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3-21 15:05
[해군] 미 해군, 걸프스트림의 G550 조기경보기 1기 구매
 글쓴이 : 넷우익증오
조회 : 4,269  

미 해군이 걸프스트림 사의 G550 조기경보기 1기를 구매하기로 했다 합니다. 9,1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고 하네요. 2018년 12월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http://m.blog.naver.com/ykk1995/220660531975

 미국의채택이라는 프리미엄 까지 얻게되는군요
탄도미사일추적은필수인데 우리는 없다는게..ㅠㅡㅠ
솔직히 업그레이드 사업 걱정됩니다
미국이 채택을 안하면 이꼴 나는거죠
업데이트비용 호주 터키 한국 카타르
중에서대야 합니다 G -550은 그럴 걱정이 없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피노누아 16-03-21 15:43
   
경쟁 당시 스펙은 호각이었으니까요.
게다가 우린 보잉 무기를 많이 사서 그런지 시작부터 기왕이면 보잉...(더 크고 믿을만하다...식의)이란 분위기가 존재했고.
기존에 민간용 베이스 기체(백두/금강;;)로 디인 경험이 있어서 더욱.

암튼 결과적으로 미군 도입 메리트가 더해져서 g550 전망이 더 밝긴 하네요.
나무와바람 16-03-21 16:03
   
우리의 조기경보기 피스아이의 성능에 말들이 참 많던데...몇대 없는 소중한 기체가 이러니....쩝..
KCX2000 16-03-21 16:33
   
정확한 성능을 비교해보면 g550이 채택될일이 절대없습니다.;;;

당시에 비밀같은 곳 한다하는 전문가분들도 다들 737이 좋다고 찬성했구요

개인적으로 저랑 몇명은 737말고 767을 원했지만 어차피 소수 의견이라 묻혔죠

조기경보기에 당연히 들어가는 신호정보수십기능도 737엔 포함되어있지만 g550은 기체 크기가 작아서

통합도 못했고 나중에서야 은근슬쩍 추가로 신호정보수십기를 한대더 필요하다고 나발붑니다.

g550이 채택됐다면 원래안대로 조기경보기 4대가 아니고 총 8대의 g550이 필요하단소리죠

하나에서 열가지중 한가지 빼고는 737이 훨 우세했어요

간단하게 조기경보기의 필수항목인 레이더 탐지거리가 g550 737은 두배가량 차이나고 737이 767과 다시 두배정도 차이납니다.

우리가 g550을 채택했다면 항공쪽바리대 767의 1/4밖에 안되는 레이더 탐지거리를 가졌겟죠
KCX2000 16-03-21 16:43
   
그리고 자꾸 업그레이드를 걱정하시는데 호주,터키가 우리보다 훨 땅땡이도 크고 작전구역도 넓습니다.

필요하다면 좁은 땅땡이 대한민국보다 먼저 업글하겟죠.

업글에 필요한 개발비용이야 선빵으로 돈낸국가한테 후발주자가 개발비용 일부를 주는것도 방법이고

아니면 한국,호주,터키 3국이 공동으로 보잉에 업글패키지를 요구할수도있고 이스라엘 iai사는 이런식의

개량은 도가텄으니 돈만주면 업글해줄겁니다.미국국회의 부품 수출은 논외로 쳐야겠지만요
울묵뻬기 16-03-21 16:45
   
하드웨어 적으론 피스아이가 우위죠.
소프트웨어만 업그레이드 시키면 G550보단 확실한 우위를 가지는게 피스아이죠.
뭐 G550 별로 부러울것도 없습니다.
게다 미해군이 정식 장비로 채택한것도 아닌데요.
연구용으로 한대 도입한걸 가지고 확대 해석까진 불필요하다고 보고요.

아무튼 탄도탄 추적 기능은 조기 경보기의 부가적인 기능이지 본 기능은 아니란 겁니다.
조기에 적기의 내습을 잡아내고 추적해서 아군의 방공세력을 유도한다는 조기경보기의 본기능에선
아직도 피스아이가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으니 별로 부럽지도 않고요.
넷우익증오 16-03-21 17:11
   
그런데 우리는 왜 콘솔 풀로 안 채우고 들어왔나요 단순히 예산상의 문제 때문인가요
     
울묵뻬기 16-03-21 17:24
   
콘솔을 풀로 채운다는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는데 피스아이 체급에 콘솔 10개면 적당하지요.
호주, 터키도 콘솔을 풀로 채우지 않고 있지 말입니다.

더구나 G550은 콘솔이 6개입니다만?
그런데 조기경보기의 콘솔이 많다고 해서 꼭 유리한 것만은 아니지 말입니다.
우리 밀매들은 콘솔 한개당 관리 할수 있는 한계가 얼마다를 종요시하고 많이 따지는데
콘솔이 많으면 많을 수록 유리한건 사실 이지만 첨단 기기일수록 인터페이스의 확장력이
중요하다고 봤을때 기체의 체급상의 규모로 봤을때 G550은 솔직히 피스아이의 하위 체급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사통팔달 16-03-21 17:48
   
우리나라 콘솔 8개 아닌가요.기체크기랑 작전시간 따지면 피스아이가 좋긴하죠.조종사 더태우고 공중급유 받아가면서 운용인원 몇명더태우고 1/3씩 쉬면서 가능하죠,g550은 기체크기가 그정도 안되고요.g550도 업그레이드 많이해서 우리가 쓰기에 성능 모자란건 없고 무인화 계획도 있죠.
보통이 16-03-21 18:37
   
제 기억으론 일단 그렇습니다.
737 AEW & C 기체는 미 공군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진 기체가 아닙니다. 아마 호주 공군 웨지테일 사업 요구 사항에 맞춰서 개발한 걸로 압니다. 조립만 보잉이 한 것일 뿐, 웬만한 ROC는 모두 호주 공군이 제시한 것으로...그러고 보면 호주가 최근 많이 언급되기는 하는군요.

