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9-15 12:38
[뉴스] 홍상어 마지막 발사 실패
 글쓴이 : 잡덕만세
조회 : 4,713  


대잠유도무기 홍상어 4발중 3발 명중 (서울=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국산 대잠수함 어뢰' 홍상어'가 지난 7월부터 동해상 해군 함정에서 실시한 최종 시험발사에서도 실탄 1발이 표적을 명중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마지막 실탄 시험발사 실패로 방위사업청은 추가 검토 여부를 거쳐 양산 재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2010년 8월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방과학연구소 창설40주년 종합학술대회에서 연구소 관계자들이 행사 참석자들에게 대잠무기인 홍상어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습. 2013.9.15 << 연합뉴스 DB >> photo@yna.co.kr

마지막 실탄 표적 타격 못해…軍, 양산재개 여부 고심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잇따른 시험발사 실패로 설계 오류 가능성이 제기됐던 국산 대잠수함 어뢰 '홍상어'가 최종 실탄 시험발사에서도 1발이 표적을 명중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위사업청의 한 관계자는 15일 "지난 7월부터 동해상 해군 함정에서 홍상어 연습탄 2발과 실탄 2발을 시험발사한 결과, 연습탄 2발과 실탄 1발은 명중했다"면서 "그러나 지난 11일 발사한 마지막 실탄 1발은 표적을 타격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최종 시험발사 4발이 모두 명중하면 생산이 중단된 홍상어의 양산이 재개될 가능성이 컸으나 마지막 실탄 시험발사 실패로 방사청은 추가 검토를 거쳐 양산 재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 관계자는 "시험발사 결과에 대한 평가와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기술품질원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이달 중 생산 중지된 2차 사업분의 양산 재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상어는 2000년부터 9년간 ADD가 1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개발한 사거리 20㎞의 대잠수함 어뢰다. 물속에서 발사되는 일반 어뢰와 달리 로켓추진 장치로 공중으로 발사됐다가 바다로 들어가 목표물을 타격한다.

길이 5.7m, 지름 0.38m, 무게 820㎏이며, 1발의 가격은 18억원에 이른다.

2010년부터 1차 사업분 50여 발이 실전 배치된 홍상어는 한국형 구축함(KDX-Ⅱ급) 이상의 함정에 탑재됐으나 작년 7월 25일 동해 상에서 이뤄진 성능 검증 목적의 시험발사 때 목표물을 타격하지 못하고 유실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연습탄 5발과 실탄 3발을 발사하는 품질확인 사격시험을 했으나 8발 중 5발(명중률 62.5%)만 명중해 '전투용 적합'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대잠유도무기 홍상어 4발중 3발만 명중 (서울=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국산 대잠수함 어뢰' 홍상어'가 지난 7월부터 동해상 해군 함정에서 실시한 최종 시험발사에서도 실탄 1발이 표적을 명중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마지막 실탄 시험발사 실패로 방위사업청은 추가 검토 여부를 거쳐 양산 재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2010년 8월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방과학연구소 창설40주년 종합학술대회에서 연구소 관계자들이 행사 참석자들에게 대잠무기인 홍상어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습. 2013.9.15 << 연합뉴스 DB >> photo@yna.co.kr

홍상어의 전투용 적합 판정 기준은 명중률 75% 이상이다.

방사청은 품질확인 사격시험이 실패한 이후 홍상어 개발에 참여했던 ADD 요원들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품질개선 요소를 식별하고 기체분리 고도 상향 조정 등의 보완 작업을 거쳐 이번에 최종 시험발사를 했다.

