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11-08 20:30
[공군] 보츠와나, FA-50 구매 추진 중.
 글쓴이 : 오리발톱
조회 : 7,755  


1.jpg

보츠와나 국방부장관이 지난 6월 KAI 사장과 면담한 후 10월 31일에 김관진 국방부장관과 면담을 했고, 이

후 FA-50 도입이 가시화 되고 있다고 합니다.



2.jpg

보츠와나 공군은 캐나다에서 중고로 도입한 CF-5A/D 14기를 운용 중인데, 기체 노후화로 새 기종을 물색

던 중 FA-50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탈리아에서도 접촉을 시도한 모양이지만 보츠와나측에서

 이탈리아를 배제하고 한국과 단독협상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3.jpg

보츠와나에서 원하는 도입수량은 필리핀과 같은 12기라고 하는데, 우리 공군 관계자가 이번 11월 중에

보츠와나를 방문한 뒤 내년에 구체적인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jpg

아프리카 남부 내륙국인 보츠와나는 인구가 200만이 채 되지 않지만 다이아몬드 광산으로 상당한

경제적 이득을 얻어 1인당 GDP가 8,800달러를 넘는 등(2012년 기준) 아프리카에서 상당히 부유한

편입니다. 건국 초기부터 다이아몬드 수출로 얻은 이익을 사회 기반시설, 의료보험 등에 투자했고,

여타 아프리카 국가와 달리 독재나 쿠데타 없이 안정된 정치로 사회안정을 이루었습니다. 덕분에

아프리카에서 가장 치안이 안정된 국가이기도 합니다.



5.jpg

보츠와나 수출이 성사된다면, 최소한 친서방 성향을 가진 개발도상국가들에게는 FA-50이 

노후 전투기를 교체하고 공군력을 유지하기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기회가

될 것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2히힛 13-11-08 20:39
   
아프리카에서 드물게 정치가 안정적,민주화지수는 대만보다 높고 프랑스와 같은수준 부패지수는 한국수준 그러나 빈부격차가 크다...라고 위키에 나와있네요 ㅎㅎ
일빠싫어 13-11-08 20:44
   
저런 곳에 FA-50이 가면 천하무적 전투기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는...
무숙자 13-11-08 20:55
   
[공군] FX3 를 포기하자! 대신 그돈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116410


아프리카, 동남아 필리핀 등 약소국가에겐 FA-50에 대한 호응도는 크겠죠? 그정도로 끝날테고..  그보다 더큰 시장은 F-16~ F-18+ 쪽 미들급 입니다. 이 시장은 전세계 중급이상 국가들이 전투기가 나오기만 기다리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중동, 동아시아, 일부 유럽, 캐나다,호주,남미 까지 대상으로 될듯 합니다.


제 발제처럼... 현재 T-50에 유지보수 하는 개발진 일부에 KFX-E (F-501 : 기골보강+ 단좌화)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듯.. 하위급에 대한 수요도 고민해봐야 할듯 ㅋ


그리고, KFX-C103 을 지금 당장 시동 시켜서.. 10년이내 형성될 미들급 전투기 시장( F35는 가격상 대상 기종이 아니여서 중진국에선 F35를 구매할수 없을듯 합니다.)에 우리의 KFX-C103 Block1 을 출시하면 수요를 충족할수 있을듯 합니다.

또, 이들 구매국들에 대해.. 추가로 Block2 ,Block3 upgrade 를 제시해서 저들이 산 기체가 경제사정이 나아지면.. 조금만 더 비용을 추가하면, 5세대 전투기를 구매할수 있다는 점도 상당히 유혹적일 겁니다.