G550은 당시 이스라엘쪽 오퍼상이었던 린다 김 사무소에 대한 감정적 대응(XP800, 이양호 의장 건)도 없지 않아 있었던 걸로 기억해요. 기체 내부 용적 비교가 굉장히 비중있게 다뤄졌었거든요. 백두/금강 호커기 내부에서 워낙 고생한 경험도 부각되었고...뭐 성능상 체적 수색 범위가  737에 비해 약간 적었던 것도 요인이기는 하구요. 그냥 이 정도로 당시 상황이 기억나네요.

지금 돌이켜 보면, 진짜 문제는 바로 그 애매한 주파수 선정에 있다고 봐요.
737의 MESA 레이다는 당시로선 획기적으로 탑 마운트/탑 햇(Top hat) 어레이 방식으로 레이다를 장착했어요. 비행역학적으로 매우 좋은 선택이예요. 다만 이렇게 하기 위해선 레이다가 기존 AEW&C 기체 레이다보다 가벼워야 했어요.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애초에 가벼운 레이다여서 이렇게 장착했기 보다는 이렇게 장착하려고 봤더니 가벼운 레이다가 필요했었다라고...L밴드로 AESA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말이죠.

그래서 기존 E-3C나 767 계열의 조기경계경보기가 쓰던 2~4 GHz(E/F밴드;KG 단위계 혹은 S/C밴드;영미식 단위계-나토 공용이라 KG System을 강요하는데 말이죠. 우리가 유럽과 방위 협정을 맺고 유지하는 게 아니라면 군용으로는 영미식 단위계를 쓰던 아니면 우리 독자적인 물리 단위계를 고안해서 쓰던, 하는 게 맞다고 봐요. 지금 군 내에서 유럽식 단위계나 국제 표준 단위계를 고집하는 곳은 오로지 해군 뿐이예요. 예, 항상 해군이 말썽이예요.) 범위의 PESA 레이다를 쓰지 않고 L-BAND 레이다 소자로 돌아서게 된 것이라고요. 이 문제는 G550도 크게 다르진 않았어요. 다만 G550의 경우엔 기체 전후 방면은 S 밴드를 쓰고 좌우 측면만 L밴드를 썼던 것이고 737의 경우엔 모두 L밴드를 쓰게 된 정도의 차이만 있었다는 내용으로 요약해 볼 수 있을 거예요.

이 L밴드는 크게 2가지 부분에서 문제가 있어요.
하나는 LINK-16과 전파 간섭을 야기해요. 물론 앞으로는 대부분 지향성 데이타 링크로 전술 정보 체계가 바뀌어 나가야 하는 게 맞는데요. 그럼에도 현재 데이타 링크의 표준인 LINK-16과 주파수 배분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레이다를 그대로 도입한 건 두고두고 문제가 될 거예요.
두번째는 이 L밴드는 전자전에 매우 취약해요. 전파 방호성을 갖추기 매우 어려운 영역이예요. 지금 화두가 되고 있는 EMP 효과 차단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해요. Have Quick도 못달고 들어온 걸로 기억해요.
결국 미국도 이 L밴드 이하는 모두 민간에게 할애하고 군용 주파수는 S밴드 이상에서만 운용하구요. 향후 도입하려고 하는 조기경계경보기인 E-10C(767 기반)뿐만 아니라 글로벌 호크, P-8 등에 아예 군용 공중 광역 탐지 레이다 플랫폼 통합이라는 과제(MP-RTIP; Multi-Platform Radar Technology Insertion Program)를 진행하면서 모두 X밴드 소자로 레이다를 구성해 나가려고 해요.

뭐 어차피 우리 입장에서 조기경보기를 더 추가(2기 더 도입...)하려고 하면 선택지로는 유일하다고 생각하기는 해요. 다만 이런 문제를 인식하시고 차후 주파수 조정을 감안해 737 기체의 레이다용 획득 전력 등을 더 늘릴 방안이라든지 기존 L밴드 MESA 레이다 소자의 치환 방안에 대한 연구라든지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원래 이런 부분을 조율해서 ROC를 도출해야 하는 주체는 합참입니다. 방사청 만의 역할로는 한계가 있을 겁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탄도탄 추적, GMTI 등은 피스아이로 해결하려고 애쓰지 마시고 그냥 글로벌 호크에게 맡기시는 게 낫다고 봐요. 괜히 737에 기능 추가하면서 예산 쓸 바엔 어차피 현재도 문제가 있는 기체라는 걸 분명하게 인식하시고, 처음 도입 목적에만 충실하게 최대한 낮은 가격으로 이용하다가 때가 되면 바꾸시는 게 더 현명하리라 생각되는군요.
     
나무와바람 16-03-21 18:52
   
현재 피스아이의 문제점을 막연하게 알고 있었는데....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보통이 16-03-21 18:54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신 것만으로도 제가 감사해야죠...^^;
               
넷우익증오 16-03-21 19:5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