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3-29 19:12
[잡담] 생산된 중국의 J-20 전투기 기체 모습
 글쓴이 : MK통신소
조회 : 8,302  





3번째 사진에 보이는 저게 내부무장창인가...요?

것보다 기체의 디자인이 조금씩 조금씩 바뀌네...크흠 

카나드는 어디간거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나201 23-03-29 19:18
   
동체중앙에 개폐는 단거리공대공미사일용 으로 좌우 2발장착이고
동체하부에 개폐는  장거리 및 폭격을 위한  장거리 4발 장착입니다.

J20 의 모토기종은 미그1.44 를 기반으로 한 항공기이기 때문에 이에대한 스텔스성을 부여한 항공기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다만 항공기의 제네레이터 의 발전량부족.  질화비소기반의 AESA레이더
폭장위치의 밸런스위치등으로인해서
자체설계만 6번을 교체했다고 할만큼 엄청난 설계오류를 겪은 항공기이기도 합니다.
하나박 23-03-29 19:18
   
참 생긴것도 짱 개스럼게 만들었단말야.. 박스 오려서 얼기설기 만든것 같이
돛단별 23-03-29 19:44
   
내부무장창 처음 만드는데 좌우 싸이드와인더 수납고 까지 만드느라 기체가 엄청나게 거대해짐. 기동성은 개나 줘버리고 BVR 에 특화됨
     
제로니모 23-03-29 19:48
   
bvr에 특화시키려면 결국 레이더 성능인데... ㅈ게 레이더가 영 미덥지가 못하죠.

우리의 에이사 레이더가 훨 나은듯함.
     
대팔이 23-03-29 19:51
   
저고도 저속 기동영상보니 괜찮던데?
          
양철북 23-03-30 00:40
   
저도 봤는데, 무슨 육중한 폭격기 기동 영상인줄...
Wombat 23-03-29 19:48
   
전 이번에 양산되는 WS15엔진이 맘에 걸림
모르긴해도 어느정도 중국엔진의 고질병을 해결한것 같음
     
도나201 23-03-30 08:49
   
ws15 엔진 맘에걸릴것없습니다.
ws15엔진의 문제가  엔진출력이 일정이상 속도로 가동되면  갑자기 출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잡지 못해서 7년이상을 헤메였는데 지금 이현상을 잡았다라는 것이죠.

원래 엔진성능은 .. 그다지. 

7년동안 헤멘이유는  엔진출력에  소재열처리가 잘못되었다라는 부분입니다.
진동혹은 열에 의해서 소재접합부의 틈새가 벌어졌다라는 시나리오가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이기는 한데  발표한적이 없으니,  넘어가고,

그걸 잡았다고 해서 엔진성능이 좋다라는 것은 아닙니다. 
원체 형상자체에서 무리가 있는 항공기이고,

아직까지도 무장테스트영상이 공개된적도 없고  그러나 이미 폭격기로서 배치된것으로 보니.
측면의 단거리는 성공한듯이 보여지지만,
내부개폐창관련해서는  공대공미사일은 발사시험에 실패했을 가능성이 높고,
(혹은 아예 무장테스트조차 안했을 가능성이 높음.  오히려.. 무유도폭탄에 대한 낙하실험은 햇을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미국도 내부무장창관련  성공하는데 10년이상이 걸렸습니다.
문제는 내부무장창개폐시에 발생되는 와류현상을 잡을 길이 없고,
발사시에  기체속도가  마하0.7 이상에서 성공했다라는 것만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폭격기로서 운영하려면 최소한 대함미사일은 발사했어야 하는데.
전혀 그런것도 없고,  현재로서는 실제성능관련해서는 전부 미스테리인 기체입니다.

엔진성능을 봤을때 카피본엔진보다 80%성능치라고 발표된듯하고,
그에 따른 발전량과  질화비소aesa레이더 를 볼때  그정도 탐지능력을 보면. 최소 120km 는 넘긴다고 봐도 될듯하지만,

태국공군과의 j15관련 훈련에서 보면  bvr능력에서 의외로떨어지는 성능차이를 보인것을 보면
210km 정도가 최대 탐지능력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결국 조기경보기의 지원없이는 날지 못하는 항공기가 아닌가.. 보여지고 있습니다.
          
남산코끼리 23-03-30 09:08
   
도나201님
그럼 kf21의 레이더성능은 어느정도 인가요?
물론 비밀이겠지만 대략 성능은 유추가능한가요?
부엉이Z 23-03-29 19:55
   
처음엔 국가가 중국이라 미덥더만 J-20 이러니 저러니해도 점점 발전해가는건 사실이네요.....
잘봤어요........
한국국대대 23-03-29 20:18
   
중국이 1년 국방비에 때려박는게 얼마인데 비공식으로 1년에 300조가 넘는다더만
 아무리 중국산 무기거려도 J-20 전투기가 성능 개선이 안되면 말이 안되긴 하죠
동키11111 23-03-29 20:39
   
자세히 보니 카나드가 붙어 있네요.
측면에서 보니 같은 색이라 잘 안보이는 듯...
커피나땅콩 23-03-29 20:40
   
20015년부터 엔진개발에만 20조이상을 쳐 발라다는데 엔진 개선이 안된다는건 이상한거지.
그런데 내부무장창에서 미사일 발사되는걸 한번 보고 싶다.
가유저생 23-03-29 20:46
   
