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9-03 22:34
[기타] 러시아. 우주로켓회사 에네르기야 '소유즈'를 대신할 차세대 우주선 개발
 글쓴이 : 통통통
조회 : 2,973  

쥬콥스키 모스크바 근교지역에서 2013 막스, 모스크바항공우주비행쇼가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전체 44개국에서 천여 개가 넘는 관련기업이 참여해 역대사상 가장 화려한 행사로 분석되고 있다.

20130903181832.jpg


이번 대회에서 러시아 및 외국 연구기술인들은 11번째로 자체 기술로 제작된 최신 개발품을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로켓우주회사 '에네르기야'는 70년간의 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우주산업 분야에 있어 선두를 달리는 기업으로 막스를 통해 참신한 신제품을 공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차세대 유인 수송 우주선으로 기존의 유명한 '소유즈'를 대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30903181934.jpg


다음글은 신제품 제작에 참여한 블라디미르 다녜에프 수석 연구원의 견해

"이번에 개발한 우주선은 '소유즈'와 전혀 다른 차원으로 제작됐다. 하강 및 비상시 감지되는 충격이 훨씬 감소돼 우주인으로서 갖춰야 할 건강상태 조건이 줄어들었다. 기존에 강한 신체조건을 갖춘 우주인만이 우주선을 이용할 수 있는 시대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을 최고 특징으로 꼽을 수 있으며 두번째로 착륙의 정확성을 들 수 있다.

 

소유즈의 경우 착륙을 위해 25 km 원형면적이 필요했다면 신형 제품은 5 km 미만의 면적이면 가능하다. 세번째로 다수 비행을 들 수 있다.. 궤도에서 10회 비행이 가능하다. 소유즈의 경우 전혀 불가능했던 얘기로 모든 기술적 제작수준이 현재와 미래를 기준으로 향후 30년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30903183507.jpg


새롭게 제작된 유인 수송 우주선의 주요 과제로 달 궤도 및 궤도 스테이션에 승객을 실어 나르는 일로 500 kg 무게로 대략 4인 정도의 승객을 태울 수 있다. 소유즈의 경우,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없었던 작업이니 이 또한 새로운 기능에 추가된 셈이다. 물론, 여기서 그치지 않고 향후 계속해서 산악지대나 그 어떤 지형에도 착륙이 가능한 새로운 버전이 선보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낙하 기능은 우선 2.5-3 km 높이에서 낙하산 시스템이 적용되게 되어 있다. 세 개의 낙하산을 의지한 채 우주선이 착륙을 시도한다. 그후, 10 m 수준에서 남은 속도를 부드럽게 하는, 연착륙을 위한 엔진을 가동시키고 그 다음에 착륙 댐퍼를 열어 충격흡수 효과를 갖게 되는 구조다."

 

다음글은 올레그 바클라노프 연구원의 소감

"2년 전 지난 막스 행사에서 차세대 우주선 개념 모델이 선보인 가운데 이번 막스에서 직접 개념의 실체를 만나게 되는 기술의 기적이 일어난 셈이다.

 
20130903182127.jpg


차세대 유인 수송 우주선 첫 시리즈 모델 제작은 1년 반 이후 시작될 계획이며 그 사이 제작설계 준비작업이 진행될 것이다"





러시아는 아예 따라잡을 수 없을 만큼 멀리 가는건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재흙먹어 13-09-03 23:01
   
러시아를 어떻게 따라잡나요 화성탐사계획하는 나라를 ㅡㅡ
아직도 미국다음이 러시아인데 우주개발은
이전에도 못따라잡을만치 가있는 나라를 무슨수로 따라잡아요
푸틴이 우주개발에 우리돈으로 60조 가까운돈 쏟아붓는다고 한 상태인데 
아직 인공위성도 자체적으로 올릴 능력이 안되는게 한국인데
결과를 중요시하는 그것도 빨리빨리 한국특성상 우주개발은 완전히 반대편에 있는분야
정치권도 그닥 관심없고 국민도 관심없고
歷史평론가 13-09-04 00:43
   
러시아하고 미국 동급입니다.

이미 러시아 / 미국 /등등은 50년대부터 로켓기술 개발했습니다.

일본 / 기타 국가들은 70년도

우리는 이제 막 90년도...

언제 가는 넘을거라고 믿습니다.
전쟁망치 13-09-04 01:30
   
전 관심 까지는 아니더라도 우주개발에 좀더 예산을 투자하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중 1인.

미래엔 우주, 식량, 에너지, 신소재 요 4개가 엄청난 영향력을 분명...
스프링거 13-09-04 02:35
   
미국 러시아 중국 유럽 일본 인도등이 우주개발체 선진국...
우리나라는 언제쯤 3단분리로켓을 실용화 할까나...ㅎㅎㅎㅎ
귀환자 13-09-04 06:08
   
일단 고체 연료라도 어떻게 했음 좋겠네요.
     
다른의견 13-09-04 10:16
   
우리도 고체 연료 기술은 이미 수준급에 있어요...

고체 연료는 쉽게 군사용으로 전용되기에 천조국의 제재가 아주 강할 뿐이죠.
미토콘 13-09-04 10:11
   
뭘 맨날 따라잡아 따라잡기는..

남이 뭐 잘한다고 맨날 그걸 따라 잡아야되냐?

너나 니 잘난 엄친아들 처럼 공부나 따라잡아라..

너는 가생이 질이나 하면서 시간을 낭비하면서  ㅉㅉ 그시간에 영어나 공부해라..

나는 지 개인적으로는 노력을 개뿔도 안하는 인간들이..

이런데서 우리나라는 언제 따라가나 따위 말하는거 보면

아 진짜 역겨워
------------------
운영원칙 3항 위반 강력 누적경고2 / 마지막 경고
흑룡야구 13-09-04 10:51
   
러시아의 원천기술은 미국을 능가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핵전쟁을 고려해서 야예 전자장비에 대해 신뢰하지 않았던 노선으로 전자장비 개발이 뒤졌지만 금방 따라 잡을 것이고, 그럼 정말 우주전 무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