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7-04 21:13
[뉴스] 우리군이 300mm 방사포 체계을 만든다는데 / 자주국방네트워크 /펌
 글쓴이 : 벽골재
조회 : 8,357  


http://news.ichannela.com/politics/3/00/20140703/64919807/1

13시간전 채널 A에서 단독 보도로 보도한 내용 입니다.
말그대로 한때 한국이 탐내던 러시아제 BM-30 스메르츠 다련장 기술을 도입해 우리도 300mm 다련장을 보유 하겠다는건데...
1990년대 우리가 한번 시도를 했었다는

북한이 중국산 WS-1B을 개량해서 KN-09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190km급  경이적인 사거리를 보여주고 있지만.. 유도 체계가 들어가면서 사실상 전술 탄도탄으로 변질 되었습니다.


중국산 WS-1시리즈... 기본 사거리 120km 개령형은 300km 넘는 사실상 다련장이라는 양의 탈을 쓴 전술 지대지 미사일로 변질 되었다.


한때 한국도 1990년대 러시아에 빌려준 달러 대신 불곰사업으로 소량 도입후 카피?혈려다 이를 눈치챈 러시아의 거부로 무산된적 있고, 이정도는 한국 스스로도 개발이 가능한 수순이라고 생각하는게

왜냐면!!

이런 대구경 다련장 체계는 사실상 유도 능력이 들어감에 따라 전술 탄도탄으로 변질 되었고 우리는 이미 180km급 현무!!를 보유중이다.


그리고 한국은  ATACMS라는 전술 지대지 미사일을 대량 수입 했다. 000발이나.

BLOCK I을 1999년 수입 했고, 이후 사거리을 늘린 BLOCK IA도 수입 했다.

M270 (A1)MLRS 무기체계와 한국형 MLRS로 2발을 발사할수 있는 능력이 있다.
M270과M270A1의 차이는 바로 이 ATACMS 전술 지대지 미사일 운용 능력에 있다.
 전체 M270들중 ATACMS을 운용할 차량인 M270A1 수량은 극히 적다. 이것들 업그레이드 할 생각이 전무 하다고 밖에... 


그런데 이것도 모잘라서 300mm 다련장이라는 탈을 쓴 전술 지대지 미사일을 더 도입하겠다고...
마지막으로 300mm급 다련장을 굳이 러시아로 부터 기술 수입할 필요가 있을까? M-270용 270mm 다련장 탄 국내 생산중.. 천무 230mm다련장탄 국내 생산 예정..근데 왜 수입을 왜 함?? 차라리 판쉬르~~ 기술 도입이나 하지.  그게 더 현실성 있어 보이는데.

그래 전쟁이 발발하고 공군의 도움없이 얼마나 잘 버티나 두고 보겠다. 병사들 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소모용으로 밖에 안보이겠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벽골재 14-07-04 21:18
   
벽골재 14-07-04 21:26
   
drone 14-07-04 21:29
   
내가 포병출신이지만... 포방부 만들려고하나..

지금 k9 k55 수량도 많은데.. mlrs도 있고 현무도 있고....

어차피 소량일텐데..

저거보단 k9 몇개 포대 더 만드는게 국방비가 더 효율적일듯.
     
벽골재 14-07-04 21:38
   
장거리 발사라고 알고있네요 불곰사업도 있고 에이테킴스보다도 성능이 좋다고 알고 있네요
kakaruza 14-07-04 21:38
   
크고 아름다운 대포는 사나이의 로망인겁니다..
벽골재 14-07-04 21:44
   
펌글 : 전술탄도미사일은 gbns라는 지상항법장치를 기반으로 하고 우리군이 요구한 원형공차가 3m입니다.
이정도면 미국 이스라엘을 포함에서 동급 최강인데요.
말그대로 너무 높은 목표라서 gbns등이 아직 목표달성을 못해서 계속 개발이 지연된겁니다.
그럼 왜 이런 무리한 목표를 요구하느냐
결론은 관통탄을 적용하려 해서입니다.
우리나라는 타우러스에 적용된 다중관통탄같은 관통탄은 개발못했지만 일반항공폭탄등에 적용되는 낙하형식의 관통탄은 개발에 성공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관통탄이라는건 평균 3m정도의 정확도가 있어야 효과적입니다.
물론 이보다 정확도가 떨어져도 되지만 그럼 파괴력이라도 높아야죠.
그래서 아직도 항공낙하관통탄의 주력이 gps유도탄이 아닌 레이져유도폭탄인 이유도 레이져유도폭탄이 더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말하다보니 말이 길어졌는데요.
한마디로 에이테킴스에도 관통탄모델은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도면에서 떨어지고요.
에이테킴스이 관통탄은 개발비를 절약하기위해서 기존 하푼의 대장갑관통탄을 전용해서 개발한거라 탄도미사일의 낙하속도를 100%다 활용하지는 못했습니다.
그에 반해서 우리 관통탄은 처음부터 전술탄도미사일의 상대속도를 최대한 활용하겠끔 만들어지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정확도 관통력 다 에이테킴스보다 뛰어나게
아니 지금 개발목표는 더 높게 잡혀있다고 말해야겠네요.
벽골재 14-07-04 21:48
   
참고 자료 : http://youtu.be/P63_Rrck3TM
내맘알아줘 14-07-04 23:42
   
방사포(북한) = 다연장로켓포(한국) 아님? 북한 ㄷㄷ; 300mm 방사포(200km) vs 230mm천무(80km) 무시무시하네요
내일을위해 14-07-05 01:10
   
300mm 방사포? 도대체 무슨생각을 하고 잇는건지. 지금 우리가 화력이 밀린다고 생각하는건지 답답하군요. 그렇쟌아도 기형적인 육군 화력인데 뭐가 우선인지 모르는것 같군요. 현재로썬 중요한건 언제든지 즉각적인 도발징후 발견할수있는 감시능력입니다. 이북애들이  화력 다 쏟아붓고나서 방사포든 다련장이든 쏘면 뭐합니까.도발즉시 타격해서 피해를 줄여야지요. 노크귀순 계속해오는 마당에 먼 뻘짓.
꿈꾸는자 14-07-05 13:46
   
사거리 300킬로미터급 탄도미사일보다 사거리 300킬로급 방사포든 다련장이든 이넘들이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할수있네요..그것도 대량으로..물론 탄두중량이야 줄겠지만..지금 문제는 사거리죠..
에이테킴스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넘은 전술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비싸요..
가격대 효과로 보자면 방사포나 다련장을 300킬로미터 사거리를 가진넘을 대량으로 운용하는게 더 낫죠..우리군의 천무를 구경이 227미리쯤되죠..그넘을 사거리 늘리면 탄두중량이 줄어서 필요한 만큼의 화력을 내지 못하고..결론적으로 더 큰 구경의 다련장이 필요하다는 거죠..
현재 북한의 300미리급 방사포의 사거리가 180에서 200킬로급인걸 아는데..
현재 개발되는 천무 차세대 다련장으로도 이넘을 공격할수가 없죠..가능한넘은 에이테킴스나 현무탄도미사일 종류..
펜펜 14-07-06 01:56
   
러시아 3차 불곰사업중에 남은것중에서 러시아제 300mm 방사포를 도입을 하자고
그냥 던져본 거랍니다.
당연히 국내 개발사와 연구소는 독자개발 하자고 난리친거고...
난리친 그게 기사화가 되버린거고...
월컵첫우승 14-07-08 23:05
   
에이~~~~~~


일본 수상전력 상대할거라고는 말 못하겠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