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3-30 21:43
[전략] 러시아 방산 수입 탑10 및 의존도
 글쓴이 : 면도기
조회 : 3,595  

https://i.imgur.com/mqGM7K3.png

일단 러시아 무기 수입국 TOP3가 인도-중국-알제리네요


https://i.imgur.com/7ipanR3.png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1102702/countries-where-russia-is-a-major-arms-supplier/  2017~2021 통계

수입 무기중에서 러시아 무기가 차지하는 비중인데, 
러시아 의존도(?)를 가늠해본다면 위 그래프가 참조가 될꺼 같네요. 


인도보다는 중국이 의존도가 높고요. (알제리는 공부 좀 해야겠네요. 탱크 보유수도 너무 많고.. 왜 그러는지)

중국이 수입을 한다는건 못해서 수입한다. 이렇게 봐도 무방할듯... 


----------------------------------------------------------------------------------------

1. 러시아에서 발을 돌리면 제1선택지가 중국이지 않을까 하는데요. 
요즘에 러시아랑 중국하고 겹치는게 별로 없고 큰 손인 인도와 베트남이 반중이라 ... 
(항공기는 아니네요. 소모부품 수입을 중국으로 바꿀 수 있을련지... )

2. 일단 터키가 드론을 앞세워서 뜰거 같고, 탱크 장갑차 미사일 등 공업력도 되고... 

3. 프랑스도 꽤 재미보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추측해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나201 22-03-30 23:05
   
지금 꽤 전향적으로 바뀐 국가가 이집트입니다.
특히 관심있는 것이 fa50 이죠.

만약 이집트의 구형전투기를 아프리카에 중고로 판매하고  그 빈 공백을 fa50으로 채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이스라엘하고는 불가침조약이 맺은 상황이고,
주변 리비아 ,  에디오피아.  수단  등  일명.  나일강 쟁탈전을 놓고서 마찰되는 국면이기에.
의외로 이집트로서는 상당히 국방에 민감한 나라입니다 .

특히 나일강 수단상류에 댐건설로 인해서 나일강수위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기에 이를  에디오피아  그리고 리비아의  생존쟁탈전이기에    쉽게 물러서지도 않을 겁니다.

현재 중국이 요새 전투기고 전차고 뭐고 주춤한게.... 기술이전을 하던  이스라엘이 완전히 발을뺀 상황입니다.
사실상 중국독자적인 개발을 해야하는데  러시아도  특히나  전투기엔진기술이전 극도로 경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쉽게 넘겨주지 않을 겁니다.  그거 넘기는 순간  바로 치고 들어올것을 알기에 .
러시아로서는 절대로 넘기지 않는다고 보면.

t90에 관한 전차에 대한 기술은 어느정도 넘길지 몰라도.  .. 전투기엔진기술은 넘기지 않을 겁니다.

사실상 러시아의 무기공급의 핵심축인.. 두국가.
인도,  이집트의  러시아무기의 손절하려는 단계에서  이사업이 급진전할려고 할겁니다.

특히 이번 국산 파워팩이 성공하면 바로 ....  k2 전차 도입사업을 진행하려고 할겁니다.
두국가 모두 말이죠.     
특히 이집트의 경우는  k9 자주포에 대한 최종조립공장을 확정된 상황에서 당연한 차순이고,

지금 이집트는 나일강 생존권싸움때문에 . ..  이스라엘을 쳐다볼시간도 없고,

터키는 리비아에게 무기를 공급하는 국가이니.
무인기관련해서  대응책을 갖고 있고 수출하는 국가는  한국뿐이니,  특히 안티드론기술은 최정상급이라서
이집트로서는 상당한 국방에 부담감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으로부터 받은 m1a2 의 성능에 상당히 실망한 상황이고 수출물건에 상당히 불만인 상황입니다.

이부분은 사우디도 마찬가지고    그러나 우리에게 이게 유리한 경우는  바로 나토탄의 도입문제입니다.
이제껏 러시아산 탄종을 구비해온 이집트로서는  m1a2 를 들여오면서 문제가 되는 게 바로
나토호환탄입니다.  ......    기술도 없고,
아마도 k2 와 k9 의 구매의 이유는 바로 탄의 생산공장에 대한 기술이전을 가장 바라는 국가입니다.

