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5-22 13:02
[전략] 러시아 제재로 중국 방산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글쓴이 : 면도기
조회 : 1,877  


https://www.defenseworld.net/2022/04/02/russian-sanctions-are-affecting-the-african-arms-industry-may-be-forcing-countries-to-purchase-from-china.html

--------------------------------------------------------------------------
한 줄 요약이면 될 거 같아서 번역은 따로 안 하겠습니다. 

한 줄 요약 :
   러시아는 아프리카 무기수입의 44%를 차지하고 있었다. 러시아 제재로 인해 몇몇은 중국제로 바꿀 가능성이 있다.

--------------------------------------------------------------------------

에.... 무기 체계를 바꾸기에는 안 그래도 힘든데, 대안이라는 무기가 가격이 몇 곱절 비싸지면 선택의 폭은 줄어들겠죠. 

러시아 방산이 전 세계의 큰 손이었고, 이 큰 손이 묶이게 되면 어찌 됐던 간에 다른 이들은 반사이익을 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중에서도 중국이 제법 큰 몫을 가져갈 거다 이런 추측은 제가 보기엔 합리적이라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살수있다면 22-05-22 13:23
   
짱앙께들 신나겠네
냉각수 22-05-22 13:39
   
러시아 제재가 지속되면 러시아도 경제적 피해를 만회 해야 하기대문에
중국에 전투기 엔진 기술을 팔수가 있습니다..중국은 그거가 숙원사업이죠.
     
동방 22-05-22 13:51
   
경제적 피해 때문에 중국에 첨단 무기 기술을 판다? 유럽에 팔아먹는 천연가스 수익금이 하루에 1조원이 넘게 들어온다고 합니다. 중국에 첨단 기술 팔 일은 절대 없을 겁니다.
     
레로리 22-05-22 14:32
   
러시아가 아예 망하지 않는 이상 팔 일은 없습니다.
당장의 돈 때문에 핵심기술을 간이고 쓸개고 다 퍼주면 미래방산시장에서 러시아 지분을 중국에게 바치는 것이나 다름 없으니까요.
     
다른생각 22-05-22 15:26
   
제재가 길어지고 러시아 경제가 힘들어져도 90년대 초반같은 어려움과는 다릅니다..
돈이 없어서 어려워지는게 아님. 쓸수 없어서 어려원지는거지..
한 마디로 엔진은 팔수있어도 기술 팔일은 없음.
30년동안 자본주의의 많은걸 경험한 러시아는 더 이상 인심 넉넉한 곰탱이 아저씨가 아님.
범내려온다 22-05-22 16:35
   
원본인 러시아 장비도 이제 시장에서 누가 살까 싶은판에 정상적인 구매라면 러시아 짝퉁카피판을 누가 구매할까 싶은데.  정치인 및 사업관련자에 대한 뇌물이나 반미성향의 국가 같은 외교/정치적인 이유로 중국껄 사는거면 몰라도.

돈없는 제3세계 국가에서 비싸지 않은 무기들은 구매하거나, 태국의 잠수함 처럼 뭔가 수상한 구매계약 같은것들 말고는 이제 쉽지 않지.  중동에서도 중국산 무기들의 성능과 내구성에 불만표시하는거 보면(미제 무기 쓰다 중국산 써보면 뭐 당연할테지만) 이미 중국산 방산제품에 대한 평가는 어디서도 좋은소리 안나오니까.
Wombat 22-05-22 17:37
   
어차피 러시아 무기살 나라들은 정해져 있었죠
그리고 그사이 무기시장은 러시아가 고전한다거 중국제로 쉽게 갈아탈 나라가 아니죠
태양속으로 22-05-23 10:18
   
전 반대로 생각합니다.
아프리카를 예로 들면, 현재도 중국제와 러시아제가 서로 반분하는 상황입니다.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들이 러시아제에 목을 메는 이유 중 근본적인 이유는 값싼 무기중에서 그나마 중국제 보다 러시아제가 낫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러시아제가 그나마 중국제 카피본의 원본이니까요. 그리고 가격에 있어서도 중국제보다 비싸긴 하지만 그 값을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채택하고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러시아가 아프리카 시장에서 빠져 나가면, 아프리카의 여러국가들은 중국제를 택할까요?
뭐 몇몇 국가는 그렇게 하겠죠.
하지만,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는 다른 대안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더 좋은 성능에 합리적인 가격을 무기로 하는 국가들 말이죠.
예를 들어, 터키, 이스라엘, 한국 등이 부상할 것으로 봅니다.

특히 터키와 한국이 주목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