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6-18 14:32
[기타] 우크라이나 500억불 디폴트 위기
 글쓴이 : Verzehren
조회 : 1,225  


우크라이나가 빚을 갚아야 할 날은 8월 1일로, 정말 코 앞까지 다가오고 있음.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500억 달러를 추가 대출하여 빚을 돌려막기할 예정.

제 3세계를 통해 전쟁자금을 충당 중인 러시아와 달리 별다른 수입원이 없는 우크라이나는 모든 비용을 미국의 지원과 대출로 충당 중.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디폴트 선언을 노리고 계속 밀어붙이고 있단 분석.

안타깝게도 미국 공화당의 승인 없이는 70조원 디폴트 피하기 어려울듯



정보) 이런 시국에 윤석열은 우크라에 무려 3조에 달하는

거금을 퍼줬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재정적자 57조에 육박중 (올해에만)

돈이 없어서 심지어 군인과 소방관 연장 근로 수당도 지급을 못하고  있는중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4-06-18 14:37
   
그냥 날린거죠.
이런식으로 날려먹고 연금개혁으로 땜빵한게 한두번이 아니에요.
굶어죽어도 좋아서 지지한 다니깐 할 말이 없네요.
바람아들 24-06-18 15:00
   
썩은 동아 줄을 잡으면 어떻게 되는지 역사에서 배워야 함. 조선은 명나라가 망해가는 와중에도 끝까지 그놈의 사대의 예를 다하다 청나라에 대가리 깨진 나라 였음. 역사는 반복 된다.
     
Verzehren 24-06-18 15:08
   
도배 좀 그만...
동키11111 24-06-18 16:00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기 바람.
정부는 2023년 2026년까지의 21억달러(3조원)의 EDCF 차관 기본서명을 실시하였고, 이는 약정금액이지, 실제 집행금액이 아님. 또한 차관의 성격상 사업별로 금액이 집행되어, 복구사업이라는 단서를 달아놓은 상태임.
한마디로 전쟁이 끝나고, 전후 복구에 투입되는 사업에 대한 차관임. 따라서 이 비용이 전쟁비용으로 투입되지는 않음.
참고로 EDCF 보고서에 보면 2023년 우크라이나에 대한 ODA 무상원조는 0.78억달러로 전체 국가 중 6위에 해당.
에티오피아,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방글라데시, 우크라이나 순.
2024년 우크라이나에 대한 EDCF 차관이 분명 늘어나기는 하겠지만, 2023년 기준으로 3조7천억원의 신규사업을 승인한 것을 고려할 때, 우크라이나 EDCF 차관규모는 전체의 20% 정도로 추정.(2023~2026년간 4년 기준)
동키11111 24-06-18 16:09
   
EDCF차관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금액을 정하는 것이지만, 국제사회의 압력에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차관을 제공 안할 수 없음. 이 이야기는 EDCF차관을 우크라이나에 제공 안한다고 하더라도 재정적자 해소에 사용할 수 없다는 이야기임.
단지 우크라이나에 과도한 차관이 배정되면, 다른 저개발국가에 대한 배정이 줄어들어 곡소리 나는 문제가 있고, 개인적으로는 6.25참전국이면서 저개발국가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 필리핀, 콜롬비아에 더 많은 원조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slrkanfk022 24-06-18 19:16
   
저 븅쉰시키는 정게에서 구라선동질을 여기서도
통하는줄 앎.
위에 또한마리 벌러러지시키는 노무현때 80만명
출산했다고 구라치다 걸리고 발랐음.
아가리에서 툭하면 2찍  거리는 버러지들이라
지들부모가 2찍이라도 죽창으로 찔러 죽여야
한다며 아가리질 하는 버러지들임.
          
Verzehren 24-06-18 19:24
   
닥쳐 이 븅신 새끼야
     
Verzehren 24-06-18 19:23
   
국제 사회의 압력에 안할수가 없다????

안하는 캐나다나 헝가리 호주 같은 나라는 바봅니까?
          
동키11111 24-06-19 08:51
   
좀 오래된 자료기는 한데....(2017년 OECD 자료 기준) 지금은 더 늘었겠지?
ODA 공적개발원조 기준 거의 대부분 무상원조
9위 캐나다  42.77억달
12위 호주  29.57억달러
15위 한국 22.05억달러
26위 헝가리 1.49억달러

참고로 한국이 ODA/GNI 기준으로 0.15%정도 되는데, OECD 국가 중 최하위라, 국제사회 압력이 엄청나. 평균이 0.3정도 된다고 알고 있고...
캐나다와 호주는 GNI대비 우리나라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원조하고 있고, 헝가리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

안하기는 뭘 안해? 좀 찾아보고 글쓰지...
설마 우크라이나에 차관 안준다는 이야기는 아닐테고...
캐나다만해도 무기뿐만아니라 포탄까지 지원하는데, 모르지는 않을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