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4-26 21:26
[전략]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공청회..꼭 보시길
 글쓴이 : 개포사람
조회 : 1,964  

https://youtu.be/CtI7gTl2LbM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예타 기획안 다시 확정됐는데
관심있으신분 시간이 길지만 꼭보시길..

여러가지가 있지만 핵심은 역시 엔진이것지요.
다들 그시간에 개발이 가능할까?? 느낌이네요^^


6463633.PNG

4555444.PNG


결국 차세대발사체 초기성능 목표가 러시아의 rd-120k 급이네요..능력 그래프에서도
rd120k 와 그 설계도 받아서 만든 중국의 yf100엔진과 비슷한 위치에 있네요..
사실 9년후 개발될 우리 차세대엔진이 20몇년전 개발완료된 중국의 yf100급이라니..
발사체 기술의 역량차이를 실감하게되긴합니다.
뭐 중국도 우크라이나 와 러시아가 공동지분이 있는.. 그래서 그 설계도를 상용으로 팔고있다는
rd120 기술전수받지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지모르지만..
암튼 사실 이정도도 관계자 공돌이분들 이 제죽었다고 복창해야할 수준인건 맞는것 같아요..
(사실 이분들은 이런 고통을 즐기는?분들이지만..)

{2B5E2EE6-AB89-4004-A53D-602F5AE06A76}.png

뭐 전체적인 성능은 어디서 병/신소리 듣지않을 정도로 준수하게 나오긴합니다..
근데 한 십년후에 이게 나왔을때의  더 발전해있을 다른나라와의  가격대 성능비가...음...ㅠㅜ
우주 발사체기술을 꼭 경제적으로 따지는건 무리가 있다는걸 알고있지만..암튼 .
 다 때려지고 그돈 전부로 메탄엔진에 올인해라!!! 라고 마음속으로 외치고 싶지만.. 
1,2,3,4...로 나가야할 기술을 바로 1,2 에서 5로가라고 하는 무식한 소리같아서..ㅠㅜ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나201 22-04-26 22:18
   
맘처럼 안되죠. ...  .  명박이가.. 헛짓거리만 안했어도. ..
bluered 22-04-27 00:20
   
차근차근 밟아나가면 되죠. 지금있는 75톤 엔진과, 고체엔진으로 저궤도 위성 쏘아올리면서 기술축적하고...

다만, 연구소에서 "청"으로 승격되어 더 많은 인력수급이 이뤄지길...
강가디우스 22-04-27 00:22
   
얼마전 러시아가 실수로(?) 두고간 로켔엔진을 제대로 씹고 맛보고 한게 아닌가 생각 되네요
희비 22-04-27 04:24
   
1,2에서 5로 가라는 게 무식한 소리는 아니죠.
후발주자의 잇점이란 게 전례를 보면서 단계를 건너뛸 수 있다는 거고
실제 우리는 그렇게 압축성장을 해왔습니다.

단지, 엔지니어들이란 게 보수적이고, 또 국가예산을 먹는 입장에서는 실패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더 보수적이 될 수밖에 없죠.
메탄엔진이 좋은 줄은 알지만 1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모험은 하기 싫을 겁니다.
삭은이 22-04-27 15:46
   
동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1/3쯤 봤는데 느낀건 실무자 숫자에 비해 절차도 관련된 기관도 많구나~ 입니다. 왜 정부 주도가 비싸고 오래 걸리고 효율이 떨어지는지 이해가 가네요. 돈도 안되는 사업을 민간이 추진할리 없으니 세금으로 끌고가기 위해 여러번의 논의와 정책 회의, 예산 집행을 거치다보면 이런 모양이 되는 거겠죠. 이건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라 NASA는 비효율의 극치를 달려서 엄청 까이고 있죠. 그런면에서 항우연은 매우 양호한 것

전반적인 방향성은 해외에서 사용중인 기술들을 최대한 빨리 흡수하여 따라잡고 싶어하는 것 같군요. 미국 사설 업체중 상업 서비스에 성공한 업체는 SpaceX, RocketLab 두개 밖에 없고 그중에 차세대 발사체 보다 큰건 Falcon 9 밖에 없죠. 한국형 차세대 발사체가 올라갈때 쯤은 미국업체 서너개쯤이 비슷하거나 조금 큰 규모의 로켓을 갖고 있겠지만 국가 경쟁력 면에서 부족할건 없을 겁니다.

조금 불만인건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 개발입니다. 다단 사이클은 자동차로 치면 터보 차저 엔진이라 볼 수 있는데 더 좋은 기술이지만 필수적인 기술은 아닙니다.  지금 엔진을 더 많이 묶고 부스터도 붙여보면서 상업 위성도 많이 쏴주면서 발사 기술도 늘리면 좋은데 너무 기술 습득에  집착하는게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RocketLab 의 차세대 발사체에 가스발생 사이클 엔진을 선택한 이유를 신뢰도와 마진 때문이라고 했으니까요. (그렇지만 RD-151 엔진 완전체가 창고에 있는데 어떻게 뜯어보고 만들어보지 않을 수 있을까!!)
     
삭은이 22-04-27 18:00
   
뒤에 나올 애긴 다 나오네. 경제성이나 시간 문제나 언급은 하는데 방향이 저렇게 정해졌으니 쉽게 바뀌진 않을듯. 상용화 보단 기술 획득에 더 무게를 두는 듯 싶으니 어쩔 수 없다고 보고 여기 달라붙은 업체들이 빨리 기술을 흡수해서 좀더 다양한 수익사업을 하도록 기대해야지.
zaku 22-04-27 21:11
   
첨에 계획 올린거 모험심?이 없다고 까이고 나온게 현 계획이죠

모험심?이 이젠 넘 충만하다고나 할까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