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6-26 08:14
[잡담] 몇해 전에 접했던 소식을 최근에 다시.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5,097  






SBAS_coverage.jpg

191.jpg

국토해양부.jpg

SBAS(Satellite_Based_Augmentation_System)_(1).jpg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046488


전 세계에 우리나라의 에스바스(SBAS) 개발 착수와 사업계획을 알리고 해외 개발 사례와 기술을 국내전문가와 공유하기 위한 국제행사가 열린다.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 이하 국토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 이하 항우연)과 공동으로 4월 16일 더케이 호텔 서울에서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에스바스 : SBAS) 구축·활용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정부, 국내 산·학·연 전문가와 해외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하여 에스바스(SBAS)의 해외개발 사례 분석과 활용 확대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 에스바스(SBAS :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 현행 GPS의 오차(17∼37m)를 정지궤도 인공위성을 통해 1m내로 오차를 줄인 초정밀 위치정보 제공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22일 항우연을 에스바스(SBAS) 개발·구축 주사업자로 선정하고, 세계에서 7번째로 시스템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에스바스(SBAS) 개발·구축 사업은 2018년까지 시스템 설계와 제작 및 구축을 완료하여 2019년 공개서비스를 개시하고, 시스템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22년 9월부터 정식 운영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 프로그램 중 ‘국내 에스바스(SBAS) 구축 및 활용 방안’ 세션에서는 우리나라의 에스바스(SBAS) 개발 및 구축 전략과 활용 방안 그리고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 발표와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먼저 우리나라가 선진기술을 확보하고 국제수준의 개발 방법과 절차를 이행하기 위한 에스바스(SBAS) 개발전략과 추진일정을 발표하고, 에스바스(SBAS)를 기반으로 하는 정밀 위치정보를 항공, 해양, 이동통신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공, 철도, 해양, 위치기반서비스 분야 등에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에스바스(SBAS) 활용 분야 확대를 위한 전략적 추진 방향과 경제적 파급 효과가 제시될 예정이다.

‘에스바스(SBAS) 해외 개발 및 인증사례’ 세션에서는 미국의 와스(WAAS)가 소개될 예정이다.

미국은 이미 에스바스(SBAS)를 개발하여 항공분야에 적용하고 있어 와스(WAAS) 제작사인 레이시온社(미)의 전문가가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적용된 인증방법과 절차를 발표할 예정이다.
* WAAS(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 미국의 SBAS 명칭

국토부 서훈택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실질적인 에스바스(SBAS) 활용 방안이 논의됨으로써 차질 없는 사업 추진과 정밀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위치기반 산업 분야에 에스바스(SBAS) 활용을 확대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는데 의미가 있다”면서,

사업이 완료되면 항공 등 다양한 교통수단과 응급구조 등의 위치 기반시설로 에스바스(SBAS)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국민의 삶의 질과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gps 항법위성의 오차를 보정해주는 

항법지원 위성체계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즉 SBAS라 불리는 체계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은.

순조롭게 진행중인가 보네요.ㅎ

21기+3기의 예비기. 총 24대의 위성이 쉼없이 회전하면서 전송해주는 정보.

항법정보는.

대기권 전리층에 의해 전자적 간섭과  대류권의  수증기등으로 인해 감쇄되어  지연오차가 발생하는등.

아직까지 태생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에.

항법오차를 수정하기위해 정지궤도상의 위성으로 전송후 다시 재전송하는 방식이라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이미.

우주강국이라 불리수 있는 국가군은 자체적으로. 구축하였기에.

오차폭을 최대한 잡았다고 하네요.


WaaspicSmall.jpg

GAGAN-682x1024.jpg

Systemy%20Wspomagajace%20GPS_clip_image008.jpg
미국의 WAAS.  유럽의 EGNOS  인도의 GAGAN  일본의 MSAS.가 운용중이며.

러시아도. 준비중이라고 하는걸 봐선.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생각도 들기도 하네요.

(군사용 SBAS 경우  항법오차 보정정보를 송출할 경우.  예를 들어 한국형 GPS 유도폭탄 KGGB의
10m내 오차를 3m수준으로 감소시킬수 있고.  북한군의 GPS 재밍에 대응한 수단으로 활용할수 있다는군요)

포맷변환_m35409_4.jpg

포맷변환_m35409_5.jpg

  • (위치기반산업) 실내 위치추적, 빠른 길찾기, 응급구조 등 고부가가치 산업 창출로 연간 172억원 편익 발생
  • (수용증대 및 편리) 항공기 · 자동차 · 철도 · 선박 등 : 안전도 향상 및 수용능력 증대
  • (GPS 교란대응) GPS 교란 발생 시, 시스템에 의한 6초 이내 자동경보 제공으로 즉시 대응체계 확보
  • (시각표준) 정확한 시각정보가 제공되므로 항공장비 및 각종 정보통신 장비의 시각동기에 사용
    * 항공관제, 휴대폰 등 IT장비는 주로 GPS 시간을 이용하고 있음
  • (국방부 · 방사청) 民 · 軍 공동 위성개발 사업 추진 및 긴밀한 기술협력
    * SBAS의 국방 활용분야 연구 착수 및 '한국형 조기경보위성 사업' 참여 협의 중(‘13)
  • http://www.molit.go.kr/USR/WPGE0201/m_35409/DTL.jsp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랭이님 15-06-26 08:57
       
    군사기술에서는 우리나라의 순항 미사일들이 재밍에 걸리지 않고 보다 더 정교한 타격능력을 보유하겠군요..
    탄두파괴력만 더 늘리면 금상첨화겠네요
         
    스마트MS 15-06-26 09:11
       
    북한군이

    서해에서 어업중인. 어선이나 비행중인 항공기등의 항로변경 목적의 GPS 교란이 자주 시도되었기에.
    이에 대응차원에서.
    국내 통신사와 군당국이.합작하여  서해안 일대에. 무엇인가를.설치할거란 이야기도 들은적 있네요.  그렇다면. 순항미사일. 명중률과 생존률은 향상될듯 싶기도 하네요.ㅎ
    이쉬타르 15-06-26 12:55
       
    GPS가 재밍을 당하면 어차피 무용지물이 되고 위성 항법 체제란게 전파 재밍에다 쥐약이죠 ...민간용이나 산업용으로는 몰라도 군사용으로는 가치는 낮고 이런 위성 방식은 전시에 제대로 못쓴다고 봐야 지요
    이도저도 15-06-27 06:23
       
    GPS관련 군용코드는 따로 있어요. 무슨 민간용 GPS 가지고 무용지물이네 뭐네 떠들면 욕먹어요. 우리나라는
    GPS관련해서 그냥 꽁짜로 이용하고 있는거구요. 그러다가 북한의 민간용 GPS 재밍이 때문에 부랴부랴 자체 GPS 마련한다고 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