우리 전투기가 완성만 되면 이렇듯 시장이 형성된다는 것...
Misu 13-11-08 20:58
   
fa-50이 인기가 많구만~
우리랑 13-11-08 21:35
   
싸고 좋다! 이게 최고의 장점이 아닌지..
망치와모루 13-11-08 21:55
   
틈새시장 공략하기~
빅터고 13-11-08 21:58
   
보츠와나라는 나라 처음 들어봐서 검색해봤는데 아프리카 국가중에서는 안정된 편인데 문제는 어린이들의 15%가 에이즈 감염이라고 하네요....
오늘지금 13-11-08 21:59
   
참 재미있는 것은, t-50개발할 때에도 t-50개발할 능력이 안된다고, 심지어 t-50개발하면 한국경제가 휘청거린다고 피를토하던 전문가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 자들이 지금은 kfx개발할 능력이 안된다고 여기 저기서 막아보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전세계에 수 천대가 뿌려진 f-5가 이제 완전히 퇴역해야 할 시기에 그것을 대체할 만한 서방측 기체는 거의 없습니다. 우리 fa-50이 거의 유일하다시피한 선택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애초 t-50을 개발할 때 경공격기 시장을 타겟으로 한 것이 정확히 맞아 떨어지는 것일 지도 모릅니다.

비관론자들은 f-5를 퇴역시키는 국가에서는 f-16급의 전투기를 구입할 것이라고 했지만, 실상 f-16급의 전투기로 대체할 여력이 되지 않는 국가는 수두룩합니다. 먹고 살만한 브라질이 괜히 fa50을 f50으로 개조하자고 한 것이 아닙니다.

kfx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제 2030년대가 되면 전세계의 f-16이 퇴역에 들어가는데 미국을 제외한 그 어떤 국가도 f-16을 f-35로 대체할 여력이 없습니다(미국도 쉽지 않을 것 같지만). 결국 f-35보다 저렴한 미들급이상의 전투기가 필요한데 서방측에서는 새로운 전투기개발계획을 갖고 있는 나라가 인도외에는 없습니다. 터키가 운을 띄우고 있지만 실현가능성은 극히 희박해 보이고 결국 kfx를 잘 개발하면 의외로 대박을 칠 수도 있는 절호의 기회일지도 모릅니다.

결국 kfx는 f16보다 우월한 성능에 f35보다 저렴한 기체로만 만들 수 있으면 대한민국의 항공산업의 견인차역할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보여집니다. 그러니 엔지니어들이 된다고 하면 믿어 보고 돈 좀 썼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제 개인적인 바람대로라면, 아예 fa-50을 kai가 제시한 kfx-e의 형태로 확장개조개발하고, 동시에 add가 제시한 쌍발 kfx를 향후 하이급전투기로 개량가능한 기체로 함께 개발하는 모험을 했으면 하는 심정입니다. 그래서 미국의 f-16과 f-35와 정면으로 시장에서 경쟁하는 날이 왔으면 하는.......돈이 없겠지만..............부품의 공유를 최대한 이끌어 내면 그리 불가능하지만은 않을 것 같은데.......그런 모험을 할 5년짜리 정부는 없겠지요.
     
물수건s 13-11-09 02:21
   
좋은 말씀이십니다 !!!
          
snflgksk 13-11-09 15:11
   
이거 좋은 글이라 게시글로 올려도 될까요?
     
전쟁망치 13-11-09 09:53
   
동감합니다.

어려운 상황이였지만, 우리나라는 계속 틈새 시장을 파고 들면서 여기 까지 올라왔죠.

그리고. 전투기 시장도 가격이 계속 올라 감에 따라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생기는거 같아요.

여기를 잘 공략 한다면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성능의 미들급 전투기 시장 형성을 우리나라가 만약 주도해 갈수 있다면, 이건 정말 절호의 기회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것이 성공한다면, 전투기 관련 산업이 육성될 뿐만 아니라 그쪽 계통 관련된 학문도 발전하고

그쪽 과 계통 대학생들이 취업 걱정을 덜수 있으니 그쪽 계통으로 계속 공부 하려는 젊은 인재들이 늘어나는 효과 즉..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날거라 생각합니다.

