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5-06 19:10
[질문] 걸프전에서 미주리함에 대한 대함미사일 공격
 글쓴이 : 월탱러
조회 : 4,729  

을 보면 이라크측에서 미국 해군의 상징인 미주리함을 격침시키기 위해서 

실크웜 대함미사일 2발을 발사해서 1발은 빗나가고 1발은 요격당해서 피해가 전무했다는 기록을 봤는데요.

이란 이라크 전쟁 당시에 아무리 대형급이라고는 해도 민간선박인 유조선들도차 대함미사일을 맞고

별 피해를 못 입혔다는 것을 보면 미주리는 두발 다 맞았더고 하더라고 격침당하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현재 추세와는 정반대로 전함을 개조해서 부포같은건 다 떼서 C-RAM같은걸 잔뜩 달고

미사일셀도 달면 쓸만하지 않을까요? 속도도 현대 구축함들이랑 비교해서 거의 비슷하던데 말이죠.

2차세계대전 이후로 공격력의 발전이 방어력의 발전보다 빨라서 장갑 무용론이 나와서 전차고 군함이고

크고 거대하고 방어력이 강한 것보다는 작고 날쌔게 발전해왔다는 것은 충분히 알겠지만 말이죠.

유지비용이 얼마나 들지는 몰라도 최소한 전시에는 원거리는 미사일로 싸우고 근거리는 함포로 싸우는게 

더 싸게 먹힐거 같은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쉬타르 15-05-06 19:54
   
아이오와 같은 구식 전함이 다시 가동되기를 바래는 집단은 미해병대인데,,아시다시피 상륙작전에서 막강한 대구경 포화력 지원능력 필요에서지요,,그래서 이 아이오와를 필요로 한다면 미해병대 다음으로 한국군이라 할수가 있지요..물론 대북한 전쟁 필요에섬니다
만약에 아이오와를 함대함 전투에다 종사 시키고싶다면 그 40센티 함포는 아예 제거가 낫습니다... 함포로 적 주력 함정에다가 포격하는 시대는 한참 전에 지난거고 말이죠...대육상 포사격용이면 고속주행 시킬 필요도 없는 지라 엔진은 대폭 출력을 줄여서  가동시켜도 되죠
이쉬타르 15-05-06 19:59
   
유지비가  극악으로 들어간다는데....대양에서 돌아다니면서 대규모 적 함대 격파라면 우선 장거리 항공 감시능력에다  강력한 함대공 미사일을 함내 다수 내장해야 하니  그러면 소형항모 내지 항공 순양함이  10배는 더 우수하고 더 유용하죠
항공기가 군사무기로 등장이후 부턴 대공능력이 생존의 열쇄이고 해전에서 미사일이 주력이 되며.. 함포는 무용지물이나 다름 없게 되버렸죠,,
     
월탱러 15-05-06 20:21
   
대함미사일이 생각보다 강할것 같지 않아서 말이죠. 실크웜이 대함미사일계에서 어느정도 위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유조선을 맞춰도 별 피해를 못 줬다고 봐서요.
          
이쉬타르 15-05-06 20:29
   
이란측이  이라크의 수출 석유 해상 수송 탱커를  중공에서 수입된 실크웜 계열로 공격 하여 막대한 피해를 주고 했다는데 ,,단순 수숑선인 유조선이 이거에 맞구서 무사 한다는것은 있을수가 없죠
               
월탱러 15-05-07 02:53
   
딴지거는게 아니라 죄송한데 피해줬다고한 자료 주소 좀 알려주세요. 저도 좀 보고싶어서요.

제가 본 자료에는 별 피해가 없었다고 나와있거든요. 믿을만한 자료는 아니지만 찾은 자료가

이거 하나밖에 없어서요;;
깡통의전설 15-05-06 20:03
   
아이러니한게 함포전용으로 사용하려면 포 사격시 반동이나 전복 때문에 배가 무거워져야 한다는 현실...
스마트MS 15-05-06 20:23
   
오오오..

그렇다면 더더욱 잠수함이란 병기의 가치가. 몸값이 상승할수 있을려나요?. ㅎㅎ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115692&sca=&sfl=mb_id%2C1&stx=wf6080wf&page=9

포클랜드 전투 당시.. 아르헨의 중순양함의 현대화 개장 수준이 어느정도 인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화력적인 측면에서.. 과거. 구시대의 유물을 바탕으로.
개수개장한다면..

