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6-22 18:31
[잡담] 미티어 열추적이 스텔스 카운터 같이 말하는데
 글쓴이 : 어벙이
조회 : 3,245  

절때 불가능임 

저런 미사일도 종말 유도가 열추적임 



무슨 처음부터 바로 쏘면 스텔스기 팍팍 떨구는것 같은 언론플레이는 ㄴㄴ


실제 중장거리 미사일들은     전부 레이더 감지로     락온되야 발사되고 
근거리 접근후 열추적 시커 가동되서 추적  격추임 

열추적이 수십킬로 밖에서 열추적으로  비행기 추적이 불가능 
(쉽게 생각만해도 수십킬로  거리면 태양의 열에 교란됨)


결국 시작은 레이더 감지고    그래서 스텔스 스텔스 거리는거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알바곰 13-06-22 20:58
   
레이더 기술도 받아야죠 그렇지 않나요?
오카포 13-06-22 21:09
   
흠... 비밀에서도 이런 이야기가 좀 있었는데요.
미티어를 장비한 유파와 암람 장착한 번개돌이의 전투...

미티어의 경우 최대 사거리는 대략 150km 정도이며 그보다 적어져도 100Km이상은 확실하다고
합니다.

암람의 경우 최신형인 D형이 사거리 180km 라고 나오는데, 연료가 많지 않아 그정도로 나오려면
번개돌이로는 불가능할 정도의 고속으로 또한 고공으로 날려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외에 일반적인 암람의 유효사거리는 30~40km 정도라고 하고, D형은 당분간 미국이 다른 국가
에 팔지 않을 것이라고 하네요.

번개돌이는 대략 150km의 레이더 탐지가 가능하고, 유파는 대략 60~70Km 사이에서 번개돌이
를 탐지가 가능할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번개돌이가 설사 먼저 발견했다고 하더라도 미사일의 사거리 문제로 유파와의 거리를
많이 줄여야 하고 그 사이에 유파도 번개돌이를 발견가능하며 미티어의 사거리가 더 길어 먼저
발사가 가능하며 그 이후에 고기동 성능으로 회피나 근접전에 들어간다는 시나리오 입니다.

뭐... 그래도 대등하게 싸울 정도라고 예상만 할 뿐이니..

자세한건 비밀에 가서 따지시길..
     
shonny 13-06-23 03:04
   
미사일은.. 똑같은 미사일이라도..어떤 상황이냐에 따라서 사거리 폭이 커집니다. 저고도에서 고고도 전투기상대로 미사일쏘거나, 아음속일땐 쏜거랑 초음속일때 쏜거랑 사거리차이도 크죠.

일단 레이더로 적 전투기 발견하면 각도랑 고도잡으면서 초음속으로 가속한뒤에 미사일쏩니다. 그뒤에 선회하면서 각도잡고 거리유지하면서 미사일 유도하는거고요..
f-35랑 유로파이터랑 붙게되면 f-35는 저거한뒤에 (발견, 고도 위치 속도잡고 미사일 발사) 유파가 회피하냐 못하냐로 시작합니다. 

시뮬레이션에서 유파가 F-35이겼다는것도.. 전제가 캡터E레이더달면 F-35를 59km에서 발견할수있어서 암람의 NEZ거리 밖(50km정도임)에서 f-35를 발견할수있어서 유파가 이거 회피한뒤에 역공할수있단거였는데.. 이미 유파가 f-35발견할당시 상황은 f-35은 이미 멀리서 유파 발견하고 고도 위치잡고 NEZ거리까지 가속하면서 돌진하는 상황일때 유파가 f-35를 발견한단 얘기임..
노트패드 13-06-22 22:28
   
태양열에 의한 공기 분자 가열로 인해 나타나는 빛의 파장이랑,
제트엔진에서 나타나는 높은 고열로 잠시 가열된 공기에서의 빛의 파장이랑...

파장대가 다른데요???
가라시니 13-06-22 23:13
   
저 기술을 받는다는게 중요하지 않을까요.본론과 다른 얘기지만요..
풍겐공 13-06-22 23:50
   
/오카포 비밀에서 겁나게 논쟁중인걸 아주 깔삼하게 정리해주셨네요 ㅋㅋㅋ
종훈이당 13-06-23 00:04
   
/오카포  그러니까요 여기 가만히 보면 F35가 레이더에 아예 안 걸리는 걸로 아시는분이 꽤 있는듯...
아예 안잡히면 공대공이건 공대지건 F35가 무조건 우위죠. 그런데 왜 전문가들이 공대공이 유파가 상이라고 하겠습니까 경합 3기종 중에...
F35는 특수임무를 수행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유파 레이더에 잡히면 F35는그냥 F16이죠.. 미사일 사거리나 독파이팅이나 상대가 되겠습니까..
랩터는 스텔스 자체도 뛰어나지만 비행기 기동면에서도 훌륭하죠.. 그런 비행기 조차도 독파이팅은 유파에 우위를 장담못합니다.
     
shonny 13-06-23 01:58
   
간단히 설명하죠..
f-35이 유로파이터 발견하는거리 210~240km.. 유로파이터가 f-35발견하는거리 42~75km (캡터E경우)
만약 F-35 RCS값이 애초 말한대로 0.005라면 42키로이하로 떨어짐..
그래서 유파가 f-35상대시 아예 레이더 끄고 pirate키고 교전한단 얘기가 나왔던거죠.
          