인도는 자체적으로 탄종을 생산하는 국가이기는 하지만,
 이집트는 탄종을 생산하는게 .... 동구권 표준이라서.... 이를  나토탄으로 기술이전해줄 국가를 찾고 있는 중입니다. ....    아마도 이부분이 k2 전차 수출의  핵심이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프랑스는 이미 재미볼거 다 본 상황입니다.  이미 이집트는 라팔을 구매하려했지만,
문제가 많이 발생했고,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듯합니다.

라팔을 구매한 국가의 공통점이  라팔전투기의 운영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운영비가 너무 비싸고  그리고 운영하는데  의외로 걸림돌이 많다고 합니다.
거의 대만의 미라주2000 운영하고 비슷하다고 보면됩니다.

그래서 이집트는 kf21 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고  이를 미국에서 수출하는데 그리 큰 영향도 없고 해서 .
의외로 이집트는 리비아,  수단 에디오피아 ... 이세국가에 대한 나일강의 우선권을 ... 장악하려고 합니다.

이집트가 현재  중국과의 교역이 적은 이유가 .. 바로 수단에 나일강댐을 수주해서 건설해주려고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중국이  에디오피아를 부추겨서 현재 내전상황으로 이끌어 가고 있는 상황이고,
소말리아  예멘...  등....  이쪽을 내전화해서 어렵게 만들고,  뒷배경에 중국의 뒷배가 있다고 보면됩니다.

그래서 약삭빠르게  일본이 이쪽 해군기지를 마련한것이고,  마치 중국가 대칭하려고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중국과 한통속이라서 ...  에디오피아가 철저하게 당한 외교중하나입니다.

현재  아프리카가 굉장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자원화 뿐만 아니라 기반산업에 중국이 많은 투자를 해서 기반도로시설이 어느정도 깔리면서 ...  유럽이 이를 뺏는 과정이 나오겠죠.

미국 이나 유럽이  어느정도 기다린 상황이라는게  정설입니다.
이제 자원에 대한 소모나 확보차원은  중국을 천천히 배척하기 시작할겁니다.
중국이 아무리 유럽에게 위협해봐야 거리도 떨어져 있어서... 별상관없고,

앞으로는  미얀마 ,  에디오피아  이 두나라가 전장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그렇게 되면 이집트..  사우디...  두국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게 돌아갈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수에즈운하를 중심을  이를 확보하기 위한  미국의 움직임이 예상되고 있고,
유럽과 미국은 수에즈 운하를  확보하기 위한 명분으로 껴들게 되겟죠.

거기에 무기를 차단하기 위해서  미얀마를 봉쇄한다고 하면. 
사실상  중국이 재미보기에는 힘들겁니다.

프랑스가 참전하는쪽으로 지역확보를 노릴것으로 보이고,  무기 판매는 그나중이라고 생각됩니다.
우선은 선제적인 군사지원으로 갈것으로 보이고,

무기구매건은 오히려 우리에게 기회가 열렸다고 보면됩니다.
여기서... 가장 핵심은 uae가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인맥에 따른  우리나라 방산산업이 얼마나 확장될지는 .... 두고 볼일이지만,

우선은 사우디, 이집트의 방산무기구매는 엄청나게 확대될것을 확실해 보여집니다.

중국은 베트남에서 한국을 떼어냈으니,    그빈공간을 치고 들어가려고 애쓸것이고,
미얀마에 대한  파이프라인공사와 도로 철도등....  엄청난 토목공사를 어떻게든 빨리 마무리 지을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 
미얀마는 이미  반 내전상황이라서  이제 ...  미국은  미얀마 사태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게 될것으로보여집니다. 

아마 여기서.....  사우디.  미얀마.....  두곳에서..  한국의 지원을 바랄텐데..... 
여기서 결정을 잘해야 하는데.
호랭이님 22-03-31 00:18
   
일단 러시아 무기의 후진성과 이번 전쟁으로 인한 이미지폭망, 성능 폭망을 전세계가 목도해버려서 러시아무기 도입국들의 이탈이 가속화 되겠지요. 일단 인도는 진짜 발등에 불 떨어졌고 베트남도 엿먹었고..
인도만큼은 우리가 꽤나 괜찮은 이득을 얻을것이라고 봅니다. 인도 입장에서는 이제 갑은 서방측 무기 수출국들일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