현대의 수상전투함과는 그 규모를 달리하는. 과거의 함포를 대신하여 수십여발의 대함미사일 발사기를 설치하고.
수많은 수직발사기에는. 함대지/함대공 미사일을 탑재하고.
40mm/20mm 대공용 4연장기총탑-단장기총탑을 대체하는. 램 과 팰렁스로.  근접방어체계를 설치한다면.
그야말로. 수상요새...군요..;;;
몽실통통 15-05-06 20:26
   
공격력이 늘어난게 아니라... 사거리 증가.

함포보다 비행기가 떨구는것이 사정거리가 기니까. 전함의시대를 종식시켰죠.

이지스함등도 나와서 미사일을 요격시키고 전투기가 접근을 못하니 속도로 해결하려고 하는 방향인데

이것도 건너 뛰어서 속도+다발공격으로 진행되잖아용.

함정하나 잡으려고 미사일 7~8발씩 쏘고 그것도 다양한각도에서 동시에 들어가도록 진행되고 있던데용.
스마트MS 15-05-06 20:30
   
글쓴분께선.

미사일 셀..수직발사관을 언급한것을 보아... 함대공.미사일..방공용 유도탄 체계 운용가능성을 부여하신듯 보여지네요.그렇다면. 함내에. 
이지스 시스템 탑재를 기본적인 설정으로 넣으신게 아닐까요?

기본적으로.. 과거의 전함급 수상전투함의 베이스에. 현대전 사양의 개수는..어느정도 전력상승이 가능할까?
라는 궁금증은. 사뭇 재미있는 발상이기도 한듯 싶네요 ㅎㅎ.;;
     
월탱러 15-05-07 02:51
   
네 제 질문의 베이스가 그겁니다.

최대한 방공쪽으로 개조한다면 나쁘지않을것 같은데 말이죠. 엔진도 원자력엔진으로 바꾸면 유지비도

좀 더 줄어들 것 같기도 하고요.
이쉬타르 15-05-06 20:36
   
미조리 함이면 그 함포를 제거 하구서 그자리에다 VLS의 장착으로 갈검니다,,주포가 워낙에 대형이라 함대공미사일이 상당량 탑재는 되리라 보이는데 대공레이더에서는 일루미타 및  SPY-1 를 달기에 대대적 개조로 가는 (마스트를 새로 만들어야함) 거대 개장공사가 되고 ,,,터렛식 발사기로도 되는 단거리 대공미사일로는 자함 방어에다도 불안하죠
마스트 개조를 포기시엔 ESSM을 다는 함대공 체제 가 적당 해보이는데 ,,대공 레이다도 하향시켜서 SPY-1f 정도 달아도 되니 이 정도가 합리적이죠
맨프레드 15-05-06 20:56
   
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6&num=197661

비밀에 얼마전에 올라왔던 사진인대

순수한 하푼의 대미지는 요정도인듯 하네요..

뭐.. 탄약고나 연료탱크 떄려서 유폭시키는 거라면 달라지긴 하겠네요.
이쉬타르 15-05-06 21:02
   
아이오와급 멧집이 어느정도이냐 하면 하푼급 대함 미사일 20발을 동시에 맞아야 가라 앉는 다니..그 실크웜이 하픈급 탄두 2배 중량이라 실크웜으로 10발을 맞춰야 동등 타격이라 ....미조리함의  요구 대공/대유도탄 방어력이 대충 계산이 되죠
쿠르웰 15-05-06 21:36
   
원거리에는 미사일을, 근거리에는 함포를 쓴다고 하는데

현대에는 조기경보 능력이 월등해서 근접전을 펼칠 이유가 별로 없다고 봅니다.

물론 북한이나 중동처럼 6~80년대 장비를 사용하는 해군이라면 모르겠지만

현대화한 해군에게는 근접전은 좀 피할거라고 봅니다.

(뭐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할 함포는 운용하겠죠. 아니면 진짜 가성비가 떨어지는

자폭용 보트에 대항하기 위핸 M2기관총 등등은 유지...)



그리고 함포를 운용한다고 하면 전함같은 포보다는

줌왈트에 장착 예정인 레일건이 유용하겠죠

(화약이 필요없으니 그만큼 바이탈파트가 줄요들고 또 기본 100Km 이상 원거리부터

근접일 경우 마하 4~5의 속도로 내려꽂히는 무기이니 위력 역시 엄청난 편입니다.)
     
