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3-10 15:05
[육군] 육군의 K3 전차의 목표
 글쓴이 : 카라스
조회 : 4,937  

한국형 차기 전차는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군 당국이 구상중인 한국형 차기 전차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개발 배경


지금까지 우리 군은 북한의 전면전 위협 대응에 주력하여 야지를 주 전장으로 하는 인력 집약적인 전략전술을 위주로 교육훈련을 해왔고 현재도 그러한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 지상전 전장은 네트워크 기반의 동시·통합전 양상으로 복합 무기체계가 유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인명 중시로 인한 전투차량의 무인화 및 생존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장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전투는 효과 중심 작전 및 신속 기동전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며 도시 지역의 발달로 시가전 및 대테러작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래 전장은 다양한 불특정 위협 요소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기존의 전투 양상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개념 미래 기동체계를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예상 성능 수준


2030년 이후 전력화를 목표로 하는 차기 전차의 기대 사양은 아래에서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겠다.


 차기 전차는 경량화, 무인화, 자동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동력


동력 계통은 기존의 파워팩이 아닌 하이브리드식 고효율 전기추진 시스템(High Efficient Electric Propulsion System ; HEEPS) 채택이다.


전력을 주에너지로 사용하므로 엔진은 발전기를 가동하는 데에만 사용하고 구동 계통은 구동/변속/조향 기능을 일체화한 일체형 전기식 구동장치 구성이다.


그리고 고전압 대전류의 전력을 짧은 시간에 발생, 제어하는 펄스전력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탄, 요격 레이저 등 탑재 무장을 가동하고 전자기 장갑, 스마트 제독장치 등의 활용이다.


추진 동력 뿐 아니라 탑재 장비들에도 전력 소요가 많으므로 전원과 전력제어 계통, 배터리, 펄스전력 부분이 성능의 관건이다.


기존 궤도차량의 현수장치가 아닌 궤도식과 차륜식을 겸용할 수 있는 지능형 현수장치 적용이다.


전기 구동/노면 감응 제어 방식의 능동 현수장치와 경량 고내구성 복합재 휠과 고내구탄성 고무제 유연 궤도를 조합한 스마트 휠-궤도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포장 도로에서는 차륜으로, 야지나 산지, 도심지에서는 궤도로 변환하여 기동하는 방식의 채택이다.


화력


주포는 기존의 화약을 쓰지 않고 Mach 10 이상의 고속으로 발사할 수 있는 전자기포 채택 가능성이다.


ADD는 현재 전열 화학포 형태의 전자기포를 연구개발중인데 전차 등에 탑재를 위해서는 펄스전원장치의 소형화가 필수 선결요소일 것이다.


전차에 큰 위협 요소인 전차포탄, 대전차로켓, 대전차미사일 뿐 아니라 박격포탄, 무인기 등도 요격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포를 부무장으로 탑재하는 방안도 고려한다.


또한, 네트워크 체계와 연동하여 다수의 표적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는 다표적 동시 타격 유도탄도 탑재한다.


생존성


기존 전차로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요소들이 가장 많이 적용될 부분은 생존성 분야이다.


방호력의 핵심인 장갑재는 경량화된 모듈형 복합장갑을 채택할 것이 유력하며, 적이 레이더 등 탐지수단을 이용하여 탐지하기 어렵도록 스텔스 체계 적용이다.


날개안정철갑탄(APFSDS)와 같은 초고속 운동에너지탄의 경로를 교란하는 장치와 전차를 향해 발사된 미사일을 대응미사일 또는 레이저로 요격하는 능동방어시스템, 전자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전차미사일이나 운동에너지탄을 방호하는 전자기 장갑, 보병 휴대용 로켓의 관통력을 떨어뜨려 방호하는 그물망 전기장갑, 가변형 반응장갑 등의 적용이다.