새로 만들어 지는 파이를 다른 곳에서 낚기 전에 우리가 먼저 선점한후 독점하게 된다면.

경제적으로도 제2의 부흥 까진 뭐하지만, 상당한 국력 신장에 + 요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요
     
풍류공자 13-11-09 14:16
   
좋은 의견이십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걱정하는건 스웨덴인데요.

로리펜(그리펜)이 의외로 탄탄하고 잘 만든 전투기라고 하더라구요.

그만큼 스웨덴의 기술력이나 전투기 개발 능력이 확실하단 얘기겠죠.

일명 로리펜의 후속기로 개발이 될 전투기가 있다면, 우리의 KFX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듯 해서 걱정입니다.

걍 그리펜만 주구장창 만들다 항공산업 접었으면 좋겠군요. 스웨덴...
     
snflgksk 13-11-09 15:12
   
좋은글이라 게시글로 올려도 될까요?
스프링거 13-11-08 22:11
   
오퍼가 계속 들어와야 공장을 놀리지 않고 인력을 투입해서 설비를 가동할수 있는거지... 좋구나..ㅎㅎㅎㅎ
drone 13-11-08 22:15
   
좋네요..  꼭 사전 수요가 없더라도.. 싸고 좋게 만들면 여기저기 꽤 팔리는군요.ㅎㅎ
잡덕만세 13-11-08 22:17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러브콜이 많이 들어오네요.
하기사 전투기는 필요한데 돈이 안되니 살 엄두도 못내고 있는 나라가 많긴 하죠
fa-50은 그런 나라들에게 괜찮은 녀석이긴 하죠
연화비 13-11-08 22:48
   
FA-50의 틈새시장 공략이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네요ㅎㅎ
현재 신형전투기 개발을 하려고하는 나라가 거의 없으니 FA-50이 앞으로도 많은 곳에서
관심을 받을 것은 분명하네요
무숙자 13-11-08 22:56
   
혹시라도.. 또 거론 하지만... 저 수요가 있다고.. 현개발진을 저 하위급 T-50추가 개발하자는 인간은 죄다 록마 다단계 쪽으로 간주해도 무리가 없습니다.

저 물량에 대한것은 kai 자체개발진으로 충당 시켜 adaptation 하게 하면 됩니다. 그러면 kai도 좋고 우리도 반대할 이유가 없는겁니다.

^^

KFX-C103 인력은 전부 저 개조개발건(수요가 있다면 급조)에 배제 시켜야 합니다.
조니 13-11-08 23:35
   
인니16+필리핀12+보츠와나12=40대당첨인가요
UAE.폴란드.싱가폴 여기에 미국만 터져주면 초 대박 인데....
깡통의전설 13-11-09 00:01
   
T-50 개발하는데 피를 토하며 반대 했던 사람이 누군가 싶습니다. 훈련기랑 전투기는 기본 설계 개념 자체가 다릅니다. 훈련기야 뻘짓해서 날려도 2조원이고 전력외 훈련기로 끝나지만 전투기는 얘기가 다르죠. 그리고 KF-16 구매 조건에 고등훈련기 개발기술 이전까지 포함 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일부 반대야 했겠죠. 그런데 현재 KFX개발건과 동일하게 반대한것 처럼 얘기가 부풀려 지는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훈련기 개발 2조원에 나라휘청거린다고 말한건 누군지 궁금하네요. 2조원 재정 구멍 나서 대한민국이 망한다? 아니면 훈련기로 나라지킨다고 뻘짓해서 전력 공백 생경서 나라 망한다?? 어느 멍청한 전문가가 그랬는지 궁금하네요. T-50이 소리소문없이 진행될 수 있었던건 미국이 고등훈련기 기술이전한다는 계약 조건 때문에 계약의 연장으로 별 무리 없이 가능했던 겁니다.
깡통의전설 13-11-09 00:08
   
