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9-06 17:15
[질문] 전투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어디인가요?
 글쓴이 : drone
조회 : 2,367  

1. 엔진
2. 레이다
3. 소프트웨어
4. 기타

가장중요한게 뭔지 궁금하고 개발에 가장 비용이 많이드는 부분은 또 어디인지도 궁금합니다.

추가로 우리나라가 가장 취약한 부분은 어디인지도 궁금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오카포 13-09-06 17:20
   
1. 엔진. 가장 취약한 부분도 엔진.
     
drone 13-09-06 17:32
   
역시나 심장이군요...
야블리코 13-09-06 17:21
   
엔진이 젤 중요....그리고 몽땅 다 취약함.
     
drone 13-09-06 17:26
   
엔진..  자동차나 중장비 선박에 들어가는 엔진은 우리도 만드니깐 

아무래도 엔진에 관련기술이 좀 축적되어 있지 않을까요?

한 10조 정도 투입하면 엔진 개발 될려나요..
          
야블리코 13-09-06 17:33
   
삼성에서 f16엔진인가??  라이센스로 만든 경험이 있으니 그 정도 금액이면 왠만한 엔진은 가능 할듯 하네요.  자동차나 선박 엔진과는 차원이 다름....항공기 엔진에서 강력한 벽은 소재 산업입니다.
               
drone 13-09-06 17:40
   
소재...  소재쪽은 독일이 가장 앞서있을려나요?
                    
오카포 13-09-06 17:43
   
비행기 엔진부분은 미국이 최강일겁니다.
스마트MS 13-09-06 17:25
   
ㅎㅎ. 나열해서 읽어보니. 묘하네요 ㅎㅎ

엔진 심장. 레이더 눈. 소프트웨어. 두뇌. 기타 사지육신. 으로 보여. 전부 중요하거ㅣ 말이죠 ㅎㅎ



저도 일단. 엔진이요. 일단 띄우고 날리고 날아봐야 차후 이것저것을. 운용을 발판을 제공할수 잇을듯 보여서 말이죠
     
drone 13-09-06 17:30
   
아예 차세대 전투기 개발보다 차세대 엔진 개발에 투자해서 

각국에 엔진을 팔아먹는것도 괜찮겠네요. ㅎㅎ
흩어진낙엽 13-09-06 17:33
   
날라다니는데 필요한 1순위가 엔진이 아닐지
     
drone 13-09-06 17:35
   
레이더가 좋아서 멀리서 보고 쏘고 빠진다면 엔진은 그닥 덜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생각도..ㅎㅎ
흑룡야구 13-09-06 17:43
   
형상
엔진
에비오닉스
레이더 및 탐지 장치
오카포 13-09-06 17:44
   
소프트웨어나 레이더 등등은 어떻게든 만들수 있고 성능이 조금 미흡해도 전투기라 부를수 있지만  엔진은 ....
tools 13-09-06 18:19
   
엔진이죠
나머지는 어떻게든 해결이 되지만 엔진은 라이센스 경험밖에 없고 그 경험도 아주 적어요
요즘 스텔스기에 들어갈 엔진들이 고출력이 기본인데 이쪽이 전무하니 힘들죠
엔진 제작이 가능한 일본도 고출력 엔진 개발에 1차 실패 했고 2차 사업 준비중이라 합니다.
중국은 실패에 실패를 거듭해서 몽땅 수입으로 돌렸구요
우리나라는 지금이라도 엔진 개발에 돈을 들여야 합니다.
리퓨에 13-09-06 18:29
   
소프트웨어죠 엔진은 시간이 흐르면 어떻게던 만들수있다지만 소프트웨어는 답이없습니다 f22 만들어두고 실성능은 f16보다 못할수도 있는거죠
COOGI 13-09-06 18:35
   
엔진이나 기타 등등은 해당 부분 사와서 역설계하면서 기술을 축적가능하나 소스코드 즉, 소프트웨어는 접근 할수 없게 락을 걸어놓으니 이게 불가능하죠..
고로 가장핵심적인건 소프트웨어~~~~
     
미라이나 13-09-07 14:35
   
컴공과 전공으로써 한마디 드리자면 ... ㅡㅡ;;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보다 늦게 개발되는 이유는 운용될 장비가 즉 디바이스가 없기때문에 개발하지 못하는 겁니다.
그리고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가 축적이  잘되는 공학중 하나입니다.
예를들어 2를 도출해야는 소프트웨어를 미국이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도 만들기 시작합니다. 1+1 알고리즘을 사용해
2를 도출해내는데 성공합니다. 결과물이 아주 똑같습니다.
(이말을 꺼내는것은 소프트웨어서 오히려 결과물도출이 더 쉽다는겁니다
어떻게든 접근이 가능하다는 얘기죠)
근데 미국보다 2배나 느립니다.  미국의 방식은 2*1 의 알고리즘이라는 소리가 들리네요 
열심히 버젼업을 합니다공밀레 맨땅에 헤딩 유후 ~~ 공밀레. ...
그리고 드디어 숫자2를 인식하는 2+0 이란 알고리즘으로
2를 도출해냅니다 이제 좀 빨라졌네요 하지만 아직 멀었습니다. 쉬프트(바이너리 쉬프트)를
통해 2를 도출해내는 미국게 더 효율이 좋습니다 다시 열씨미 개발을 해서 전에 개발시간의 절반으로 2*1의 알고리즘 만들어냅니다~~~~ 만 미국은 이제 4라는 값의 소프트웨어를 쓴다네요 ㅡㅡ;; 벗뜨뜨 괜찮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1과2 그리고 + 와 *의 알고리즘을 개발했거든요
아마 4라는 소프트웨어는 훨씬 짧은기간에  만들어낼수 있을테니까요 그리고 우린 독자적으로
미국의 4*1 알고리즘이 아닌 2*2의 알고리즘을 만들거라서 저렴한 하드웨어로도 비슷한 성능을 낼수 있을거에요 ㅎㅎㅎ

