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5-29 17:22
[사진] 우크라이나에서 운용되는 한국산 열차
 글쓴이 : 노닉
조회 : 4,001  


▲ 현대로템이 우크라이나에 공급한 준고속 전동차. (사진=현대로템)


< 관련기사 >

현대로템 우크라이나 전쟁통 누빈다

현대로템이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를 누빈다. 

우크라이나 철도청인 우크르잘리즈니짜(Ukrzaliznytsia)는 지난 20일(현지시간) 키예프에서 쇼스타카까지의 노선을 개설, 현대로템 열차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열차는 키예프에서 10시에 출발해 15시 09분에 쇼스트카에 도착한다. 돌아오는 편은 쇼스트카에서 15시 50분에 출발해 20시 51분에 키예프에 도착한다.

운행 중 △비두비치(Vydubychi) △다르니차(Darnitsa) △브로바리(Brovary) △니진(Nizhyn) △플리스키(Pliski) △바흐마하(Bakhmach) △코노토프(Konotop) △크롤리베츠(Krolevets) △테레셴스카야(Tereschenskaya)역에 정차한다.

투입된 열차는 현대로템이 2012년 공급한 열차(№002)이다. 여객 운송 보다는 피난민 혹은 긴급 물자 운송용으로 쓰일 전망이다. 
 
현대로템은 우크라이나 사태에도 현지 고속 열차를 수리해 눈길을 끌었다. 현지 채용 인원이 전쟁 위험에도 자발적으로 수리 작업에 참여한 것. 

앞서 우크르잘리즈니짜(Ukrzaliznytsia)는 지난 3월 21일(현지시간)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우크라이나 철도 회사 전문가들이 현대로템 현지 근로자들과 함께 열차의 지붕, 전기, 브레이크, 견인 장비, 휠셋 형성 등을 포함해 15주 간 많은 수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현대로템은 지난 2010년 전동차 사업을 수주하며 우크라이나 철도시장에 진출했다. 2010년 우크라이나 철도청과 90량(9량 편성) 준고속 전동차 공급을 계약을 맺고, 2012년에 납품했다. 그해 현대로템은 차량의 유지보수 사업까지 수주했다. 

이후 2017년에는 현대종합상사와 함께 우크라이나 철도청 산하 차량운영기관인 URSC(Ukraine Railway Speed Company)와 648억원 규모의 전동차 90량 유지보수 연장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철도 광궤를 표준궤로 개궤할 계획

1520mm 광궤를  EU 표준  1435mm 표준궤로 개궤 하겠다는 계획 발표
지금 말나온거 보면  러시아 영향도 있는듯
시작은 각 허브지점 및 대도시 부터 시작해서 순차적으로 전국토에 1435mm 깔 계획
총 길이는 21,600k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소문만복래 22-05-30 10:48
   
10년쯤 전에 수출된겁니다.
최고속도는 170키로고 최고영업속도는 150~160키로라서, 이걸 고속철이라 부르기에는 고속철 기준인 200킬로에는 많이 못미치죠. 심지어 최근의 고속철들이 영업속도가 300키로에 육박하는 상황에서는 차이가 꽤 커요.
그래도 일반철로에서 고속으로 달릴 수 있다는것 자체가 당시에는 꼭 필요했는데, 유로2012 유치한 뒤로 개최도시마다 철로를 이어야 하는데, 땅덩어리 어마어마한 우크라에서는 고속철이 아니더라도 일단 빠른 열차로 도시를 이어두는게 중요했고, 그에 맞는게 로템의 전동차였습니다.

근데, 표준궤로 바꾼다는건 확실히 러시아와의 확실한 단절을 의미하겠네요.
러시아가 광궤를 깔아놓은 이유가,
프랑스가 철로를 이용하여 침공해올것을 두려워 해서라고 보잖아요.
마찬가지로 우크라도 표준으로 개궤하는건 러시아와의 철도물류를 끊겠다는 말이니,
확실히 반러 노선으로 간다는 상징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밀덕달봉 22-05-31 04:30
   
그마저도 광궤를 깔아놓은건 인구수송 목적보단 자원같은 광물이나 곡물들을 유럽으로 팔려고 선호한 결과라고 보는게 맞죠.
재네들 경제적 수준에는 수송비도 골치 아플테니 광궤로 한번에 많은 물자를 넘길 수 있는 수단을 선호 할 수 밖에 없죠.
이걸 바꾼다는 것은 앞으로는 러시아를 통해 넘어오는 자원들을 중개무역으로 유럽으로 넘기는건 이제 못한다는 반증이라고 봐야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