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5-26 13:58
[뉴스] 워싱턴포스트> 우크라전 엑스칼리버 포탄 명중률 10% 이하
 글쓴이 : 노닉
조회 : 1,559  



Washington Post는 24일 입수한 우크라이나의 기밀 자료를 인용해 “미국제 GPS 유도 무기는 러시아군의 재밍 기술을 견디지 못했고, 우크라이나 군은 일부 무기의 사용을 중지할 수밖에 없었다."라고 전했다.


“GPS 유도 엑스칼리버 포탄은 전장에서 유효성을 보여 2023년 초까지의 명중률은 50% 이상이었지만 수개월 후에는 10% 이하로 떨어졌으며 미국은 러시아군의 재밍 기술에 대한 개선책이 발견되지 않자 엑스칼리버 포탄의 공급을 정지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군 포병은 공급 정지 이전부터 (명중률이 낮은) 엑스칼리버 포탄의 사용을 거의 멈추고 있었다.”


HIMARS는 후방에 위치하는 적 사령부나 탄약고의 공격에 성공하여 칭찬받았지만, 러시아군이 GPS 신호를 무력화하자 완전히 효과를 잃었다. 그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은 비싼 HIMARS의 탄약을 우선순위가 낮은 목표에의 공격에 사용하게 되었다. “HIMARS 공격을 관측하기 위해 무인기를 날렸지만, 모니터를 통해 로켓탄이 목표를 벗어나는 것을 낙담하면서 보고 있었다”라며, 현재는 HIMARS를 사용하기 전에 목표 근처의 방해 장치를 드론으로 파괴해야 하며 운용 자체가 복잡해지고 있다”


“JDAM도 재밍 기술에 대한 내성이 없어 실전 투입 후 몇 주 후에는 명중률이 저하, 우크라이나 군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미 국방부와 보잉은 3개월 후에 개량한 시스템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개선된 명중률은 60% 이상이 되었다. GBU-39는 전장에서 재밍에 대한 내성이 증명되어 사용된 GBU-39의 90%가 목표에 명중했지만, GBU-39의 지상 발사형(GLSDB)은 공중 투하형에 비해 효과가 없다고 밝혀졌다”


“영국이 제공한 Storm Shadow는 관성 항법 유도와 지형 프로파일 매칭 등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재밍의 영향을 받기 어렵지만, 러시아군은 Storm Shadow의 요격에 일정한 성공을 거두고 있다. ATACMS도 전장에서 성공했으나 우크라이나 당국자는 "지금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무기도 1년 이내에 효과가 감소할 것"이라고 다른 당국자도 "러시아는 지금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무기와 전투를 배울 것이고 이것이 군 확 경쟁의 구조라고 말했다.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의 로브리는 Washington Post의 취재에 “많은 무기는 투입 직후에 강력한 효과를 발휘했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효과는 없어져 간다.이것은 항상 적응하고 개선을 시도하는 적대자와의 끊임없는 몰아치기의 일부로, 방해 기술과 같은 러시아의 방위 수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방위 기업의 관여가 중요하다. ”라고 지적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럽코리아 24-05-26 18:01
   
이 부분은  우려되는 사항입니다.

미군 무기들은 기본적으로 군용 GPS를 사용하고  암호화를 하고 있는데도 러시아 재밍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미군보다  동등 또는 하위  동맹국 유도무기들의  무력화를 가져올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북한은  이미 GPS 재밍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수준이 러시아에 비해 어느정도이냐가 관건인데 최근 북.러가  좀더 친밀한 관계로 바뀌면서  우려감을 지울수 없습니다.

GPS 는 미국의 위성 항법시스템 이름인데  보통은 GNSS 라고 합니다.    GNSS를 이용한 위치유도는 어떤 유도장치보다  정확하지만  외부 위성으로부터  정해진 대역의  작은 신호를 받기 때문에  재밍에 취약할수 밖에 없습니다.

향후 미국에서 항재밍 기술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동맹국 유도무기들의 정확도는  심대한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겠습니다.

INS는 기본탑재이지만 그 정확도가  GPS보다는 훨씬 떨어지기 때문에  지형대조등과 같은  하지만 간단한 방법의  위치인식 방법의 개발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봐야겠죠.
     
archwave 24-05-26 18:26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 있어서 첨언합니다.

INS (관성항법장치) 가 기본인 것은 미사일 부류의 얘기이고, 포탄/폭탄 수준에 넣기에는 비싸기 때문에 넣지 않죠. 포탄에 넣기에는 크기도 문제가 되겠네요.

INS 를 쓴다면 GPS 재밍 당해도 정확도만 좀 떨어질뿐이죠.

그리고 포탄 사거리, 활공 폭탄의 사거리 정도에서는 INS 의 정확도가 GPS 에 비해 그리 떨어지지도 않습니다. 물론 미사일에 들어가는 INS 가 아니라 싸구려 INS 를 쓴다면 정확도가 꽤 떨어지겠지만요. 싸구려 INS 는 포탄에도 들어갈만한 크기일테니 나쁘진 않습니다.

지형대조등과 같은  하지만 간단한 방법의  위치인식 방법은 개발된지 반 세기도 넘었고 미사일 부류에서는 널리 쓰이고 있죠. 아마 말씀하신 것은 포탄/폭탄 수준에도 넣을만한 크기/비용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실텐데요. 이거와 싸구려 INS 를 쓰면 좋긴 하겠네요.
푹찍 24-05-26 22:24
   
ins로 세발씩 발사하면 됨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