경적필패지요. 한국보다 예산을 6배나 더 쓰는 중국을 비웃는다. 제정신이 아니구만. 정신승리하나.
j-20이 부담되어서 미국은 f-15도 다 뺏구만. f-22를 순환배치 한다고 함.
카젤 23-03-29 21:29
   
잘보시면 카나드 보입니다
3번째 사진의 측면 내부무장창 커버 바로위에 달린게 카나드 입니다
노세노세 23-03-29 22:42
   
내눈엔 끔찍한 혼종으로 보이네요;; 생긴 것도 드럽게 못 생겼네;; ㅉㄲ산이라 그런가;;
Tigerstone 23-03-29 22:48
   
다른건 다공개해도 내부무장창에서 무기발사 동영상은 공개 안한다는 ㅋㅋ
F-22잡겠다고 스텔스 전투기로 만들었으나 기동성이 너무안좋아서
전투기로는 못쓰고 폭격기로만 쓴다는..
슬픈 전투기
TeddyBear 23-03-29 23:02
   
나름 디자인은 중국갬성 있어서 나쁘진 않은듯
물론 다양한 전투기 보고싶은 밀덕 입장에서
초록냥이 23-03-29 23:16
   
유튜브에는 j20 에어쇼 영상 가지고 f16과 누가 더 기동성이 좋은지 배틀이 벌어지고 있는데 기동성이 안좋다니..
승리만세 23-03-29 23:56
   
별신경 안쓰던 미국이 경계하기 시작한 이유가 중국의 항공기 성능이 기존 자신들의 판단보다 훨씬 발전되었다는 첩보가 나온 이유도 있어요.
Augustus 23-03-30 00:03
   
J-20 처음 나왔을 땐 솔직히 당시 대다수 밀리 유저분들도 비슷했겠지만 개무시했었는데 얘네 군사력에 돈 쏟아붓는 거 보면 무시하는 게 멍청한 짓인 것 같음.
부르르르 23-03-30 00:37
   
비행긴데 土자야...ㅋㅋㅋ
양철북 23-03-30 00:40
   
엔진에만 270조원 쏟아 부었다던데
그러고도 겨우 ...
타호마a 23-03-30 01:01
   
엔진에 300조 .. 기체에 100조 쏟아부으면 뭐하나 ..

비오면 출격도 못하는 .. jot 계열인데 ...
땅콩3 23-03-30 07:26
   
1인승 f-50v 한테 발릴듯..
spaceweapon 23-03-30 10:41
   
중국의 공대공 미사일부터가 거짓임
최초 600km라고 했다가 다시 300km 최근에는 국영방송에 200Km라고 소개하고. 에이사 레이다도 이스라엘 도움으로 개발은 했으나 인도 공군의 su-30  레이다에 먼저 잡혔고, 스텔스 성능로 그다지 뛰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RCS 값도 전면을 기준으로 중국기준 뻥 테스트 수치일 뿐. 실제로는 아무도 모릅니다.러시아 자체문서에서도 5세대기 SU-57도 RCS가 0.1~1이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J-20이 거대한 몸뚱이를 가지고 F-35보다 뛰어난 스텔스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그것 자체가 거짓말입니다
동키11111 23-03-30 12:15
   
중국의 항공기 기술을 폄훼하기만 해서는 안됩니다.
나름 여러가지 시도를 하고 있고, 공산국가답게 국가차원에서 비용과 상관없이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기술적인 부분도 과거와는 달리 많이 향상되어 있습니다.

J-20만 보면...
위의 사진에서 카나드는 달려 있습니다. 일부 카나드가 RCS에 영향을 준다고 하지만, 위의 사진에서 보면 카나드와 주익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카나드로 인한 RCS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어짜피 스텔스 형상을 띄고 있다보니 국내 F-15, F-16이 먼저 포착할 수는 없을 겁니다.
F-35가 당연히 더 우수할테지만, 수량에서 밀리면 힘듭니다. 빠른시일내에 KF-21이 전개되어 대응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어짜피 지금은 레이더리플렉터를 달고 임무를 수행하니 스텔스다, 아니다를 판별하기 힘듭니다. 실제 전투상황이 한번 나와야 진짜기능을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중국의 뻥스펙에 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아마도 처음 개념설계 시 나왔던 스펙이 기술력의 부족으로 실제 성능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지만, 걱정되는 건 지속생산하면 스펙이 올라간다는 겁니다. 그냥 무시만 할 것이 아니라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spaceweapon 23-03-30 15:39
   
젠20의 RCS값은 4.5세대에 속하는 0.21
해당 사이트 주소를 넣으니까 금지어로 등록이 안된다고 나와서...
닉네임 Dove12 가 올린 링크로 가시면 주파수 대역대와 종합평가가 나와있습니다
https://twitter.com/DavidV37552056/status/1640336088123441152
블랙레이쇼 23-03-31 01:50
   
https://basicsaboutaerodynamicsandavionics.드프레스com/2023/01/15/f-35-vs-j-20-vs-su-57-radar-scattering-simulation-summary/

워드프레스만 영어로 바꾸어주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