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2-05 00:01
[전략] 페리지 '가성비 로켓' 내년에 우주로, "3대 기술 독자개발…증명만 남았다"
 글쓴이 : 키륵키륵
조회 : 1,683  


한국경제 장강호 기자
입력 2024.02.02. 오후 6:04  
수정 2024.02.03. 오전 1:00

'한국판 스페이스X' 나올까

블루웨일1, 올해 5월 시험발사

엔진·탱크·제어 기술 자체 확보

국내 위성업체와 벌써 협업 논의

탱크 무게 줄여 발사비용 낮춰

연내 기술특례 상장 추진키로


본문 발췌 요약:

"우주발사체 스타트업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페리지)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신동윤 대표가 2018년 창업한 회사다. 페리지는 내년에 독자 개발한 소형 발사체(로켓) 블루웨일1 발사를 목표로 기술 고도화에 한창이다. 200㎏ 이하 인공위성을 지구 상공 저궤도(500㎞ 안팎)로 수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는 5월 블루웨일1 준궤도(100㎞) 시험 발사에 나선다. 로켓 3대 핵심 기술(엔진, 탱크, 제어)을 자체 확보했다.


페리지는 액체 메탄 엔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연료인 액체 메탄과 산화제(액화산소)를 써서 로켓을 발사한다. 액체 메탄은 추력 제어가 편하고 연소 효율이 높아 차세대 액체 로켓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연소기 내부에 잔여물이 적게 남아 엔진을 재사용하기에도 좋다. 반면 고체 로켓은 엔진 내부에 탄소 찌꺼기가 달라붙어 배관이 막히는 문제 등이 발생해 재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소형 로켓은 대형 로켓과 비교했을 때 크기 대비 무게가 많이 나가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페리지는 탱크를 탄소섬유 복합재(CFRP)로 만들어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였다. CFRP는 탄소섬유에 플라스틱 수지 등을 첨가해 만든 고강도 경량 소재로 같은 크기의 철과 비교했을 때 무게는 4분의 1 수준이지만 강도는 10배 이상이다. 페리지 관계자는 “CFRP 탱크가 높은 압력과 충격 등에서도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검증을 마쳤다”고 말했다.


소형 로켓은 중량 제한을 받지만 대형 발사체와 동일한 임무를 수행해야 해 보다 높은 수준의 항공 전자장비(비행제어 장치)가 필요하다. 페리지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신뢰성의 항공 전자장비 개발을 마쳤다. 시뮬레이션과 수직 이·착륙 시험 등에도 성공해 실제 우주 환경에서의 제어 능력을 검증했다.
 

페리지 관계자는 “국내 여러 기업이 페리지 로켓을 타고 우주로 향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연구진이 제주 서귀포시 하원동에서 수직이착륙 시험에 성공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제공"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신동윤 대표 유튜브 채널 '안될과학' 출연 영상>

세계 발사체 시장의 틈새를 노린다! 국산 소형발사체가 필요한 이유! 

뉴스페이스 시대, 소형 발사체 그리고 소형 위성의 필요성!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4-02-05 09:18
   
없어지겠네.
이런 사업은 꼭 엎어지더라.
세계최초 티틀로드 무인기 창고에 쳐박고 대기업 무인헬기 사업 퍼주다가 다 말아먹은 것처럼
     
키륵키륵 24-02-05 13:11
   
와 진취적인 청년의 노력에 이런 찬물이.....
새끼사자 24-02-05 12:08
   
벌써 BW 1.0 쏴 올릴 정도까지 되었나 보네요.  BW 0.2던가? 그거 이야기 들은게 얼마 안된거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