이상 소프트웨어공학의 기술축적과정을 재미지게 풀어봤습니다 소프트웨어공학의 장점은 결과물 구현이 쉽고 구현방법에 따라 자신만의 노하우가 쌓이게 된다는겁니다 공학계열이 대부분 위와 비스한 플로우 차트로 축적이 되겠지만 기초공학이 아닌 응용공학은 2-3단계 3-4단계 단계가 진행될수록 급진적으로 기술축적이 된답니다 ^^;;;
블래기01 13-09-06 18:51
   
전투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란것은  님이 언급한 예들이 전부 핵심입니다.
F-5에  F-35 엔진이나 레이더를 붙여놓는다고  F-5가 F-35로 바뀌는것은 아닐테니까요.^^

우리나라의 경우 A-Z까지 독자적으로 전투기를 만들어본적이 없으니 전투기 기체 설계부터
최종 엔진까지 조금씩이라도 취약한 분야죠.  님이 든 예중에선 엔진이 그래도 가장 취약한부분인것 같습니다.

전투기 개발에  가장 돈이 많이 드는 부분은  미국을 보면 소프트웨어 부분입니다.
F-5의 경우 개발비의 8%였던것이  F-22와 F-35로 넘어오면서  8~90%에 육박한다고 하니까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T-50과 같이 도움을 받는 처지라  아직은  카피후 업그래이드와  상용소스를
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나나미츠키 13-09-06 19:03
   
엔진 가장 중요하죠. 엔진이 강해야 남들보다 더 빠르게 멀리 날수 있고 그리고 무장량도 증가하고요. 그리고 지금 시대에 가장중요한 항공모함에서 수직이착륙 같은 꼼수 안써도 엔진이 강하니 짧은거리로도 날수 있으니까요.
포엑스 13-09-06 19:45
   
엔진인듯... 우선 날아야 머든하고 추력이 좋아야 무기를 장착하죵..... 그리고 기술이 있어도 소재산업이 약하면 말짱 꽝입니다 중국 같은경우도 몇십년을 투자해도 엔진이 말썽인지라 쌍발달고도 추력이 부족해서 결국은 수입해서 쓰는 실정입니다.-_-;;; 이번에 천문학적인 돈을 엔진개발에 투입한다고 하네요.. 그래도 할까 말까임... 소프트웨어 아주 중요하지만 우선 날아야 모든 할수 있기에 엔진이 젤중요하다고 봅니다...
포엑스 13-09-06 19:50
   
단기간에 축적돼는 부분도 아니고 돈이 적게 드는것도 아니고요. 전투기엔진 만드는 기술습득기간이 30년이 넘는다고 들었습니다. 매해 엄청난돈을 30년이상을 투자해야한다는거 보면 엄청 힘든가봅니다.
전쟁망치 13-09-06 20:16
   
Zet Engine
다른의견 13-09-06 20:44
   
엔진이 나빠서 기동도 못한다면 ???
아이쿠 13-09-07 00:14
   
요즘 전투기는 소프트웨어가 전투기 가격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앤진 성능 좋은 전투기 보다

소프트웨어 좋은 전투기가 더 좋습니다

물론 소프트웨어는 각종 전자장비와 센서들이 뒷받침되어야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긴함
우리랑 13-09-07 00:41
   
컴퓨터를 보면 전원이 제일 중요하죠 ..엔진이 베이스고 출력이따라줘야 성능이 나오니..
무엄하다 13-09-07 00:44
   
사람으로치면
1 심장
2눈
3머리
4외모정도

아무래도 심장이겠죠 ㅋㅋ.
사통팔달 13-09-07 07:31
   
소프트웨어가 제일 중요합니다,엔진 레이다는 돈주면 살수있어서요.
사통팔달 13-09-07 18:27
   
보잉,록마도 레이더나 엔진은 사다씁니다.자국다른회사꺼긴하지만요.f-35b형은 엔진 영국 롤스로이스 엔진씁니다.전투기제작회사나 나라들도 100프로 다만들어서 쓰진않아요.
깡통의전설 13-09-07 19:38
   
엔진에 한표.
1. 고도별 연소특성이 달라서 고고도의 경우 산소가 희박하기 때문에 여차하면 꺼지므로 다루기가 까다롭다.
2. 소형이고 매우 고출력이다. 민항기의 경우 전투기 엔진 대비 대형에 출력이 낮습니다.
3. 반응이 빠르고 초음속에서도 멀쩡하게 견뎌야 한다.
4. 무거울경우, 고속 회전시 진동에 의해 축이 틀어져 내부가 전부 작살이난다.
5. 통상 전투기의 경우 1/3이 엔진가격이다.
6. 제트기관 초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견디는 매우 가벼운 금속을 써야만하고 수명이 길어야 한다.
walkure 13-09-08 01:37
   
중국 예를 봐서는 엔진인듯.
중국이 러시아 부품 뜯어보고 복제하는데 엔진은 제대로 복제 못해서 러시아한테 수입할려고 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