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2-11 09:24
[기타] 싸드 6조 운용비 썰에 대한 소스?
 글쓴이 : 가마구
조회 : 3,100  

싸드 운영비가 조 단위로 들어간다는데... 

아래 글에 보면 좀더 정확한 정보가 있군요.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num=85560&pn=1&compn=2#rpl_s

내용을 좀 인용해 보겠습니다.

자료는 2010년도 환율을 기준으로하며 사드 개발 운용 주체인 국방성 산하 Missile Defense Agency가 미 의회 예산처 (Congress Budget Office)에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하고있습니다.


우선 1개 포대의 1년간 평균 운용 유지비 O&S cost 를 살펴보자면: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40/upfile/201602/2016021017215339517.jpg

대충 본다면 

유지비 20.5 백만달러

GFE, 지지 장비 수정킷 교체 1.3 백만 달러

병참 지원 17.0 백만달러

위상 적응 접근 93.3 백만달러

MDA 소계 : 132.1 백만달러


연료, 오일, 윤활유 : 0.8 백만달러

GFE 예비, 수리부품, 유지비 13.4 백만달러

간접비 : 7.8 백만달러

군 인건비: 45.9 백만달러

육군 소계: 68.0 백만 달러


총계: 200.0 = 2억달러 (환율 1200원 치면, 약 2400억원)


위 총액은 AN/TPY-2 레이더의 O&S 경비를 제외한 1개 순수 포대의 비용입니다.

이는 1개 포대의 구성으로 48기의 요격체, 6대의 런쳐, 그리고 2대의 TFCC 사격통제 유니트를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AN/TPY-2 레이더의 대당 운영 유지비 (O&S) 입니다. 


아래 자료는 20년간 예상되는 레이더 11대의 총 운용유지비용입니다. 

(대당 비용이 아니라 2016년까지 도입이 예상되는 11대의 레이더를 기준으로 총 경비를 예상한 금액입니다)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40/upfile/201602/2016021017310884993.png

개발비 - 최소 40억달러 최대 57억달러

조달비- 최소 20억달러, 최대 20억달러

최소 구매 수량 - 최소 11개, 최대 11개.

20년간 운용유지비 최소 121억달러, 최대 166억달러


그러니까, 11대를 20년간 운용유지 했을 때, 대당 연간 운용유지비는 166억달러 / 20년 /11대 = 7500만 달러입니다. 환율을 고려하면 약 900억원이 됩니다.


그러니까 싸드 1개 포대와 1개의 레이더를 운영할 때, 연간 운영유지비는 약 3300억원이 됩니다.


대체, 1년 유지비가 수조원이 된다는 말은 어디서 나온 말일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영웅문 16-02-11 09:37
   
여기에 최소 2개가 빠졌네요.
부대유지비와 운영비 그리고 보상비(토지보상비) 이것을 10년으로 나눈다면...

그냥 장비유지비는 제가 생각한 2천억보다 많이 나오네요.
그런데 3천억이 적나요?
     
가마구 16-02-11 10:21
   
3천억이 적다는 말이 본문에 있나요?

언론에서 떠들기를 일년 유지비가 몇조원이네 뭐네 하는 가운데 이런자료가 있더라는 거죠.

그 수조원의 근거는 뭘까 궁금해져서 말이죠.
모래니 16-02-11 09:38
   
애당초 처음 사드 나올때 미슬 1개에 1조원이라는 썰까지 나왔죠.
종달새의비… 16-02-11 11:20
   
사드는 미국이 필요 한거지..그 돈으로 핵 잠을 만들거나 공군력 강화라던가로 가면 들아까울텐데
가을바라기 16-02-11 11:38
   
아직도 종달새처럼 같은말만 되풀이 하는분이 있네요 ㅎㅎ
구름위하늘 16-02-11 13:27
   
저 자료에 대한 세부 내용 파악이 필요한 부분이 "phase adaptive approach" 항목입니다.
비용도 제일 크고, 비중도 거의 반 정도 됩니다.

근데, 일반적인 해석이라면 이건 전체 기능이나 구매를 한번에 하지 않고
단계를 나누어서 적용한다는 의미 입니다.

해당 자료의 항목을 검토하지 않았지만,
직접적인 운용비 항목이라고 보기에는 검증할 필요가 있어 보이네요.
꺼져쉐꺄 16-02-11 16:34
   
종북 세력이나  북한 사이버 전사대 혹은  좆족 , 화교 ,짱꼴라놈들의 선동이죠

그냥 사실을 말하는게 아니라  거짓으로 남남 갈등 조장, 중국의 입맛에 맞게  여론을 좌지 우지 하려는 속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