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12-31 21:13
[해군] PKX-B CG와 130MM유도탄.
 글쓴이 : ZUNEPASS
조회 : 8,270  

 
 
 
 
 130MM 유도탄은 결국엔 기존 130MM 로켓 활용이 아닌 신규개발로 갔나보네요.
 
개인적으로 말하면 저는 130MM 유도탄 개발에 회의적입니다. PKX-B에서만 쓸 물건이고 위력도 그다지 강하지도 않을것이고 사정거리도 많이 부족할텐데 말이죠. 향후 다른플랫폼 용으로도 개조하는게 아니라면 그냥 차라니 해성이나 스파이크 같은 미사일이나 달아주는게 더 좋을껏 같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보라돌이 13-12-31 21:57
   
저는 괜찮게보는데... 로켓이 미사일보다 가격이 싸잖아요. 로켓이 함을 파괴하지는 못하더라도 레이더나 각종 장치들을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으니 전술적으로 괜찮을것 같아요.  운용 불능화만 시켜놔도 전장에선 큰 도움이 되죠.
     
ZUNEPASS 13-12-31 23:00
   
말이 로켓이지 저정도 개조면 그냥 130MM구경을 가진 미사일이라고 봐도 될정도로 만들어졋습니다. 보시다시피 기존 발사관을 통해 발사할수 있는것도 아니고요.
          
보라돌이 14-01-01 01:01
   
전투기용 공대공 암람보다도 직경이 작은데 미사일로 보기엔 무리죠.
               
겨울이좋아 14-01-01 04:12
   
미사일 맞아요......휴대형 대전차미사일인 재블린이 직경이 120mm정도고 길이는 저것의 반밖에 안됩니다!!!!

유도장치인 씨커와  날개의 구동장치 등등....다만 추진부만 기존 130mm구룡의 추진방식을 택한것뿐.....

저정도면 4~5Km(재블린 2Km 정도)내외의 북한 고속단정이나 공기부양정 또는 소형군함을 충분히 요격가능합니다....마치 재블린이 능동방식으로 적 전차를 파괴하듯이...
전쟁망치 13-12-31 22:57
   
C&C 의 건보트가 생각나는 디자인이네요
여시 13-12-31 23:05
   
저 로켓이 대함용인가요? 대지용인가요?

대함용이면 로켓은 회의적인데요
저 구경이면 사거리가 제한적일듯하고
짧은 사거리라면 발사하기전에 사거리가긴대함미사일에 지워질수도 있을듯해서..

그냥 기존의 대함미사일이 더 적합할듯한데 왜 고속정에 다연장 로켓을 달았는지 의문이네요
     
ZUNEPASS 13-12-31 23:08
   
대함용입니다. 북한 소형 고속정 상대로 해성같은 일반적인 함대함미사일은 과위력이라고 좀 대량으로 장비하고 해성같은 미사일보단 시스쿠아 같은 좀 저위력,경량의 유도무기를 장비하기로 했는데 연평도 사태 이후로 개발중이던 130MM 유도로켓 개발계획이 해군으로 넘어간겁니다.
겨울이좋아 14-01-01 03:40
   
그림보니까.....딱봐도 사거리 몇Km내외 정도의 소형화한  대함용 유도 미사일이네.....

북한의 고속공기부양정이나, 침투용고속단정, 기타 북한의 소형군함등을 상대로한 소형화한 대함미사일....

북한군함상대로 일반적인 대함미사일은 좀 아깝죠......

그림보면 대략 60mm박격포탄 한발정도의 파괴력은 나오겠네요....그정도면 북한의 싸구려 소형함정을 파괴 시키기에는 충분합니다!!
오리발톱 14-01-01 09:24
   
구룡의 130mm 로켓이면 탄두중량이 20킬로그램이 조금 넘으니 구룡과 비슷한 규격으로 나온다고 가정하면, 유도부 때문에 탄두중량이 좀 줄어드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76mm 함포탄 몇 발 때려넣는 것 보다는 훨씬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ZUNEPASS 14-01-01 09:52
   
저는 하다못해 대량으로 장비해서 한대당 2~3발 정도로 무력화 하는정도로 10대정도와 교전할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18발정도라도 넣으면 좋을텐데 말이죠.
아이쿠 14-01-01 11:03
   