최종 시험발사에선 명중률 75%를 충족했으나 품질확인 사격시험 때 발사한 8발을 포함한 12발의 명중률은 66.7%이고, 이중 실탄 사격의 명중률은 40%에 불과해 방사청이 양산 재개를 선뜻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방사청은 홍상어처럼 실전배치 이후 무기체계의 결함이 식별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 기간에 품질검증이 충분히 이뤄지도록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무기체계 선행연구 때 적정 시험평가 수량을 사업추진전략에 반영토록 했고 연구개발 유도무기 첫 생산품에 대해 품질인증 사격시험을 하도록 의무화했다.

hojun@yna.co.kr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살모사 13-09-15 13:30
   
1번 어뢰는 빠르고 탁한 조류와 어둠 속에서도 백발백중인데,,,,,,,,,,
     
shonny 13-09-15 14:03
   
홍상어는 장거리 어뢰죠. 미국 록마꺼외엔 없슴..
카마엘 13-09-15 13:37
   
에효 ㅠㅠ
양동재떨이 13-09-15 13:50
   
이게현실이죠 위성발사체도 러시아 껄로 쏴올려야하는판이고요 .그나마 몆번이나 실패했죠.
솔직히 냉정하게 이게 우리나라 기술력이죠.
밑에글에 우리가 맘만먹으면 핵탄도미사일을.만드니 항공모함 맘만먹으면 만든다느니. 하는 어처구니없는 말을 하도 읽어서 헛웃음이납니다.넷우익과 다를바가없는 마인드 더군요.
하다못해 t50조차 엔진등 주요부품은 미국꺼죠 사실,,
만들어 보지않은걸. 실험도 못한것을. 만들어보지 못햇으니 쌓인기술력이 존재치 않는데.
밑에 분들이 그러네요 우린 맘만먹으면 핵탄도미슬도.항공모함도.핵잠도.만들수잇다고..
상식적으로 위성발사체조차 변변히 못만드는 우리가.핵탄도미살을 맘만 먹으면 만든다라...
이건 삐뚤어진 애국심같습니다. 진짜 그랫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쩝...
     
솔로윙픽시 13-09-15 17:43
   
이게 현실은 무슨...
ADD 무시하지 마세요. 홍상어같은 걸 자체기술로 개발한 나라는 지금까지 미국과 한국뿐입니다. 한국은 이미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했고 지금은 명중률만 개선하면 완벽해집니다.
도우도우다 13-09-15 14:23
   
유유....
지쟈스 13-09-15 14:33
   
이걸로 우리 연구진을 비난해서는 안됩니다.
걸프전때 패트리어트의 명중률은 미국의 주장대로 70%가 아니고 20%도 안되었죠..
비난이 아닌 합리적인 비판과 그분들의 노력을 인정해주고 기다려줘야 합니다.
     
양동재떨이 13-09-15 14:36
   
옳습니다.비난하는거 아닙니다.실패할지언정 계속 차고나가야 기술력이노하우가 쌓이죠. 사오기만해선 기술이노하우가.. 관련인프라가 발달하지않죠.그럴려면 이게 우리의현실인것을 먼저 깨닳아야하는건데. 많은분들이 우리의기술능력치를 너무높게 잡고 보고잇으니. 이런거한번 실패했다거나하면 엄청 욕을하죠.우리자신을 잘아는거부터 출발해야하는데말이죠
     
데이 13-09-15 17:21
   
기술개발이 한번에 성공하기 어렵고 실패해가며 나아지는거니 상관없는데
님 이야기중 패트리어트 명중율 이야기는 마치 종북좌좀들이 교묘한 말장난으로
선동하는것과 비슷한 경우라 문제가 있네요

실전에서 나한테 미사일 날라오는데 요격미사일 한발만 날릴까요 최소한 두발은 날리죠
요격 성공해도 50%고 세발날리면 성공해도 30% 입니다 선동용 말장난이죠
게다가 걸프전때 스커드는 탄두 미사일인데 패트리어트는 간접신관방식인가?해서
요격 성공해서 우리부대에는 안 떨어지고 옆동네에 떨어지면 이건 요격 성공인가 실패인가?
qweqwe 13-09-15 14:38
   
이렇게 만들어 놓고 버러는건 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게다 기술인대...
     
