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10-28 16:10
[기타] 한국 이지스 레이더망, 미 지역MD에 편입” 논란
 글쓴이 : 뿍엑스
조회 : 2,394  

한국 이지스 레이더망, 미 지역MD에 편입” 논란
2012-10-25 오후 3:25:15 게재

미 국방부 "레이더망 기여할 수 있다" … 미군, 백령도에 레이더기지 제안
정부, PAC-3 요격체계 추진 공식화 … 한미 공동연구 "실효성 없다" 결론

한국의 이지스함 레이더망이 미국의 동북아지역 미사일방어(MD)체계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한미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때 미국은 백령도에 레이더기지 설치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미 MD체제 편입 논란에 따라 포기했던 패트리어트(PAC-3) 요격체계 구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는 '한반도에서 PAC-3는 실효성이 없다'는 연구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져, PAC-3 도입은 미사일지침 개정의 대가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미, 레이더 정보제공 훈련=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은 24일 한미 연례안보협의회(SCM)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MD체제를 논의하고 있다면서 일본에 설치 예정인 탄도탄 추적 레이더를 언급, 주목을 끌고 있다. 한국은 레이더망으로 미 MD에 편입되고 있다는 의혹이 일고있기 때문이다.


<김관진 국방장관과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이 24일 미 워싱턴 펜타곤에서 열린 한미 연례안보협의회(SCM)를 끝내고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제공>

패네타 장관은 '미 MD체제에 한국의 동참을 요구하고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미래 미사일방어는 우리가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든 방어능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부분"이라면서 "최근 일본에 탄도미사일 추적용 레이더 설치에 합의했고, 이는 이런 종류의 미사일 위협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앞서 캐슬린 힉스 미 국방부 수석부차관은 지난달 24일 한 세미나에 참석 "한국이 MD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는 여러가지가 있다"며 "굳이 미사일을 사용하면서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더라도 레이더망을 통해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체코에 레이더 기지와 폴란드에 미사일 요격기지를 설치하는 등 동유럽 MD체제의 탐지와 요격체계를 분리해서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24일 SCM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에서 한미 상호 정보제공에 대해 "북 미사일에 대응해서 킬-체인(탐지-식별-결심-타격 가능한 일련의 체계) 부분에 일부 기여할 수 있고, MD에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거의 제한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우리가 미국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이지스 레이더망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말할 수 없다"고 답변을 회피했다. 이같은 언급은 종래 미 MD와 무관하다고 강하게 부정하던 자세에서 미묘한 변화를 보인 것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한미 해군은 2010년 7월에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이 레이더로 탄도탄을 추적해 위치정보를 제공, 미 이지스함이 SM-3 미사일을 발사한 바 있다. 탄도탄 상층방어체계인 이지스 탄도미사일방어체제(ABMD)와 관련한 훈련을 실시한 것이다.

특히 군 당국자는 "미국이 한때 백령도에 레이더기지를 요청한 적이 있다"면서 "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거부했다"고 밝혀 관심을 끌고 있다. 백령도는 북한뿐 아니라 중국도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위치여서 중국의 반발을 우려한 것이다.

한미가 정보공유를 합의한 것으로 보이는 이지스함 레이더망은 해상에서 백령도의 지리적 잇점을 살릴 수 있는 플랫폼이다. 북한과 중국의 코앞까지 접근, 최신형 레이더 SPY-1D(V)로 1000km 거리까지 수백개의 표적을 탐지할 수 있다.

◆미사일지침 개정 대가 의혹= 또한 국방부는 처음으로 PAC-3 요격체계 구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미 MD체제 편입이라는 반대에 부딪친 노무현 정부가 독자적으로 철매-2(M-SAM)를 성능개량한 뒤에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을 개발하겠다는 한국형 미사일방어정책을 전면적으로 수정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같은 PAC-3 요격체계 구축은 '한반도에서 PAC-3는 실효성이 없다'는 한미 공동연구결과와도 배치되는 것이어서 미사일지침 개정의 대가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미 국방부 미사일방어국과 수년간 MD체제에 대해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서 PAC-3는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혀졌다. PAC-3는 방어지역이 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게다가 PAC-3와 동일한 직격탄 방식의 개념을 가진 철매-2 성능개량사업이 2017년에 연구개발을 끝내고, 다음해부터 2년간 전력화할 예정이어서 PAC-3 도입에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PAC-3를 도입하더라도 빨라야 2014년에 사업착수가 가능하다.

국방부 관계자는 "KIDA 연구는 미사일지침 개정 이전의 상황을 전제로 한 연구결과이고, 별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한미 공동의 MD연구는 오는 12월쯤 종료될 예정이다.

한미 양국은 국장급 실무협의체를 구성, 미사일지침 개정 이후 후속조치에 대해 논의하면서 PAC-3 도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협의체에는 PAC-3 요격체계 구축을 논의하기 위해 국방부 외에도 합참이 참여하며, 방사청의 참여도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홍장기 기자 hjk30@naeil.com
 
 
미사일 사거리 구걸하고 또 개털리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강한대한민… 12-10-28 18:13
   
백령도에 레이더기지라.....  포병으로도 박살날텐대... 좀 비현질적아님??
잭키콩나물 12-10-28 18:38
   
미국 요즘 하는 꼬라지 보면 정이 안 감!!
차라리 중립을 지키던가 일본편 중국 역사로 고구려를 둔갑시키지 않나~
우린 철저한 중립을 지키고 한쪽에 기울지 말고 양쪽 모두로 부터 이익을 챙겨야 함
우선 러시아와 교역을 확대하고 천연가스 수송도 직접 이루어지고 중국과도 실리를 챙겨야 함
진실게임 12-10-28 19:28
   
백령도 레이더 기지는 북한을 향한 것도 아니고 우리를 위한 것도 아니고

미국이 중국을 감시하는 용도...

그리고 유사시 중국이 미국의 눈을 멀게 하고 싶다면 한국부터 먼저 쳐야 하도록 걸쇠를 걸어두는 것.
길동이 12-10-28 21:10
   
말이 이상하군  왜 실효성이 없다고 하는거지...  백령도에 레이다 기지 설치하는거 중국이 거북한가..ㅎㅎ

누가 연구했는지도 안밝히고 문제가 먼지도 모르고 그냥  한미 공동연구 실효성없다 ..
미국은 바보라서 그런거 만들고 배치하나..
라스푸틴 12-10-29 03:08
   
김태효 개갞끼
참치 12-10-29 05:36
   
이런 씹어먹을.... 어차피 주는거면 얻을 걸 더 얻어와야지... 미사일 지침 자체가 말도 안되는 건데.. 남의 물건 뺏어다가 되파는 꼴 아닌가??? 미치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