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10-13 16:44
[질문] 만약 다연장로켓포 개발해서, 부산에 배치가 가능할까요?
 글쓴이 : 라크라노드
조회 : 2,141  

만약에 사거리 150-200 킬로미터의 다연장로켓포를 개발에 성공한다면, 휴전선 부근 뿐만 아니라 부산에도 일부 배치가 가능할까요? 대일본용으로 말입니다.

한미, 미일 군사 동맹이라는 외부 환경을 생각한다면, 미국이 허락을 안해서 불가능하다고 봐야하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어쩔수없나 14-10-13 16:54
   
150~200키로 짜리 다련장이라..;;
효율이 극악이겟지요; 그걸 만들고 개발하느니 미사일류를 더 만들거나 개발하는게 더 효율적이지요.
그거 개발하고 양산할 돈으로 순항 미사일 500발만 만들어서 일본은 아찔 할걸요.
     
라크라노드 14-10-13 17:03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다연장 사거리가 그정도면 비효율적일 줄이야;;;;;
          
나그네21 14-10-16 06:44
   
다련장의 타겟 목표가 그정도인거죠. 함대에 쓴다는건 헛짓입니다.
     
오리발톱 14-10-13 18:02
   
사실 150~200킬로미터급 까지 사거리를 확장한다면 무유도 로켓 보다는 정밀성을 갖춘 전술탄도탄을 쓰는 쪽이 낫겠죠. 로켓탄의 특성상 150킬로미터를 넘어가면 오차범위도 엄청 커질 테니까요. 멀리 갈 것도 없이 MLRS가 에이태킴스 전술탄도탄 두 발을 운용할 수 있는데, 사거리가 145~300킬로미터 까지 나가고 정확도도 높죠. 우리 천무도 그런 식으로 활용하면 될 겁니다.
멍굴년 14-10-13 17:40
   
다련장 필요 없고. 미사일 사거리랑 탄두 중량 제한 풀어 주면 됩니다.
zzanzzo 14-10-13 17:58
   
그정도로 사거리가 비약적으로 늘어나려면  여려모로 제약이 많을것 같습니다. 추진체 정확성 그로인해 올라가는 가격등등 저라면 차라리 현무를 택하겠습니다.
내일을위해 14-10-13 17:59
   
현재도 도쿄까지는 사정거리안에 들어올걸요. 물론 순항미사일. 탄두 중량제한을 받아서 그렇치.
아햏햏햏 14-10-13 18:00
   
미사일은 엄청비쌈 로켓은 싸서 대량생산이 가능함  미사일은 한방당 10억이상 로켓은 한발당 몇십만원에서 몇

백만원 단위 엄청저렴함  로켓과 미사일의 차이점은 긴사거리와 유도장치와 추진기관의 차이 미사일은 더빠르고 유도장치

가 있어서 정밀타격을 요하는 유도무기고 다련장의 로켓은 일정 구역에 화력을 집중하여 초토화 시키는 화력무

기 가격도 저렴하고 대량생산에도 부담안가고 집중화력으로 초토화가 가능하기떄문에 북한에 다련장이라고 말

할수 있는 방사포가 많은이유이기도함  후방에 배치하기에는 사거리문제도 있고 해상사격에는 안좋은 무기라고

보네요 배치할 이유도 없구요
탱글곰 14-10-13 18:09
   
비효율은 아닙니다. 공세적 전략의 기반 할때 방어쪽 입장에서는 골치 아픈 존재죠.
무기는 쓰는자에 전략이 중요한거지 불 필요한다 단정짔는건 좀~ 오히려 우리군 입장에서라면 구형의 단거리 미사일인 현무1를 대체할 수단이 생기는거라 환영할만한거죠.
최근 북한이 실험한 300mm 다련장포 때문에 휴전선 이남 150-200Km 지역이 위협받고 있지만 우리군은 뚜렷한 대응 수단이 없는게 현실이죠.
더군다나 요즘 장사정 다련장들의 성능은 미사일 뺨칠정도의 정밀도를 가지고있죠.  최근에 북한이 실험한 장사정포에 러시아판 GPS 인 글로나스가 탑재됐다라고 하는거 보면...표적오차 몇m정도로 정확하다고 합니다.
우리군 역시 최근에 자체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는 소리가 있었습니다.
somalia 14-10-13 18:27
   
그런데, 다련장이 사랑 받는 것이 싼 값에 화끈하게 퍼 붓는 건데,
긴 사거리에 의해 추진체가 늘고, 활공능력을 적용하더라도 활공을 위한
날개가 전개 되면서, 오차 수정을 위한 제한적인 항법장치를 달아야 하겠죠.
결국 같은 크기에서는 탄두가 작아져야 할 것이고
탄두를 유지하기 위해선 전체적으로 크기가 커져야 할 텐데.
결국, 150km 목표를 타격하기 위한 MLRS에서 운용하는
전술탄도탄에 비해 효용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네요.
하지만, 국방개혁 2020에 따라 군단 작전범위가 종심 150km까지 늘어나니
전혀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니네요.
스마트MS 14-10-15 18:01
   
부산에. 장거리용 다련장 로켓같은 지원화기 배치는 상당히 어려울듯 하네요

2군사 예하. 남부 후방지역내 많은 보병사단등이 보유한 포병전력은. 전방등에 비해
많이 부족한 편이죠.
케이 나인도 후순위 배치로 보여지는 현실에서 흠.
차라리
순항미사일 탑재한 이지스함을 부산항에 대기 시키는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