또한, 화생방 방호를 위하여 차량 표면에 전도성/절연성 물질을 코팅하고 순간 발열/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화학/생물작용제를 기화 또는 분해하는 스마트 자가제독장치도 구상중이다.


지휘/운용통제


전술지휘통제자동화체계(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 C4i)를 기반으로 UAV, UGV(무인 전투차량), 미래 장갑보병, 항공기 등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협동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상중이다.


다만 이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발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전장에서 적의 통신 교란 등 방해 요소도 대비한다.


승무원석과 승무원 헬멧에 최첨단 영상장비를 구현하여 고해상도의 3D 외부영상과 휴머노이드 기반의 고정밀/고효율 운용통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렇게 되면 승무원은 차체 밖으로 신체를 노출할 필요 없이 방호력이 보장된 차내에서 작전을 수행하므로 안전성 및 생존성을 보장할 수 있다.




차체 형상 및 과제


K3 전차로 가칭될 한국형 차기 전차의 차체 형상과 운용 개념은 그림과 같이 구현 준비중이다.


앞의 체계들 외에도 차량 탑재형 무인기(전장네트워크체계와 연동 가능한 드론)와 360˚ 상황 인식 관측장치, 지뢰/급조폭발물 탐지 및 파괴장치 등 각종 미래형 전투장비가 적용한다.


가칭 K3 전차의 구상안을 보고 저것이 과연 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것인가 등의 의문을 제기하실 분이 많을 것으로 보는데, 현재 군 당국은 이 차기 전차를 소요제기 예정이며 실제로 구체화되는 시기는 2030년 이후이다.


따라서 2020년대 안에 당장 전력화할 것도 아니고, K2 전차도 처음 소요제기된 시기가 1992년이고 1차분 전력화까지 22년이 걸린 것을 보면 확정된 형상이 나오려면 많은 세월이 흘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미래 전장 및 병역자원 부족 시기 등을 고려하면 지금부터 이러한 신 무기체계를 구상해두는 것이 장기적으로 옳은 선택이다.




결어


병역자원이 감소하는 현 추세에서 군 전력 개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미래 전장에서 중요하게 될 전투 요소들을 생각하고 그에 대응 가능한 미래형 무기체계를 연구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앞에서 언급한 K3 전차로 가칭될 한국형 차기 전차는 개념 연구 중이지만, 우리 군이 미래 전장에 필요한 요소가 무엇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다각도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는 구상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위협에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가올 미래를 예상하고 대비하는 것 역시 중요하므로 앞으로의 연구개발을 기대해 본다.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num=5773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유일구화 20-03-10 15:26
   
탄 지원 자동화가 더 시급함.
마시마로5 20-03-10 15:47
   
시즈탱크 만들자. 자주포랑 결합안될까.
사커좀비 20-03-10 16:08
   
혹시 계룡대 지하에 외계인 가족이 잡혀 있는 건 아닐까?
하고 뻘 생각을 잠시 해본 1인...
만년방문자 20-03-10 16:53
   
장성 몇마리 짤라 버리면
저런거 2000대는 금방 만들지 ㅋㅋ
     
게코도마뱀 20-03-11 06:24
   
그렇죠?  선양군구에 계셨어요? 아님 북경군구? 거기가 그렇게 썩었다면서요?
탄소강 20-03-10 16:57
   
무슨 전기차 같네.
사커좀비 20-03-10 17:07
   
대략 2040년은 되어야 나오겠네요...
전열화학포인지 전자기포인지 57mm까지는 본거 같은데...
그 이후로 소식이 없고...
솔직히 음속의 10배까지 탄속을 만들면 굳이 대구경일 필요는 없을 거 같네요...
문제는 전기추진체제랑 펄스전력 발생장치가 주된 과제일 거 같고...
(이거 되면 해군은 더 끝내주는 게 나올수도 있고요..)
플라즈마 기술이 과연 실현가능할지...
뭐 하다보면 되는 기술가지고 또 꿈지럭 꿈지럭 만들겠지요...
붉은깃발 20-03-10 17:08
   