월탱러 15-05-07 03:02
   
바보같다고 생각하실진 모르겠지만 전 그런 생각을 했거든요.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처럼 돌격선같은 느낌이랄까요? 주변을 많은수의 근접방어체계로 둘러쳐서

적의 원거리 미사일 공격을 최대한 막으면서 접근해서 주포로 시밤쾅하는것이죠. 물론 접근하기전에

미사일도 날려주면서요. 그리고 대다수 전쟁에서의 미국이 상대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지는 적들이 많았던터라 기본적인 제해권은 당연히 미국측에 있을거라 생각하고 돌격선이라는

말도 안되는 상상을 해본 것도 있고, 이미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한 상태라면 포탄의

사정거리내에선 적의 영토를 향해서 근접지원사격을 하는 것이 굳이 비싼 토마호크따위

쏘는 것보다 값싸고 강력하고 요즘 기술까지 합치면 명중률도 엄청난 함포를 쓰는게

 어떨까란 생각에서 한 번 질문해봤네요 ㅎㅎ(A-10도 다른 나라에서 잘 안쓰는것처럼요.)

주포야 물론 레일건이 개발완료된다면 레일건을 쓰는게 좋겠죠 ㅎ
여시 15-05-06 21:44
   
현대전에선 적 함선을 침몰시킬필요없습니다.
단지 전투불능상태로 만들면 충분하고 현대의 대함미사일은 어떤 함정이라도 함교에 직격하면 전투수행불능으로 만들수 있습니다.
푹찍 15-05-06 22:46
   
별 개장 안해도 한국에 주면 잘 쓸 수 있습니다.

무려 16인치인데요. ㅋ
이북놈들 한테는 대함전이건 대지전이건 아주 악몽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구요.

의외로 빠리 들한테도 즉빵입니다.
대한해협에서 대마도로 뿜뿜뿜 해드리면 이지스건 나발이건 뭐 건들놈이 없습니다.
워낙에 좁은해협인데 공자대를 미사일밭으로 끌고들어와서 걷어낼 수도 없구요 ㅋ

굳이 개장한다면야 3번 주포 걷어내고 거기에 대지대함순항미사일 백여발 쑤셔 넣고 뿜뿜뿜 할 수 도 있구요 ㅋ
해병대 잔뜩 태운 독도함 옆에 끼고 세종대왕함 어께동무하고
키로프 안부럽습니다. ㅋ
     
사통팔달 15-05-06 22:53
   
키로프는 부러워 해야죠,거기실린 핵만해도 러시아껀 타이푼 키로프급은 있으면 사용한다기보다다 그냥 있으면 든든한거라서.그리고 걸프전하기전에 개장을 했죠,하푼 토마호크,팔랑스4기
주포 사통 현대화까지 했었죠.함대함 공대함 공대공 방어가 팔랑스4기인거 빼고는 대함 대지 공격력은 있었습니다.냉전때는 주포용 핵탑재 포탄까지 싣고 다녔죠.전포문 주포쏘면 함자체가 뒤로밀리죠 사진도 검색하면 나오죠.
4leaf 15-05-07 01:32
   
혹시 또 모르죠. 10인치 이상의 대구경 레일건 등장하면 사거리 완전 사기될텐데 ㅋㅋㅋ 원자력 추진으로 전력공급하면서 대구경 레일건 달면 상상을 초월할지도...

아니면 레이저와 빔이 상용화되면 전함이 등장할지도요.

아마 레일건 등장한다면 무작정 커지는 크기보다는 독일의 포켓전함 같은 모양이 될지도요
NightEast 15-05-07 12:30
   
예전에 소말리아 해적감시용이나 북한이나 약소국 저급해군 억제용, 연안가에 자리잡은 게릴라나 무장단체 억제용으로 오히려 전함을 개조해서 (운용비 및 효율, 전자장비개선 등등) 쓰는게 어떨까 글올려본 기억이 나는군요
어렴풋한 기억으로는 이런저런 이유들이 댓글로 달렸는데 대부분 부정적이고 비용 운용면에서 오히려 손해라는 식의 의견이 많았던거 같습니다.
괴개 15-05-07 20:57
   
주장하신 부분은 개인적으로 상당히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늘 그렇듯이 돈이 문제일 듯 합니다.
미군이 그렇게 쳐박아 두는 이유는 새로 건조하는 편이 개조하는 비용보다 더 싸기 때문이겠죠.
낭만곰탱이 15-05-08 08:57
   
딴딴한 미쥬리라도 하푼은 방어해도 어뢰는 힘들것 같은데여
     
월탱러 15-05-08 18:57
   
어뢰가 2차세계대전 당시보다 지금이 유도능력이나 사정거리등은 훨씬 더 좋아졌을지는 몰라도

오히려 파괴력은 낮아졌다고 하더라고요. 그렇다면 그 당시에 어뢰에도 최대한 견디게 만들어진

물건이라면 지금 어뢰도 충분히 막아낼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무적이라는 말은 아닙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