훈련기는 말그대로 훈련기고 KF-16을 2000CC 차량으로 본다면 T-50은 경차 정도 되고 차기 전투기 사업은 F-1 그랑프리가 되겠습니다. F-1 그랑프리는 말그대로 당대 최고의 자동차 기술을 총 접목해서 만들어 내는게 F-1이죠. 물론 F-1필요 없고 제네시스로 만족한다면 모를까. 그런데 옆동네는 F-1 그랑프리에 참가 신청을 했는데 우린 제네시스라 명함도 못내밀죠. 제네시스 운용하려면 어쩔수 없이 F-1을 메인 스트림으로 깔고 가야 되는데 F-15니 타이푼이니... 하고 있으니 문제는 그거죠. 고급세단 뽑아서 F-1에 가봐야 못이기는데 고급세단, 제네시스 조합으로 F-1 레이싱에 나갈 판이니...
블래기01 13-11-09 00:44
   
ㄴ ^^ 내년이면 우리 국방비가 36조대입니다.
  2조원단위라도  92년 국방비가 8조대이던 시절의 2조원이었단걸 감안해서 생각해야죠.
참고하자면  T-50보다 약 5년 빠른 일본의  F-2 개발비가  당시 3200억엔단위였었습니다.
     
깡통의전설 13-11-09 01:04
   
ㄴT-50은 한참 후에 2000초반입니다. 20조에 넘어갈때 얘기죠. 뭔가 착각하신듯. ^^ 고등훈련기 사업은 KF-16 사업이 종료된 시점부터 시작됩니다. 그리고 F-2 개발 당시 환률이 6:1 정도 됐죠. 그리고 F-2와 T-50은 둘다 개발 시점부터 컨셉이 다릅니다. 무슨 말씀하시는지 정확하게 캐치는 못하겠습니다만 ^^;;
          
블래기01 13-11-09 15:37
   
92년은 최초 탐색개발을 국방부에서 승인한 시기라서 예로 든것인데 본격적인 업체주도 개발은
97년부터죠.  님은 t-50 생산 시기를 말한것 같군요.  그럼 내년이 아니라  kfx 예상 양산 시기인
 2025년 즈음의 국방비를 언급했어야 했군요.
     
어벙이 13-11-09 01:11
   
t-50하고 f-2랑 비교는 ㄴㄴ지
훈련기랑 미들급 이랑 비교는  안되지

솔직히 f-2는 kfx랑 비교해야지
          
블래기01 13-11-09 15:40
   
다른 뜻 없습니다.
전설님이  당시 예산 2조원을  너무 과소평가하는것 같아서  t-50과 함께 일본 전투기
 f-2 개발비를 비교해서 언급한것 뿐입니다.
     
깡통의전설 13-11-09 01:20
   
아 그리고 일본의 항공기술은 매우 발전했습니다. 민수용 제트엔진 자체 제작하고요. 물론 소형 비지니스 제트기도 제작합니다. 전투기용 엔진는 소형으로 고출력이라 워낙 크리티컬 한 조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걔네들도 엄두를 못내고 있죠. 왜놈들 90년대던가 RC 용으로 터보팬 엔진 장난감으로 만들어 팔던 얘들입니다. F-2 이전에 F-1도 개발 했었죠. 일본이 인공위성 띄운시점 찾아 보시면 놀라실겁니다. 이미 예~전에 F-15, F-16, 아파치등 라이센스 생산해서 그쪽으론 우리보다 몇수 윕니다. KFX로 일본 항공 기술 따라 잡으면 그것만으로도 성공했다 봐야죠. 까놓고 보면 일본이 오히려 더 4세대 전투기 기술 확보에 훨씬 가깝게 가있다 봐야겠죠.
산골대왕 13-11-09 09:35
   
좋은 소식이네요. 이거 의외로 뜻밖에 틈새시장에서 나름 선전하는거 같군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