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3-07 12:33
[잡담] 미국 레이저포 시험 발사 성공
 글쓴이 : 에어포스원
조회 : 5,207  

1.JPG




레이저포를 이용해 1마일[약 1.6km] 떨어진 곳의 물체를 타격하는데 성공했다. 록히드마틴은 지난3일 야전 실험에서 30킬로와트의 광섬유 레이저 무기 시스템가 소형 트럭 엔진을 성공적으로 무력화 시켰다고 밝혔다고 nbc방송이 보도햇다.


케오키 잭슨 록히드마틴 최고기술임원은 성명에서 "이번 실험은 레이저 무기 체계를 군항공기, 헬리콥터, 선박, 트럭등에 장착하기 위한 다음 단계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 해군은 레이저무기체계를 수륙양용수송함인 uss폰스에 장착해 ㅣ실전배치했다. 여기에 장착된 레이저포 역시 30킬로와트급 장비다



한편 한국군 레이저포 무기는 2020년 후반쯤 개발 완료될것으로 보고 있다

12.png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전광석화 15-03-07 13:23
   
래이저포의 출력을 높이면 높일 수록, 더욱 더 강한 무기가 되는데
현재 30KW 인 이유.

저 무기를 개발 당시 상용화 되어 팔리고 있는 래이저중에서 가장 고출력의 제품이 5.4KW.
이 5.4KW 6개를 묶어서 만들었기 때문에  5.4KW x 6개 = 약 30KW.

그런데 이번 미국의 래이저포를 보면,
6개의 래이저들이 각각 발사가 되어서 한 지점에 명중이 되는 식인 것으로 봤을 때
발사되는 래이저들의 갯수를 늘리면, 현재 상용화된 제품을 가지고도
30KW 보다 훨씬 더 강한 출력도 가능할 것으로 보임.

< 래이저포의 장점 >
1. 초정밀 타격 가능 : 조준한 곳에, 정확하게 타격
2. 초고속 타격 가능 : 컴퓨터 화면으로 타격지점을 조준한 다음, 발사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목표물을 명중.
3. 초저가 비용 : 1번 발사하는데 드는 비용이 단 돈 1달러(=1,000)원.
봄꽃춘 15-03-07 14:14
   
레이저포 명중하면 돋보기로 종이 태우듯 서서히 타는건지, 만화처럼 펑 하고 터지는지 궁금함
     
술담배여자 15-03-09 16:33
   
일단 터지진않을것같은게.....돋보기로 종이태우듯 하는거지만
그게 원체 열량이쎄서 서서히가하니라 순간적으로 온도가 확올라가는거니까요
그래서 표적이  빤딱빤딱한 잘 연마된 금속이면 레이저 반사해서 효율이떨어질텐데.....
물론 거울이 더 좋지만 거울은 좀.....
하여간 그래서 반사율도 높고 열전도율도 좋은 금속에대해 레이저로
무기로서 쓸려면 상당히힘들었을텐데  역시 과학의발전은 ㅡ,.ㅡ
허각기동대 15-03-07 14:45
   
와...제일 중요한데만 살살 지져서 터트려 놓은거 보소.  레이저가 1.위력 2. 전투지속성3.무기의 편의성만 보장된다면 무기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인 1.유지비 싸고 2.조용하며 3.숙련되지 않아도 조질수 있음. 이라는 세가지 목표를 한방에 달성할수 있는 체계가 되겠쓰요.
     
술담배여자 15-03-09 16:34
   
ㅋㅋㅋㅋ  이제 레이저무기가 대세가되면 레이저방어용으로 탱크에
대형 가습기를 둘러야할지도몰라요 ㅋㅋㅋㅋㅋ
수증기로 레이저가 산란되면 효율이 급격히하락할테니까 ㅋ
JJUN 15-03-07 15:50
   
닿자마자 펑이 아니라 지지는 형식이라면
위치 노출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술담배여자 15-03-09 16:40
   
일부러 눈에 보이게 하기위해서의 경우가 아니라면 눈으로 감지하지못하는 레이저도
상당히많이있는걸로 알아요 적외선 자외선마냥 가시광선을 벗어나는파장의 빛은 눈이감지못하는것처럼
전광석화 15-03-07 19:49
   
발사 버튼을 누르면, 실제로 래이저가 발사되는 기간은
출력 강도를 낮추면 오랫 동안 발사가 가능하고
출력 강도를 최대한 높이면,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발사가 됩니다.

발사 강도는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적군의 눈을 부시게 하는 정도에서 부터 ~
최대 강도인 30KW를 발사하면 얇은 철판을 뚫어 버릴 정도까지 조절 가능.

1발당 발사 비용 = 약 600원.
작년 8월부터 USS Ponce 호에 장착을 시작해서 그 동안 테스트를 해 왔었는데
날씨가 뜨겁든지, 습도가 높든지, 파도가 높든지 상관없이 전혀 결함없이 성공적인 작동.

총 설치 비용 ( 냉각기, 디젤 발전기를 포함한 제작 비용, 설치비용 모두 포함) 은 400억원 들었습니다.
냉각기, 디젤 발전기를 포함해서 모두 1번만 설치를 하면, 별도로 교체할 필요없이 그냥 계속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2016년이나 2017년까지는, 150KW 출력 래이저포의 시험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150KW 정도의 출력이면, 군함에 구멍을 낼 수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2020년경에는 구축함들에 실전 배치를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비행기(무인 비행기 포함)에도 장착할 예정이고, 지상군 무기에도 장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지금까지 모두 미군 이야기 였고
전자 공학이 발달한 한국에서는 지원만 해주면,
미국보다 먼저 고성능 래이저포 개발에 성공할 것 같고
대량 생산 비용도 아주 싸게 무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광석화 15-03-07 19:50
   
한 가지 아주 아주 조심해야 할 것은
캐이스 뒷면에 거울이 달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적국의 여군을 조심해야 합니다.
깰라깰라 15-03-07 21:41
   
레일건에 레이져포까지... 이제 지구를 지키다못해 다른 행성으로 쳐들어갈 기세군요..ㄷㄷㄷ
백척간두 15-03-08 02:24
   
출력을 높이면 단시간에 엄청난 에너지가 집중되서 지진다고 생각하기 어려울겁니다.
하지만 특정 코팅을 하면 효과가 반감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깡통의전설 15-03-08 11:47
   
우리나라 레이져 기술 안습입니다.  발사비용이 터무니 없이 낮게 잡히는것 같은데 고출력의 경우 화학레이져를 사용해야 하고 비용상승 있겠죠. 또한 금속을 녹일만한 대출력을 내기 때문에 내부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지요. 저렴하게 사용할수 있다 보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직선 거리만 가능하죠. 수평선 넘어선 요격 불가능하고요 차폐물에 숨어도 불가능 하죠.
결정적으로 파괴력이 낮다는점...
     
술담배여자 15-03-09 16:44
   
네 확실히요 무엇보다 온갖물질이 꽉 들어차있는 지구환경에서는
거리에따른 위력감소가 너무심해서........
아무래도 미국은 지구방위군이되려는것같습니다 ㅡ,.ㅡ;;;
외계인고문하더니 외계인침공작전이라도 알아냈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