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9-13 02:29
[잡담] SAAB사의 차세대 스텔스기
 글쓴이 : 천손민족
조회 : 4,716  

중립국 스웨덴 하늘을 지키는 SAAB사.!! 그리고 미래의 스웨덴 하늘을 책임질 SAAB사의 야심작!! FS-2020!!!



















"FS-2020 '은 스웨덴 항공기 · 군수 업체 인 사브 사 (SAAB) 출자하여 2005 년부터 개발 · 생산 진행하고있는 최신 스텔스 전투기이다.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FS-2020 ' 향후 중국의'J-31 ( 31)"한국과 인도네시아 "KFX"일본 "심신" 스텔스 전투기와 시장 점유율을 다투는 가능성이 있다고한다.
출처:자국넷 토론방 무기/국방 게시판 백두산범님 게시물
 
어느 나라와는 다르게 단발 소형으로 개발 함에도 알차게 스텔스기로 개발하려고 하는군요.
물론 기술력의 차이가 큽니다만.........
 
그런데 생각해보니 add의 KFX c203 안이나 j-20 실험기 모두 카나드를 채택하고 있고 파크파의 LERX도 사실상 카나드 수준인데 카나드가 생각 보다 rcs 상승에 큰 영향은 없는 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흑룡야구 13-09-13 02:32
   
카나드가 달린 것은 사실상 스텔스 성능 포기 아닙니까? 카나드를 갖고도 스텔스 성능을 갖겠다는 것은 엄청난 설계 리스크가 있다고 봅니다만,

스웨덴은 중립국으로 게릴라식 소수정예 군사력을 갖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스웨덴이 개발한 전투기들은 대부분 짧은 이착륙 거리를 갖는데 이는 고속도로 등지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으라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스웨덴에서는 숲 속에 항공기 벙커와 보급 장비가 은엄폐 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아마 신형기의 카나드도 이런 특성을 살리기 위한 짧은 이착륙거리 확보차원이라고 보여집니다만, 과연 이가 스텔스 성능에 도움이 될 지는 의문이네요.
     
천손민족 13-09-13 02:44
   
일단 카나드가 스텔스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것이 대부분의 의견인듯하고요.
j-20 실험기도 카나드가 채택이 되어있던데 일반적인 형태의 카나드인 반면 해당 기체는 레이더 반사각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는 형태를 취하고 있네요.
과연 카나드가 rcs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지 또 저런 형태의 카나드는 rcs 감소에 얼마나 효과적일지 저도 궁금하네요.
     
다른의견 13-09-13 02:45
   
카나드는 저속에서의 불안정을 해소하기위한 필요악적인 선택인듯 하네요..
추력편향만있어도 버틸텐데...아마도 여기까지는 무리인가 봅니다.

활주로 길이 문제도 있겠네요..
          
흑룡야구 13-09-13 02:49
   
스웨덴은 해안선으로 침투하는 적에 대한 방어로 항공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반대쪽은 산맥이 가로 막고 있어서 저속 능력 때문이라기 보다는 고속도로 같은 곳에서 긴급 발진이나 긴급 재보곱을 위한 이착륙 거리 축소를 위함이라 봐 집니다.
               
다른의견 13-09-13 02:51
   
맞는 말씀이지만 저도 스웨덴 전투기에 관심이 커서 좀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
http://afbase.com/223377

도움이 되실 듯해서 링크 겁니다.
                    
흑룡야구 13-09-13 02:52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천손민족 13-09-13 02:55
   
저쪽 사람들은 일반 공도에서도 이착륙을 시킨다니......
그나저나 델타익에 카나드를 진짜 사랑하나 보네요.
레이더 반사각을 고려한 주익은 대부분 다이아몬드 형태인데 저 주익 형태는 뭐라고 설명해야 하나요.
텔타익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하고 ㅎㅎㅎㅎ
               
흑룡야구 13-09-13 03:10
   
델타익은 아니죠, 델타익은 수평 미익이 없는 구조죠. 그리고 완전 삼각형이고, 동체와 날개가 일체죠. ^^;;
                    
천손민족 13-09-13 03:32
   
일반적인 스텔스기들의 주익 형태는 아니고 델타익을 스텔스화한 형태라고 보여지거든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수평미익이 없고 수직미익만 있는 구조이고요.
                         
흑룡야구 13-09-13 12:07
   
글쎄요, 기존의 스웨덴 항공기들은 그런 특징이 짙지만 이번 기체는 그냥 일반적인 후퇴익기의 모습을 따르는 것 같습니다.

그 근거로는 일반적인 델타익기는 기체 후미에 특별한 공간 없이 그대로 날개 끝단이 동체 말미가 됩니다. 하지만 해당 기체는 주익이 끝나도 동체가 연장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있고요, 더불어 델타익의 날개 각도가 큰대 비해 해방기체는 일반적이고요, 델타익이 일반적으로 기체 전체가 삼각형 꼴을 가지는데 비해 해당기체는 주익이 다각형태로 되어 있으니 델타익이라고 보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천손민족 13-09-13 14:48
   
f-22 t-50 j-20 등의 스텔스기는 후퇴익 구조의 주익을 채택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후퇴익으로는 rcs 감소가 어렵기 때문에 레이더 반사각을 고려한 다이아몬드 형의 주익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fs2020의 경우도 일반적인 델타익 형태를 채택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만 동체대비 주익 면적이 넓습니다.
공기흡입구가 조종석 절반까지 나와있는 걸 고려하면 동체대비 상당히 큰 주익이며.
동체대비 큰 주익을 채택한 점은 델타익의 특성과 잇 점 그리고 레이더 반사각을 고려하여 채택한 형태 같습니다.
지쟈스 13-09-13 03:24
   
fs2020 인데 어떤건 단발이고 어떤건 쌍발이네요?
저게 터키와 연계된건지 궁금도 하네요....
아....우리는...
     
천손민족 13-09-13 03:43
   
스웨덴은 전통적으로 단발기체를 선호하는 나라이니 쌍발안은 신경쓸 필요 없을듯 합니다.
jas-35 jas-37 그리펜 까지 모두 단발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