76mm 함포 포탄은 사거리 18km에 탄두중량이 5~6kg 정도 됩니다
130mm 유도로켓은 사거리 25km이상에 탄두중량 20kg 입니다.
스파이크 미사일이 사거리 25km에 탄두중량은 8kg입니다

즉 스파이크 미사일보다 이 130mm가 훨씬더 강력한 무장이라고 할수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소형 고속정에 해성같은 대형 미사일을 운용하기도 어렵고
북한의 소형 함정을 상대로는 과무장이라
130mm가 딱 적당한 무장이라 보여집니다.
ㅣㅏㅏ 14-01-01 11:46
   
누굴 상대하느냐의 문제겠죠... 다만 주적인 북괴놈들을 상대한다면야 이정도 무장이 적당해 보입니다...
다만 이걸로는 북괴외에는 써먹을 데가 없다는 문제도 상존하는거죠... 쪽바리나 짱께를 상대하는데는 그저 잉여물품..
프레시 14-01-01 12:52
   
저도 잘 선택했다고 봅니다. 북한은 미사일 고속정이나 어뢰 고속정이 수량도 많아서 꽤 성가신 존재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큰 함선을 지키기 위해 참수리가 전방에 나서 그걸들을 최대한 제압하거나 러시를 지연시켜야 하는데 참수리의 공격력이 너무 빈약해서 1:1 교전을 너무 오래 가져가고 큰 피해를 입어 후속 전투 불능에 빠질 공산이 커 보여요. 탄도 오링날거구요. 즉 1:1 교환을 보이는 세력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보다 먼거리에서 최소한의 공격으로 먼저 전투불능으로 만들어야 하고 참수리급 한대가 여러대를 빠르게 제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해성이 최고이나 소형정에게는 아깝기도 하고 수량도 부족해보입니다. 자칫 소형정들 속도가 빨라서 빗나갈 경우(유턴해서 재공격하는 기능이 있다고 해도)도 염두해두어야 하구요. 

탄투중량이 20kg라고 하시니 명중시 한방에 침몰까지는 모르겠지만 거의 전투불 상태로 만들수 있을것 같습니다. 해성의 정밀유도 기술이 많이 접목될거라 한대 잡으려고 4,5발씩 쏠것 같진 않네요. PKX-B의 교전비가 1:5 이상만 되어도 좋겠습니다.
leojinpark 14-01-01 13:46
   
     
leojinpark 14-01-01 13:59
   
130mm 로켓탄두

탄체에 복합소재(유리섬유 및 에폭시 수지)를 적용하여 경량화한 제품이다. 
경량화로 인해 탄두의 사거리가 높아졌다.

STEEL BALL 16,000여개를 탄체 내부에 Epoxy Casting하여 파편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

축대칭 구조물 제작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이 적용되었다.

이것도 읽어보시길..
http://doorstep10.egloos.com/m/3923123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AAH4&articleno=17068365
     
프레시 14-01-01 16:21
   
윗분 링크에도 나와 있듯이 일반 다련장을 달아놓은게 아니라 IIR로 이동 표적을 추적 타격할 수 있는 정밀유도미사일의 개념입니다. 당초 해성 무장이 거론되긴 했으나 비용대비 효용성과 크기, 무게 문제로 해성의 축소형 모델을 개발 장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LIG넥스원이 맡았구요. 해성에 비해 크기가 많이 작은지라 성능도 축소가 되겠지만 소형선박용으로는 충분할것 같습니다.
저는 많이 달아봐야 4발 정도로 예상했는데 12발이라 깜짝 놀랬습니다.
곰팡이 14-01-01 14:16
   
인천급 까지 장착한 함대공 미사일 RIM 램 방어체계 개념 아닌가요 ..  저가용으로 만들어 고속정에 장착하는것 같은데..
     
ZUNEPASS 14-01-01 14:22
   
이거 RAM같은 물건 아닙니다. 대함용입니다.
          
곰팡이 14-01-01 21:26
   
고수님..대함용 이면 뭐~  비교 되는것 있나요?
               
ZUNEPASS 14-01-01 21:31
   
기동능력이나 시커같은 부분에서 차이가 나죠.

저 130MM 유도탄은 기본적으로 북한 고속정을 상대하기위해 효율적인 위력,저비용이 목표이기 때문에 항공표적을 포착할만한 고성능 시커가 들어가진 않습니다. 로켓추진부도 기존 130MM 로켓부분을 활용한다는 계획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