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12-13 19:57
[뉴스] 바하무트 시가전 돌입
 글쓴이 : Sanguis
조회 : 5,500  
   https://twitter.com/InsaleZ/status/1602569174873677825?t=BTZVMP8weP7vg… [58]


동부전선 최대 격전지 바하무트에서 시가전돌입.

남부방어선이 븅괴되더니 결국 동부에서꺼지 본격적인 시가전..

러시아군이 인명피해 수천 ~ 만 단위까지 아랑곳하지않고 인해전술로 쏟아붇고ㅠ있는데 결국 친우 오신트나 매체에서도 바하무트 시가전 소식이 나오네요.

우크라이나군도 수개여단이 배치된 지역인데..  무리하게 소도시 지키려는것보다 지연방어하면서 전력보존하고 후방에 방어선 재구축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도...

저동네에 뭐가 있는지 러시아랑 바그너는 무지성 인해전술중..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신jinv 22-12-13 20:30
   
사람들을 대량으로 밀어 넣어서 점령할 때까지 시체 산을 쌓고 전진하는 2차 세계대전 소련 방식이 나치독일을 공포로 몰아넣고 실제로 성공한 것이기도 하죠. 러시아군이나 저 러시아 용병 집단이나 사람 목숨이 더 싸다고 여기니까 저런 방식을 채택한 거겠죠. 다만 우크라이나도 사실상 총력전이라서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포격으로 건물이 많이 무너진 것이 아니라면 어쨌든 시가전이라면 오래 지속되겠네요.
여기서 지연전 펼치면서 가을작전처럼 우크라이나가 내년 1~2월 사이에 크게 한 방 더 날릴 수 있다면 이번 전쟁이 끝날지도 모르겠어요.
ravana 22-12-13 20:45
   
러시아가 바하무트에 집착 하면 할 수록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고맙지
바람아들 22-12-13 20:46
   
러시아 군 생각보다 적게 죽고 있음. 오히려 우크라이나 군 피해가 심각한 상화 임.
그리고 저 바흐무트 지역이 교통 요충지라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곳 임.
     
유장만 22-12-14 06:2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ugustus 22-12-13 20:46
   
어김없이 나타난 조선족 러뽕 등신 ㅋㅋ
커피나땅콩 22-12-13 21:01
   
저곳이 중요 요충지라고 하던데.  하여튼 하루에 죽는 사람만 양쪽으로 수백명이씩라는 소리가 한달전부터 있었음.
     
벌레 22-12-13 22:47
   
요풍지 아닌데요 -_- 그렇게 따지면 다 요충지죠
바흐무트는 용병단이 활동하고있다는 그들의 정치적 상징이므로 물러서지 않죠
그리고 교전비는 대강 1:15 정도입니다
바흐무트는 민간인 다 떠난 무주공산 지역이고 저곳을 점령하네마네같은 것은 큰 의미가 없으므로 우크라이나군은 불필요한 희생을 삼가며 원거리에서 작전을 수행중입니다
바흐무트는 꽤 작은 마을로써 남아있는 온전한 건물도 거의 없는 지경이구요
과부 22-12-13 22:01
   
바그너그룹이 자신의 능력을 증명한다고 총력을 집중하는 지역임.
징집병들을 앞세우고 가다가 전투경력이 별로 없어 대량 몰살을 당하다 보니 지금은 헤르손에 있던 해군특전단(해병대) 정예병들까지 갈아 넣고 있다함.
러시아군이 최근 두달정도 매일 천명 이상의 사상자가 나온다고 하지만 우크라이나군도 매일 이, 삼백명의 사상자가 나오는 엄청 치열한 지역임.
교전비가 1대5에서 1대7정도 나온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현대전에서 우라돌격을 보게 될 줄 생각도 못했음.
러시아가 지금 저러고 있음.스탈린그라드전투에서 우라돌격으로 독일군의 진격을 막아내고 승기를 잡았다는 망상에 저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함.
이름없는자 22-12-13 22:10
   
저곳이 교통의 요지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저렇게 전력을 기울여 점령하려할 정도의 전략적 요충은 아니죠.
서방 전문가도 바하무트는 군사적 동기보다 정치적인 동기의 목표로 보고 있다고 하더군요.
푸틴이 러시아군 수뇌가 요구한 대로  헤르손에서 철수를 허용하는 댓가로
 바하무트를 점령해 승리했다는 전과를 선전할 수 있도록 교환을 했다는 군요.
호랭이님 22-12-14 00:29
   
바하무트 전략 요충지 아닙니다. 차라리 그 근처의 크레미나급도 안되요. 서방측에서도 바하무트에 왜 러시아군이 꼴박하는지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있구요. 동부쪽으로 진군하긴 편한 요충지라면 모를까 딱히 의미를 크게 부여하기 어려운 곳입니다.
부르르르 22-12-14 00:52
   
요충지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희박하다 보니
선동을 위해 옆구리 찌르려던 것 같은데....참....
디오리진 22-12-14 11:55
   
요충지가 아닌데 러시아도 그렇지만 우크라도 14~16개 여단에 외국용병까지 계속해서 밀어넣는중. 우크라이나 반응도 이해하기 어렵네요 후퇴해서 전선을 새로 이루는게 좋아보이는데 계속해서 밀어넣는중. 러시아는 계속 포격전중이고 비율은 미국측 발표 9;1입니다.  우크라이나가 굉장히 힘들게 막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