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5-05 20:25
[잡담] 카운터 드론 고려 사항
 글쓴이 : Player
조회 : 588  

1. 인식
대형 플랫폼의 센서로도 탐지가 수월하지 못하다.
피아식별부터 자체적 총합적 대비가 필요.
아래의 대응 무인기는 네트워크 통합의 처리단계에서나 고려할 사항.

2. 드론의 기상영향 조건등을 고려 위험도 예보가 필요.
초소형 소형의 플랫폼에 동아시아의 다양한 기후조건에 활동성은 제한적이다.
이에 대한 군의 예보와 대응책 가동의 선택 집중이 필요.

3. 위험도 대비 가성비
말 그대로 작전을 지속 했을때 나오는 데이터상 최적의 플랫폼들을 다단계로 구성이 요구.
요인 기간시설등등, 때로 허허실실등 복합적인 대책으로 상대의 운영효과 저하에 우선.

4. 대응의 지속성
사전 작전 사후 연속과 상대의 다른 조합등의 연계등을 고려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

5.무인공격기는 저격수 운용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대응책 역시 이와 준하는 방법들을 준용.
무인기를 타격하는 것보다 무인기를 운용하는 오퍼레이터 제거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 강화.

etc.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레로리 23-05-05 21:29
   
결국 드론은 북괴 미사일 대응처럼 킬체인으로 갈 것 같습니다.
우리도 드론을 많이 보유해서 날리고, 적 드론 조종 인력을 빨리 먼저 족치는 게 관건일 듯
XKUSX 23-05-06 01:10
   
저번 침공사건 계기로 감시병의 보고체계도 당연히 고쳐졌으리라 판단하고, TPS-880K나 천경 배치수량이 늘어날걸로 보입니다. 지상방공무기중 천호와 천마도 성능개량 착수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