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10-30 12:45
[뉴스] [육군] 미 육군 보잉社와 계약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3,482  

체결 예정 이랍니다.
 
 
조만간에 말이죠 ㅎㅎ.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총 690대 도입...미군용 월4대,수출용 월3대 생산 전망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미 육군이 아파치 공격헬기의 E모델(AH-64E)의 완전 가동생산에 들어가기로 하고 조만간 생산업체인 보잉과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Apache_Block_III.jpg

AH-64E는 미 국방부의 국방획득위원회가 지난 8월 AH-64D 블록III 롱보우 헬기를 양산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최근 미육군협회(AUSA) 연례행사에서 블록III롱보우를 바꿔 부르기로 한 이름이다.

이번 계약은 미 육군용 AH-64E 모델을 연간 48 대 등 96대를 생산하고,수출용 72대 생산하는 것이다.

미국은 대만에 30대, 카타르 24대와 인도 22대,인도네시아 8대 등의 AH-64를 판매할 계획인데 대만의 E 모델 1호기는 인도됐다. 미 육군은 나머지 판매계획을 의회에 통보했다.

미국의 항공 전문지 에비에이션위크는 28일(현지시간) 완전가동생산 예상 생산수량은 미 육군용 월 4대, 외국 고객용 월3대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미 육군은 총 690대를 구매할 계획이다.

보잉의 공격헬기 부문 부사장인 데이비드 쿠퍼스미스는 AH-64E와 관련, “AH-64E는 지난해 11월 1호기가 인도됐으며 이후 애리조나주 메사 공장의 생산량은 월 약 3대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미군은 대만에 64E 모델 1호기 인도와 함께 다음달부터 파일럿과 승무원 훈련을 시작할 계획이다.

에이비에이션위크는 한국도 올해 말 36대의 공격헬기를 선정할 예정인데 보잉의 AH-64E와 벨사의 AH-1Z,오커스타웨스트랜드와 터키우주항공의 T-129가 경합을 벌일 것으로 소개했다.

지난해 캘리포니아주 해군공군기지 ‘차이나 레이크’에서 이뤄진 시험비행중 E모델 조종사들은 실질적인 대공방어 위협에 대처할 수 있었다고 미 육군 교육사령부(TARDOC)의 존 리치 공격헬기 매니저는 전했다.

그는 “이 헬기들은 필요한대로 자세를 유지하고 기동하도록 해주며 출력 여유를 갖고 있다”면서 “아파치 블록II라면 비슷한 상황에서 라면 격추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력이 늘어난 것은 제너럴일렉트릭의 개량된 T700-GE-701D 엔진과 함께 메인 로터 날개의 재질이 복합소재로 개량되고 길이가 6인치 길어진데다 향상된 공기역학 성능을 내도록 팁 설계가 새롭게 된 데 따른 것이라고 쿠퍼스미스는 설명했다.

아울러 지상사격획득시스템(GFAS)을1개 대대에 배치했는데 이 시스템은 적 사격 위치를 탐지해 조준기를 자동으로 돌려주는 만큼 승무원들이 적을 찾아서 필요시 교전하도록 해준다. 아파치 날개에 설치된 두 개의 적외선 센서가 적 총구에서 발사된 탄환이 내뿜는 에너지파장을 감지해 소화기와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도록 해준다.

제프 헤이거 육군 아파치헬기 프로젝트 매니저는 “지난 8월 이뤄진 완전가동생산 결정은 블록I과 블록II가 생산에 들어간 이후 단일생산으로는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http://news.nate.com/view/20121029n16177기사전송 2012-10-29 13:41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뭐. 슬슬 선정시일이 다가올듯한데 말이죠
그래서 관심이 생긴. 아파치 관련 뉴스 였습니다.
(이것 역시 다음 정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2004-f-11-11-9493-1.jpg

제너럴일렉트릭의 '개량'된 T700-GE-701D 엔진. 출력이. 히말라야 산맥.지역을. 비행하는데.
타기종과는. 차이가.크게 발생할지가 왠지 궁금하네요.
뭐.. 인도야.(파키.중국) 이기도 하고. 대만도 은근히. 많은 수량을 구매하는군요...
(접. 미해군에선. 별다른 이야기가 없어보이니.방염.해수.에 대한 기종은.ㅎ)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블랙맘마 12-10-30 13:43
   
탐나는 헬기죠...
근데 가격이 너무 비싸고 과연 한국 지형에 효과적일지는.....
비정규전용이라면 괜찮을듯...
현시창 12-10-30 14:23
   
인도발 소식에 따르면 차이가 꽤 크게 벌어졌답니다.
히말라야에서 운용하는 것도 있지만, 애시당초 더운 열대기후에서 떠서 고고도 한랭기후로 올라가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뿐 아니라, 높은 기온변화에 따른 적응력도 있어야 하는데...

그 부분은 mi-28n에 대한 아파치의 완승이라하더군요.
분당상승률, 출력유지, 가속력, 안정성 전반적인 면에서 퍼포먼스가 더 우수했다고 합니다.
     
스마트MS 12-10-31 12:44
   
좋은 정보. 답변 감사합니다.