양동재떨이 13-09-15 14:39
   
옳습니다.저게다 기술이져.실패위에쌓인거라 노하우도 더쌓일껍니다
전쟁망치 13-09-15 16:34
   
난 연구진 들이 더 분발해서 꼭 이루어 내었으면 한다.
Misu 13-09-15 16:55
   
그렇죠.. 한국도 일본처럼 뭐 핵원료가 많다고 3개월에만에 핵만든다,반년안에 핵만든다..
그게 중요한게 아니라... 오랫동안 쌓여온 노하우와 실제 발사실험이 중요한건데..
박정희대통령때 그나마 추진햇다 수풀로 돌아간 핵보유도 npt가입으로 더이상 재개불가능이고
     
솔로윙픽시 13-09-15 17:41
   
수풀이 아니라 수포요...
플로리스 13-09-15 18:40
   
자꾸 현재의 기술력에 나쁜 시선을 보이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이 엄밀히 현재 대한 민국의 기술력 입니다! 그러니 더 발전해야 하지요~~! 실패않하고 성공 하는건 노동없이 로또 대박 노리는것 보다 확률 떨어지는 행동이죠~! 그나마 실패해도 쓰잘때 없는데 혈세 낭비 않하고 이런 미래에 가치있는곳에 투자 된다면 얼마든지 찬성입니다!
아이쿠 13-09-15 20:05
   
홍상어 같은 대잠 로켓은
원래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미국산도 높은 정확도가 나오기 힘들죠

하지만 시험평가에서 조차 정확도가 떨어지는건 문제죠
얼음누늬 13-09-15 22:22
   
정작 중요한 점은 아무도 지적을 안하시네

저런 명중률로 최초에 어찌 전투 적합 판정을 받았는지

분명 저기에도무능, 은폐의 고리가 있었음이 분명함 그게 다 비리인 것이구

정상적인 품질확인절차가 없었단 말.....

홍상어에 전투 적합 판정가 판정 내린 애들 다 짤라야 함
     
솔로윙픽시 13-09-15 22:41
   
무슨 알파카 풀뜯어먹는 소리를 하시나.
지금 전투 적합 평가에 통과하지 못해서 재시험 받아야 된다 그러잖아.
          
얼음누늬 13-09-17 12:37
   
글을 보면 대충 훑어보는 수준의 읽기능력 수준미달이신가?

초딩이라 아직 덜 배워서 국어가 딸리나?

반말까니 나도 반말깐다 ㅆx야

본문중에 홍상어 2010년에 1차 사업분 50대 실전배치되었다는 글은 안보이냐?

50대 실전배치가 그냥 전투적합판정 없이 어찌 이루어졌겠냐?

2009년에 4발만 발사한 후 전투적합 판정 받고 1차 양산분 50대 실전배치 이루어졌잖아

링크 걸어주랴?

http://news1.kr/articles/788910

이미 1차 양산까지 끝내놓고 뒤늦게 문제 발견되서

2차 양산 앞두고 재평가받는거구만

삽질하는 소리를 하시네

절라 쪽팔리겠다? ㅈ도 모르면서 설치면서 깊은 삽질해서...

몰라서 그러면 무식하니 그렇다고 이해나 하지....본문 글에 다 나와 있는 것도 안읽고

일단 댓글부터 싸지르면서 반말짓거리나 하고...

아직 초딩이라 국어를 덜배워서 그런것같으니 어른들 노는데 끼지 말고

국어 다 떼기 전에는 인터넷에 함부로 글쓰지 마라....
스마트MS 13-09-15 23:00
   
으음. 도대체 어느부분에서 문제가 발생 이런것일까요?
청상어는. 경어뢰로서. 이상이 없어보이는듯 한데 아스록. 대잠로켓으로 운용시. 홍상어는
자주. 어려움을 나타내는듯 하는데 말이죠.
한발에 고가를. 자랑하는 유도병기를. 마음껏 개량을 위해 시험할수 없는환경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는건 아닐까 아쉬움이 들기도 하네요
푸파이터즈 13-09-19 15:44
   
원래 달랑 4발쯤 쏘고 판정하는건가요? 여러발을 쏴야 좀더 정확하게 값이 나올텐데...돈때문에 그런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