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2-28 17:06
[육군] 아래 전차 성능 비교 관련 질문 답글.
 글쓴이 : 보통이
조회 : 2,198  

AFV Database_01.jpg

AFV Database_02.jpg


자료마다 차이가 있긴 한데 제가 종종 인용하는 곳의 자료가 그나마 잘(?) 정리된 것 같아서 소개합니다.

1. 화력면에서 멀카바 마크4, K2 흑표, 영국 T-72 챌린저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오는데 미세하게 나마 흑표가 가장 앞설 겁니다. 55구경장이라...

2. 방어력 면에서 멀카바 마크4, 미국의 M1A1과 M1A2, 그리고 아마도 자료 작성자가 미육군의 로비를 꽤 강력하게 받은 탓인지 북한제 전차들의 방어력 수준을 매우 높게 설정하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건 그냥 그려려니하고 넘기시는 편이 나을 듯 합니다. 기본적으로 북한엔 67톤급 전차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천마 사형이나 선군호 가나다라형 따위가 존재한다면 가능할 지도???

3. 기동력면에서 톤당 마력수와 순항 속도로만 비교하자면 M-1과 일본의 10식이 동률로 가장 우수하고 다음으로 프랑스 르클레어, 독일 레오파르트 2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물론 지형에 따라 이런 순항 속도보단 접지압 높은 것이 선호되는 전장 환경도 있으니 국산이 조금 늦더라도 이해해 주시면 좋겠지만 그렇다고 두산 인프라코어를 두둔하거나 하자는 건 결코 아닙니다. 뭐 그냥 그렇습니다.

3가지 전차 평가 요소를 가지고 비교하자면,
화력과 방어력 면에선 멀카바 마크 4가 가장 우수하고,
방어력과 기동성 면에선 M-1이 가장 우수한 걸로 평가됩니다.
기동성과 화력면에선 흑표가 가장 우수한 걸로 생각합니다.
펜타그래프로 분석해 보면 면적 순으로 좀 더 세밀하게 비교할 수 있으실 겁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ar00 16-02-28 17:38
   
북한의 M-1994는 뭔 괴물이랍니까?
러시아의 T-90도 쌈싸먹겠군요. ㅡㅡ
신뢰성에 의문이 생깁니다.
     
리즈몰리 16-02-28 18:09
   
T-62A 북한 개조버전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냥 느릿느릿 열병식때 지나가는 영상만 있지
달리면서 포를 쏜다거나 하는 영상이 없어서 신빙성은 낮습니다.
     
보통이 16-02-29 01:32
   
북한 전차 관련 내용은 걸러서 이해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신뢰성은 그저 여러분께서 평가하는 수준보다 약간 낮은데 자료의 평가 기준이 통일되어 있다는 것하고, 같은 관점에서 비교적 다양한 전차들을 비교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자료입니다.

원래 이런 자료가 국방백서의 부록으로 회람되어야 할 만한 서브루틴임에도 공개하지 않는 국방부에 대한 불평으로 이해하셔도 됩니다. 전력 비교랍시고 숫자 놀음하는 것에 대한 가운뎃 손가락 올림 정도...그런 의미로 이해하시면 굳이 신뢰성에만 매달릴 필요가 없다는 걸 이해하실 수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_-;;)
wepl 16-02-28 18:18
   
북한애들 스펙은 북한 자체의 구라거나 아니면 무기상들의 구라라고 생각함
사통팔달 16-02-28 19:01
   
일단 화력은 m1a2가 젤쎄요.44구경장이지만 날탄자체가 괴물이라서 관통력으로는 최고에요.다음으로 흑표가 쓰는탄 일단 텅스텐자로 나오는것중에선 탑급이고요.
현시창 16-02-28 19:11
   
일단 공방능력은 MA1A2SEP가 세계최강입니다...
현존 APFSDS중에서 M829A3를 능가할 물건은 없습니다. 방어력 면에서도 레오파트2A7을 비교대상으로 삼아도 M1A2SEP2가 우세를 가져가지요.(방호력에 필요없는 부위는 철저히 경량화시켰습니다. 포탑버슬을 티타늄 합금으로 교체한다든지 하는 개량으로 레오파트시리즈보다도 방어력에 돌린 중량이 더 큽니다...)

전면 방호력만으론 레오파트2A7이 비벼볼만한 구석이 존재하지만, 약점의 유무나 측후면 방호력 및 생존성까지 따지면 여전히 M1A2SEP가 우세합니다. 여기에 네트워크 교전능력까지 비교해 들어가면 정말 민망한 수준까지 벌어지고요...FBCB-2의 능력은 이미 실전에서 입증된 바 있는데, 독일군은 여전히 미국이 94년에 개량의 여지도 없다며 쓰다버린 물건을 쓰고 있습니다...

FBCB-2와 우리와의 연계점도 재밌는게 많은데...
우선 우리군 차기 네트워크 교전체계는 FBCB-2와 호환될 계획으로 개발중이고...
FBCB-2와 호환되는 NET WARRIOR체계를 삼성제 갤럭시 노트2에 설치해 운용하고 있습니다.(NET WARRIOR가 설치된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전차까지 내달려 차체 후방의 전화기를 꺼낼 필요없이 제자리에서 공격할 적의 위치를 전송하고 사용할 탄종과 지원할 화력의 수량까지 손가락으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비단 전차만이 아니라, 승인만 난다면 포병이나 UAV나 전투기까지 화력소환이 가능합니다.)
     
보통이 16-02-29 01:46
   
사실 현시창님 말씀대로 미군 장비가 가장 성능이 나을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차 좋아하시는 분들의 비교에서 매우 저평가되고 있기도 한 것 같네요. 뭐랄까 그래도 지상 장비만큼은 자기네들이 지포라이터나 만들던 치들과는 발상부터가 다르다고 우쭐대는 자존심이랄까...그런 상당히, 매우, 농후한 감정이 이입된 평가라고 봐요. ^^;

BMS와 IFF면에서 최근 개량되고 있는 모습이 보이니 좀 낫네요.
아파치로 노드를 구성한다는 게 스파이더나 만지작거리던 사람으로선 잘 이해가 안가지만 그런 모바일 노드와 사단급 UAV의 전장 정보 융합까지 실시간으로 이뤄지면 아주 볼 만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육군쪽은 제가 보기에 아직 큰 문제는 보이지 않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