호. 그렇군요. 게다가 저는 단순히. 고도 비행시 출력만 생각하였는데.
기온의 변화차는...으음.적응도란 측면에서의 문제점 역시. 쉽게 간과할수 없는 부분이였네요
zzanzzo 12-10-30 14:30
   
예산이 어떻게 될런지가 문제네요..구매목록만 봐도 배당받은 예산 두배가량이 넘던데....
무한의불타 12-10-30 14:30
   
우리나라는 언제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소리인지... ㅠㅠ
재흙먹어 12-10-30 17:22
   
690대 ㅋㅋㅋㅋㅋ -_-;;;  우리랑은 스케일이 다르네
통면봉 12-10-30 18:47
   
레이더가 우리나라는 산악지형이라 능동적 탐지법보다는 페시브센서로 방사원을 찾는게 더 좋을텐데..
아파치레이더는 큰나무 밑이나 잘 숨으면 못찾음...아파치레이더가 맘에 안드네요.. 가격도 맘에 안들고..
좋기는 한데 우리나라랑 잘 맞을까.. 생각되네요.
머..전차킬러니까 전차 상대하면 되겠죠~~
     
현시창 12-10-30 19:45
   
산악지형이니까, 액티브 센서가 더 중요한 겁니다-_-;
RF패시브 센서 자체가 방사원을 삼각측량해 추적하는건데, 산악지형에선 전파의 회절과 차단이 일어나 절대로 정확한 측량이 불가능합니다. 게다가 한반도 지형이 산악지형이라고요? 그럼 아파치 사야죠. 한반도보다 몇배 심한 산악지형에서 유일하게 실전경험가진 기체가 아파치뿐인데 말입니다.(평균해발 1200미터 이상 보스니아, 1800미터 이상 아프간 작전경험보유)

애시당초 블럭3개량안 자체가 보스니아와 아프간에서 굴려먹다 가슴아픈 점 하나둘 모여 수백개 개량이 가해져 개발된 물건입니다. 그러니 공격헬기 선정에 한반도만 산악지형인양 중요한 점으로 묘사하는 건 부당하다 생각되는군요.

더구나 MI-28N이나 타이거등은 산악지형에서 실전경험이 한 차례도 없는 헬리콥터들이고. 애시당초 개발국들 역시 산악지형하곤 거리가 먼 국가들뿐이며. 도입운영 국가들 역시 죄다 대륙/평원/사막 국가들뿐입니다. 그에 더해 MI-28N의 야간전 수준이란건 나무 뒤에 숨으며 못본다고 까신 그 강릉.삼척 공비사건때 그 아파치 블럭1보다도 수준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산지에서 굴려먹어 실전을 경험한 물건도 아파치뿐이고. 그 산지에서 굴려먹다 산지나라(?) 군인들 호감을 얻은 것도 아파치뿐이며, 산지에서 호되게 데여 개량을 한 것도 아파치뿐입니다. 그러니 아파치를 도입하는데 있어 산악지형 유무를 걱정하는 건 가장 쓰잘데 없는 짓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니 산악지형이 아닌, 도입조건과 도입합목적성을 따져보는게 가장 유익하지 싶습니다.
산악지형이라 염려하려면 다른 기체를 더 염려하시면 되겠고, 숨으면 못찾는다 하실거면 아파치보다 다른 기체 걱정을 하시는게 형편에 맞으며, 우리나라랑 맞을까 염려하시는 것 역시 우리나라 육군 장교들이 십수년 같이 훈련하며 잘 맞는다고 노래를 부르는 상황이니 그 역시 걱정할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니 돈걱정, 유지운용 문제 걱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카포 12-10-30 20:14
   
제일 큰 문제는 돈이지요. 돈만 있다면야 아파치가 문제겠습니까?
성능상 제일 뛰어난 것은 아파치임에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한정된 예산속에서 아파치를
구매한다면 과연 몇대나 구매할런지..

 예전에 다른 글에도 달았지만, 아파치가 아닌 다른 헬기들은 전차 공격 못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파치가 다른 전투헬기와 공중전 펼칠 것도 아니고, 헬파이어가 탱크 터치나 다른 미사일이 탱크 터치나 터지기는 매한가지 인데 왜 아파치에 목을 매는지 이해 하기가 힘듭니다. 그렇다고 다른 헬기들이 기관총 맞으면 떨어질 정도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육군에서 이전에 헬파이어 미사일을 잔뜩 보유해서 재고가 있는 것도 아닌데 왜 이리 아파치만 노래를 부르는지...

비싼 벤츠타고도 다니는 것과 소나타타고 다니는게 그렇게 차이가 날까요?
왕개미 12-10-31 02:25
   
음....비싸기는 더럽게 비싼데 성능도 젤 좋고.....갖고는 싶고 예산은 부족하고...저도 우리 군에 아파치 있으면 든든할 거 같긴 함    단지 필요한건 예산인데 어떻게 방법이 없으려나요 우리나라가 진짜로 돈이 없는 게 아니라 편성된 예산이 작았던 거고 아파치 가격이 예상보다 비쌌던 거니까요 거의 전투기 가격이니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