오카포 13-06-23 07:08
   
위에도 적었지만 F-35 레이더 탐지거리 150Km 랍니다.
비밀에서 그렇게 얘기하던데요.  위에 제가 유파에 어느정도 유리하게 적은 면이 없지 않아 있는데 쇼니님은 F-35에 가산점을 많이 주셨군요.
               
shonny 13-06-23 09:11
   
150km로 잡은건 유로파이터의 rcs를 0.5이상 1이하로 잡았기때문이죠. 이수치는 무장안한 클린상태로 잰거라...

f-35경우는 전에 나온건 0.005였는데 수출용은 0.15로 된단말도있었구.. EADS에서 언급한 수치도 0.1이었죠.  이거따져보면 저 수치가 나오는데요..
                    
종훈이당 13-06-23 12:17
   
RCS는 기밀 사항입니다. 당연 아무도 모르구요. 단 님도 알다시피 정면 측면 하면 다 다르게 나오지 않습니까  F35는 절대 그값 못나옵니다. 정면만 두고 한 말이겠죠. 다운형에 용도에 맞게 개조하고 모듈형조합인데 그게 나오면 모듈형아니고 다운안하면 랩터를 능가한다는 수치가 나옵니다. 
B2 가 0.1 이라는.. 
0.001 0.0001 다 비공식 외국이나 국내나 밀덕이 만들어낸 수치입니다.
다만 추정할수 있는건 그리고 F15,F16 대비 전승은 랩터  우위는 누가 말했듯 사각으로 뺘져서 입니다. 그래서 1:1 말고 편대 대 편대 이런 자료 없습니다. 즉 사각 비행을 시작하는 시점이 레이더이 잡힐 확율이 있는 시점으로 보고 그정도면 RCS가 얼마겠구나 추정뿐이죠.

F35는 합동 작전없이 개별 작전 투입은 안된다고 했습니다.
                         
종훈이당 13-06-23 12:29
   
아무튼 1:1 상황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편대 대 편대면 확율은 더욱 높아지고 조기경보기 지상레이더 이지스 육안식별 기타 위성정보 정보유출 상대편 비행기 움직임 이런 저런 정보 따지면 얼마나 확율이 높아지겠습니까..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F35 혼자 유유히 날라다녀도 되는 기체인줄 안다는 겁니다.

B-2 조차도 야간만 운행합니다. F35가 아무런 저항없이 날라 다닐수 있는게 아닙니다.
더욱이 북이 아닌 중국이나 일본 상대로는 F35가 과연 스텔스 인가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이 F35는 합동작전이 필요한 스텔스 라고 했습니다. 완전공해인가 상대편 대공망 근처인가도 중요하고 1:1 상황이냐 아니냐 지원이 있냐 없냐 단순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F35는 노출되는 순간 최소 F15정도의 기동을 보이는가 아니란거죠.. 지금 F16정도의 성능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입이 빨라야 2020정도고 그것도 다시 보완이 필요한 상황일건데... 그때가 되면 스텔스가 없어지지는 않아도 스텔스 피탐율이나 RCS 값이 상당히 상승할수 있습니다. 스텔스가 그래도 유용하지만 다운형은 상당한 문제를 일으킴니다.  어느전문가도 F35를 유파대비 공대공 우위라 하지 않습니다.
bonobono 13-06-23 00:31
   
고등학생때 한창 F-22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면서 놀았었는데 가장 상대하기 어려운게 유로파이터 타이푼이었어요...
전투기 조종사도 아니고 게임일 뿐이라서 실제는 어떨지 모르지만 유로파이터 타이푼이면 공대공에서 F-35에 쉽게 밀리지 않을거라 생각 합니다.
     
