 레이더 탐지거리가 160km 임.
스펙 뻥튀기도 적당히 해야 반신반의라도 하지...
revneer 24-02-16 11:38
   
중국 엔진은 조루로유명한데 항속거리나 속도는 다 뻥이지
구름위하늘 24-02-16 11:53
   
공산권 비행기가 설계사상의 차이인지 비교적 서방권 전투기에 비해서 항속거리가 길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엔진은 서방권과 비슷하거나 떨어지고
비행기 자체무게는 더 무거우니
서방권보다 연료탑재량이 더 많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나201 24-02-16 13:38
   
우선은 델타익  날개에 따라서  항속거리가 늘어납니다.
어떻게든  항속거리관련한 부분에서 남중해의 제1도련선전략에 따라서
이와 관련한 항속거리를 원하던상황이였습니다. 

정확히는 필리핀연안까지 비행할수 있는 항속거리를 원래 원했기에 .  생각외로 J20 의 형상은
오징어형이 될수 밖에 없었던 상황인데..
여기에 카나드장착은 어찌보면 필수였죠.    다만 그에 따라서 저공비행성능의 하락을
필연적이고,     

현재 KF21 의 항속거리는 2700KM 미만이였으나,  인도네시아가 항속거리의 증가를 빠득빠득 우겨서
연료통두개를 단 상황에서 겨우 3000KM 항속거리에 미치지 못한 2900KM 에.  협안점을 찾게 됩니다.

다만 문제는  우리가 공중급유장치의 필수장착이라서 . 이에 대해서는 좀 문제가 있습니다.
공중급유장치의 두타입의 문제를 거론하지 않을수 없는데.
이부분에서도  나중에 변경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에 따라서 우리에게는 KF21N 형의 개발에 개발비용의 절감이 나오겠지만,
UAE 폴란드 사우디  등지에서 몇몇 요구사항이 있는데.
바로 항속거리의 3000KM 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블록2에서는 이문제가 정면으로 나올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폴란드에서 거론하길... 방사청 피셜.  KF21 블럭1 구매를 필수조건으로 제시했다고 합니다.
그후 공동개발로 이어지는  후에 개량으로 가는  선구매  후개량    대신 12대규모의 도입이 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레이더관련한 부분은 아직도 확정된 사항이 아니라서 뭐라 말하기 그렇고,
그리고 탐지표적에 대한 대상도 미묘하고 .  거론하기 좀 애매합니다.
민간항공기 대상으로 200KM 가 넘는 탐지효과를 나타낸다라는 이야기도 있고, 
후에 또 성능개량을 통한 사양변경이 가능한 상황이기에  정확한 탐지거리를 논한다라는게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J20 의 탐지거리이야기는 냉각장치의 성능으로 인해서
5분이상 탐조가 불가능하다라는 이야기는 들리고 있습니다.
항속거리 역시 최대한 무게를 줄인후에 항속거리를 체크했다라는 이야기도 있고,
우선은 항속거리는 KF21보다는 낫다라는게 중론입니다.

12톤무장을 달일도 없을 것이지만,  기본무장으로 한다면  항속거리는 3800KM 는 달한다고 보고있습니다.
이건 뭐 항모형은 사실상 힘들고, 

결국 J35 가 나올때 대충 그성능을 파악될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뭐 엔진은 J16 관련해서 크게 나아질것은 아닐것으로 보고있고,

실상 서해상에서 공중전이 나온다고 가장할때,  KF21 의 성능이 더 우위로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결국 동해로의 진출이 힘들다고 한다면 .

사실상 중국의 공군은 그다지 염려할게 못됩니다.
북한을 통한 동해상진출이 가능해진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만 말이죠.
     
구름위하늘 24-02-16 14:40
   
카나드는 고속 비행과 저속 비행에서 안정성 확보라는 장점이 각각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공비행성능의 하락"을 언급하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도나201 24-02-16 15:19
   
밑에 이야기했잖아요..... 델타익구조로 항속거리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카나드는 필수라고.....ㅡ.ㅡ
               
구름위하늘 24-02-16 16:57
   
??? 본인 댓글에서 어떤 부분을 이야기 하는지 모르는 것 같은 답변이네요.

"J20 의 형상은
오징어형이 될수 밖에 없었던 상황인데..
여기에 카나드장착은 어찌보면 필수였죠.    다만 그에 따라서 저공비행성능의 하락을
필연적"
카나드 장착을 해서 저공비행성능이 하락이 필연적이라고 주장하셨잖습니까?
그 하락된다는 저공비행성능이 어떤 것이냐고 질문한 것입니다.
방탕중년단 24-02-16 15:33
   
작전반경 5,500키로... ㅎㅎㅎㅎㅎ 침수전투기를 만드는 놈들이 무슨..
땡말벌11 24-02-16 16:29
   
KF21 레이더 탐지거리는 137Km인데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아닌 소프트웨어쪽의
기술미흡이라 추후 200Km까지도 확장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위의 120km는 틀린 듯
그리고 공중전 특화 장비 및 전자전 능력 생각하면 KF-21이 저런 수치를 무색하게 만들죠.

KF21 블록2와3의 크기와 형상 변화는 예측할 수 없지만 블록3는 확연하게 다를 거라는 이야기가 많은데
수출요구국에서 요구하는 전투반경과 항속거리와 내부무장창을 전반적으로 고려하면 말이죠.
user386 24-02-17 00:23
   
우선 공산국가의 스팩을 곧이 곧대로 믿는 바보는 없겠죠...
저기 J-20만 해도 시커먼 연기를 연신 내뿜는 러시아제 짝퉁 카피켓 엔진으로 항속거리가 5500Km?...ㅋ

* 참고로 엔진에서 시커먼 연기가 지속적으로 난다는것은 불완전 연소가 심하다는 말이고
필요이상의 연료소모가 많다는 말...
     
땡말벌11 24-02-17 10:05
   
그거 최신 중국 자체 제트엔진에서는 연기가 안나요. 많이 개선된거죠.
중국 내에서도 호평이 자자하던데요. 대만족이라고.........
중요한건 엔진수명이 미국에 1/3도 안되는거죠.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