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12-22 15:48
[질문] 6새대 전투기 연합 어떻게 될까요?
 글쓴이 : 살수있다면
조회 : 1,835  

6세대 전투기를 개발 그리고 실전 배치 할려면 엄청난 돈과 기술이 필요 하겠지요 
그래서 한 나라로써는 감당하기 힘든지 ~ 미국은 그냥 넘사벽인거 같구요 ~
서로 힘을 합치고 있습니다 

영국 이탈리아 일본 연합  ~ 여기서 사우디는 끼지 못한거 같고요 
독일 프랑스 스페인 연합 
이 두연합이 6세대 전투기 개발을 시작 할꺼 같은데요 

뱃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를 보여준 농협-90 이나 유로 파이터 처럼 작살이 날런지? 
토네이도 처럼 꽤 좋은 물건이 나올지 나름 궁금하네요 

우리나라도 저런 연합에 들어 갔으면 좋겠지만 
지금 당장 키워야 하는 녀석이 있어서 어려울꺼 같으네요 
이놈을 잘 키워서 6세대 전투기를 개발 할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범내려온다 23-12-22 15:56
   
미국껀 컨셉CG 나오는거 보니 이미 개발에 어느정도 진척이 있다고 봐야 하고,
영국 템페스트는 일본이 거액의 개발비 부담하며 엔진도 일본것 베이스, 기체 크기도 RR엔진보다 대형대추력 엔진인 XF9-1 베이스로 바꿨으니 기체도 키워야 하는등 클라이언트 요구에 맞게 뜯어 고칠게 많으니 기존 템페스트때 세운 기간보다 시간이 좀더 걸릴테고, 여기에 정말 사우디까지 돈줄로 끌어 들이면 영국은 재정부담 덜고 개발할수 있겠지만 기체는 각국의 요구조건 끼워맞추느냐고 조별과제꼴 나겠지. 라고 기도해 본다.
벌레 23-12-22 16:11
   
가급적 연합에는 안들어가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프랑스는 빠지려는 분위기네요
땡말벌11 23-12-22 16:46
   
개발초기에 영국과 일본의 트러블이 심했죠.
이제 시작 단계이겠지만.............유로파이터 특성상 부품 수급과 유지비 폭등의 문제가 컸는데
일본 무기의 특징을 고려하면 솔직히 그 이상의 유지비를 볼 수 있겠네요.
개발 완료도 2035년 이후로 보고 있기도 하지만............

여기에 사우디가 끼면 개판이죠. 기술주도 및 자금 주도가 완전 다르고, 중첩되는게 많아서..........
대팔이 23-12-22 17:03
   
우리는 스웨덴과 연합?
한국+스웨덴+UAE..
요렇게 연합하면 괜찮네...
     
oppailuawaa 23-12-23 17:31
   
꿈같은 소리.. 사브 가 주체가 돼서 하고 싶어할거고 UAE는 돈 투자만 해갖고 기술 빼갈게 뻔한데 성사가 될수가 없음..
fininish 23-12-22 17:25
   
조별과제는 기본에 일본이 참가국으로 끼었으니 금액은 최고점 찍는건 확정이네요.
이거 기술실증이면 몰라도 양산은 어려울것 같은데..
머스탱2015 23-12-22 21:58
   
조별과제는 대학교때 이미 하면 안된다는걸 알수 있음.
야구아제 23-12-23 15:53
   
우리가 전투기의 세대라는 것을 냉전을 기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고 가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애초에 전투기의 세대 구분이 냉전 이후 발생한 제트 전투기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이죠.

지금 미국의 국제 지배력 약화로 미국만 믿고 있을 수 없는 나라들이 많으며 국방비에 투자해야 하지만 투자를 많이 할 수도 없는 나라들이 많기 때문에 일종에 고양이 목에 방울 다는 마인드로 저런 프로젝트가 나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결과보다는 과정에 치우칠테고 누구도 나서서 더 많이 더 잘 하는 방향으로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oppailuawaa 23-12-23 17:33
   
저런 공동개발에는 가장먼제 합의 할것이 생산 파트에 대한 단가 확정 임.. 절대로 계약서 상에 그나라가 공급하는 부품가격에 변동이 없어야 한 다는 것임.. 안그러면 유러파이터 시즌 2 되는 거..
구름위하늘 23-12-26 11:25
   
미국을 제외하면 다 실패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도 요즘 군사 프로젝트 진행 현황을 보면 힘겹게 개발될 것 같고요.

우리는 괜히 6세대라는 마케팅 용어에 매몰되지 말고,
그냥 다음 단계인 5세대에 충실한 군용기를 능력은 조금 낮추더라도 생산비 낮고 유지비도 낮게 만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비싸고 좋은 물건이 팔리는 시장보다는
적당히 비싸고 적당히 좋은 물건이 필라는 시장이 더 큽니다.
저는 6세대 전투기는 생산업체 입장에서는 앞에서 남기고 뒤에서 손해보는 장사로 생각됩니다.
팔리는 수량에 비해서 유지보수를 책임지기 위해서 감수해야할 업체의 부담이 높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