정닭밝 13-06-23 10:40
   
ㄷㄷ 게임..
shonny 13-06-23 02:07
   
미티어 열추적방식 아닌데요.. 중장거리 미사일은 레이더방식들임.. 열추적은 사거리 짧아서.
레이더 방식도 쏘고나선 어느정도까진 전투기가 방향잡아주다가 그대로 날라가서 미사일에 내장된 레이더 범위안에 적 전투기가 잡히면 추적하는 방식이죠..
깡통의전설 13-06-23 02:10
   
요즘 세상에 독파이트 하는 경우 없습니다. 과거 사이더 와인더 사거리가 2Km 정도 밖에 안될때나 독파이트 하지 그 비싼 기체로 독파이트 하는 멍충이가 있을까 싶네요. 강속구 투수가 변화구 투수랑 붙을 때 강속구 버리고 변화구만 던지겠습니까. 현대전은 먼저 레이더에 먼저 잡히면 그쪽은 무조건 끝난겁니다. 전투기 레이더 구조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있다면 제말이 무슨 뜻인지 아실겁니다. 조기경보기? 그놈의 조기도 격추될까 제일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근거리까지 접근하지 않는다면 스텔쓰로 잡힐일 없습니다.
     
오카포 13-06-23 07:12
   
독파이트 까지는 안가지만 최근까지도 의외로 근거리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합니다.
물론 암람 사거리에서도 전투가 벌어지지만 그정도 먼거리에서는 격추가 힘들어서 근접해서
사이드와인더 등 단거리 미사일로 승부를 본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그리고 암람 사거리는 F-35도 유파의 레이더에 그냥 걸리는 거리라네요.
          
깡통의전설 13-06-23 19:32
   
저위에 글 보셨나요? 그리고 사거리상관 없죠. 어차피 레이더에 안잡히는 구역인데 왜  F-35가 본인의 최대 장점을 희생하고 웨파랑 독파이트까지 가는 멍충한 일을 벌려야만 할까요? 그럼 웨파는 레이더 끄고 전투라도 해야 하지 않나요? 본연의 장점을 희생했으니 웨파도 희생해야죠.
깡통의전설 13-06-23 02:17
   
질문 하나 던지죠. 스텔쓰기가 먼저 발견하고 상대 전투기 레이더 측면을 돌아서 접근하면 어떻게 탐지 하겠습니까? 이거 풀어야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단 1%라도 승산이 있을겁니다. F-15와 F-22가 144:1의 격추 스코어(1회는 기체 고장)가 가능한 스코어인지 이유가 다 있습니다. 걔네들도 유로파이터 도입 축소하면서까지 F-35 오매불망 기다리는 이유가 다 있습니다.
     
오카포 13-06-23 07:16
   
돌기 힘들 겁니다. 캡터 E 레이더 회전식으로 보통 AESA레이더보다 탐지각도가 더 넓어요.
안 걸릴 정도로 돌아서 접근하면 너무 멀리 돌아서 쫓기 힘들듯.
          
깡통의전설 13-06-23 19:30
   
너무 멀리 돌필요 없죠. 짜고 치는 고스톱 아닌다음에야 전투기 끼리 일자로 마주보고 접근할 확률은 제로고 거진 한쪽에 쳐지거나 측면이거나에서 조우할텐데 살짝만 돌면 됩니다. 그리고 그냥 쏘고 귀환하면 되죠.
티모 13-06-23 03:53
   
원래 공대공 미사일 대부분이 열추적 아닌가요?
초기 레이더 탐지로 근처까지 날아가다 열센서 켜지고 마지막 엔진점화로 요격하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언론에서 뛰우는거보면 엔진으로 인한 사거리 우월말고도 센서의 우월성이 있을듯..;
     
익산오라비 13-06-23 17:00
   
미티어 적외선 탐지해서 추적한다네요
남풍 13-06-23 18:16
   
^^ 지식의 메카 가생이 닷컴 잘 배우고 갑니다. 오카포님 오래간만에 들어오신듯..
깡통의전설 13-06-23 19:35
   
적외선 추적 단점이 추적거리가 짧다는 것입니다. 적외선 스펙트럼을 분석해서 추적해야 하는데 스펙트럼을 분석할 정도면 상당히 지근거리까지 가야 탐지가 가능합니다. 적외선 추적과 열추적은  쉽게 말해 열추적은 열원만 보이면 달려드는 것이고 적외선 추적은 한번 찍은 놈은 그대로 쫓아간다 입니다. 그런데 거리가 짧아요. 그래서 원거리에서 레이더로 타겟을 지정해주면 쫓아가는 원리입니다.
초록냥이 13-06-23 21:20
   
요즘은 독파이트를 안한다구요? 요즘 전투기들이 bvr로 다 끝날 정도로 만만하면 제공전투기가 왜 필요합니까?
헐신 비용이 싼 대공미사일 깔아놓으면 다 해결되는데. 미사일이 발달할수록 전투기의 생존장비도 같이 발달합니다. 확실히 끝장내는 방법은 가시내 전투에요. 그래서 전투기가 필요한 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