차기 전차 이야기 나올 때마다 기자들이 서로 다른 사진을 써서 뭐가 K3 전차인지 모르겠음...
rozenia 20-03-10 18:22
   
주포의 변화이외에는 솔직히 대단히 필요한 성능이 아닌듯 ;;;

이쯤되면 솔직히 거미형 4발 궤도 전차가 전장에 더 유리하게 되는거 아닌가

탄도탄과 항공기술, 전자전 기술의 급격한 성장으로
전차의 미래에서 중요한 부분은

효율적인 배터리가성비, 단가, 방호 및 방어능력, 근거리 로켓탄에 대한 능동요격능력 , AI 및 원격조종체계, 혹한 및 혹설, 우천에 대한 능력, 전자전 및 반재밍능력 이하 분야에 대한 현 기준에 최대 2배의 능력.

전차가 스텔스화가 된다 한들, 궁극적으로 금속탐지나 열탐지에서 벗어나기도 어렵지만 가성비면에서 의미가 없음

전차에 스텔스소재와 설계로 인해 단가가 뛸바에

그돈으로 방호와 방어력부분을 극단적으로 해결할수있는 새로운 구조역학과 소재개발 등으로 원론적인 생존성을 극대화하는게 훨씬 낫다고 봄

그돈으로 전차전용 전자전대응체제와 대전차로켓에 대한 자동대응체제를 다음단계성과를 만들어내는게 더 효율적이라 봄.

개인적으로 CIWS의 컴퓨터에 의한 자동사격지원체계로 명중률이 급격히 높아진걸 봤을때, 전차의 주포사격 역시 C41 수준이 아닌 전장 전체에 자동지정하는 전차부대 전체사격통제를 하는 지원AI를 개발함으로서 탑승인원을 더 줄이는 효과를 만들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함

물론 전부 저 개인적인 생각
나그네x 20-03-10 21:22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다른 기능은 모르겠고 적어도 주포같은 경우 수십년내 당분간은 레일건이니 레이저포니 하는 화력은 적용되기 힘들것으로 봄.
수십년전에도 레일건이나 레이저포같은 것을 실전용으로 개발한다고 하도 들어서 이젠 콩으로 매주를 쓴다고해도 영~
일경 20-03-10 22:10
   
차체의 구동과 통제 시스템 모두가 전기이고 주포까지 전기로 사용하면.. 과연?
이 정도의 에너지를 저장하려면, 베터리가 어느정도로 발전해야 하는지 감도 안 옴;;

하지만, 일단 구동계는 베터리화 시켜야 함.
기존 내연기관은 발열이 심해 적외선 탐지에 너무 쉽게 노출이됨.
전기로 구동하면서 외부에 세라믹 코팅 처리를 하면 적외선 센서로 찾는게 엄청 힘들어짐.
지상 무기 체계에서 스텔스 기능은 레이더가 아니라 적외선 센서를 얼마나 속이냐에 있는것 같음.

전기 구동에 세라믹 코딩이 잘만돼도 현존하는 대다수의 대전차 미사일에 조준이 어렵지 않나?
도나201 20-03-10 23:03
   
현재 k3로 발표된 형상은 전부 잊어버리는게 좋을듯....... 합니다.

워낙 개념자체를 아직까지 잡고 있지 못한 상황이라서.

현재 딱 하나만 개념설계를 잡은 듯 합니다.

무인포탑...............................이거외에는 아직까지 정확히 잡힌 개념이 없다고 보는것이 옳을듯이 보입니다.
승리만세 20-03-11 10:15
   
이제 정말 가격이 매우 비싼 k2 전차를 기존처럼 아주 찔끔찔끔씩 만들기 보단 k3 개발과 헬기전력 투자를 해야할 때입니다. 어짜피 전차전력의 수요는 시대가 갈수록 줄어들고있으니 k2보다는k3개발에 박차를 가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