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6-05 12:49
[기타] 국산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개발시작
 글쓴이 : 노닉
조회 : 1,964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4-06-05 13:52
   
직경이 안나오네요. 사거리를 예측하고 싶었는데.
IRST 탐지거리 50KM라서 적 스텔스 대응을 하려면 최소 30KM는 넘어야 하는데
회피기동 생각하면 사거리 60KM는 나와야 할 듯.
     
사커좀비 24-06-05 14:57
   
직경은 아마 사이드와인더, 아스람, IRIS-T 등보다 약간 크기 않을까 예상합니다.
단거리 공대공미슬의 사거리는 사이즈보다...
시커의 탐지거리 및 해상도, 시커의 냉각시간을 늘려주는 냉각장치의 성능이 더 중요하다더군요...

우리나라는 이미 이중대역 IR시커를 개발해서 상용화하였고, 해상도도 뛰어납니다..
바이락타르에 들어간 EO/IR 탐지장비가 한국기업 제품이죠...

몇몇 유튜브렉카들의 영상을 보면.. 대략 50Km~60Km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 예상대로 나온다면 신박한 물건이 하나 탄생하는 거죠...
          
땡말벌11 24-06-05 15:25
   
그렇군요. 양방향 데이터링크는 아직 개발 중 아닌가요?
               
사커좀비 24-06-05 16:53
   
네.. 양방향 데이터링크는 계속 연구중입니다..
민간부문의 5G, 6G도 꽤 활발하구요... 이건 뭐.. 자율주행이나 광대역통신에 필요하니까요
군용은 아무래도 대용량 광대역 통신망이고, 보안까지도 고려해야 해서...
분야별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걸로 보입니다..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링크, 중장거리 공대공미사일의 데이터 연동방향 연구라든지.. 이런 과제는 이미 수행중입니다..
해군용 혐동교전체계를 위한 데이터전송 체계도 개발중이고요...
의외로 이쪽 분야는 꽤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요
대팔이 24-06-05 23:56
   
개발완료는 언제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