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7-15 08:38
[질문] KF-21 이거 불가능할까요?
 글쓴이 : 정의기사
조회 : 5,726  



사이드  미사일 창. 

되면 좋겠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진실게임 22-07-15 08:56
   
스텔스 완전 포기네요.
     
정의기사 22-07-15 09:01
   
개폐 방식이요.
즈믄다솜 22-07-15 09:17
   
최종 베치3급에서는 덩치를 지금보다 30% 확장 시키면서 최종 5.5세대 스텔스기로 목표를 잡았다고 했으니.. 어쩌면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지도..!
ㅣㅏㅏ 22-07-15 09:24
   
배면에 공간 만들어놨고 ... 저런 개폐 방식을 추가하려면 설계를 바꿔야 할텐데. 이제 첫 비행시험 앞두고 설계 변경이 가능하겠음?
일경 22-07-15 09:41
   
불가능 할 듯.
이건 미사일 발사 실험 영상만 봐도 답이 나옴.

스텔스기가 아니더라도 개폐식을 사용하는 폭격기와 같은 비행기는 많지만, 그 어떤 비행기도 위 그림처럼 사용 안 함.

미사일은 그냥 달고 쏜다고 나가는 게 아님.

전투기의 속력은 보통 느려도 시속 300km 이상의 상황에서 미사일을 발사하고 보통은 시속 800km이상의 속력에서 발사함.
당연하게 엄청난 공기 저항을 받기 때문에 자칫 공기 역학 계산을 잘못하면 미사일 발사를 위해 분리 되는 순간 미사일이 전투기에 꼴아 박음.

그래서 여러 실험과 계산을 거쳐서 발사대 위치와 미사일 형상 등 많은 것을 결정함.

현재 대부분의 개폐식도 아래가 완전히 뚫려 있는 이유가 미사일이 분리 되면 가만히 있지 못 함.
그러니 차나리 전투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사일이 이동해야 충돌 위험이 없음. 그래서 전투기 본체와 반대 방향이 열려 있음.

그림처럼 미사일을 설치하면 그 빠른 속력에서 생기는 저항을 받고도 미사일이 공중에 가만히 정지 된 상태를 유지해야 발사 할 수 있음.

미사일이 위로 가면 본체에 박고 아래로 가도 개폐문과 충돌함.

한 마디로 역학적 계산은 1도 안 한 상상 속 그림일 뿐임.

만약, 근거리 교전에서 전투기가 급격한 선회 기동을 하면서 미사일을 발사하면 저 미사일이 어떻게 되겠음?
고정 장치 풀리자 마자 개폐문에 꼴아 박고 터져서 전투기 추락하겠지

미사일이나 폭탄 분리 사고 영상인데 한번 봐보셈.
https://www.youtube.com/watch?v=_WfXVOXhKew
     
펀치볼 22-07-15 11:46
   
가능합니다. 런처들이 단순히 잡았다 놓는 타입만 있는 것도 아니고 화약이나 공압으로 미사일을 순간 밖으로 충분히 밀어내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방식도 많이 쓰이는 데 내부 무장창 역시 이와같은 방식으로 사출합니다.

미국 기종들은 대부분 공압 방식을 그 외 다른 국가들은 화약카트리지를 주로 사용합니다.
소문만복래 22-07-15 10:18
   
3세대 항공기들의 하부에 메달아놓은 미사일들도 종종 발사사고가 납니다. 비행기 몸체에 충돌하는 경우가 꽤 있어요.
본문의 방식이라면 거의 100퍼센트 충돌한다고 봐야겠죠
알브 22-07-15 12:05
   
미국의 f-22, f-15se, 중국의 j-20의 경우에 글쓴이가 말한 사이드 개폐식 무장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공통점을 살펴보면 체급이 크다는걸 알 수 있죠. kf-21이 사이드 개폐식 무장창을 달 수 없는건 단순히 체급의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기술적 문제라기보단 물리적으로 달 공간이 없는거죠.
도나201 22-07-15 12:12
   
굳이 그렇게 할 이유가 없습니다.

내부무장창을 다는경우는 공대공미사일보다는  대함 및 대레이더 미사일이 주류가 될겁니다. 

그리고 주변에 호위기로 블럭2가 동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력편향기술은 꿈도 꾸지 못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엔진추력성능이 많이 딸립니다.
F22가 추력편향기술이.. 가능했던 것은 엔진추력이 상상이상이였기에 가능한 상황이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실증기 심신이 3차원추력편향노즐 개발한다고 했다가...
실패했죠.       

정확히는 엔진추력이 엄청나게 딸렸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엔진배기구의 추력편향으로 다시 돌아서서 개발중인것이 X9입니다.

블록3 로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그때 배치된 KF21 이 전면개량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호위급과  와일드위즐같은..  블록3기체가.. 어느정도 배치될 겁니다.

하지만 주력기는 미국으로부터 .. 도입할 가능성이 높죠.

블록3로 전면개량한다고 해도.. 주익에 무장을 한 호위편대는 계속해서 존재할겁니다.

그리고. 내부무장창 보다는  그렇게 되면 외부무장창으로 돌리는게  더빠를겁니다.
굳이 사이드개폐식무장창을 할이유가 없습니다.
     
돌개바람 22-07-15 15:42
   
추력편향 기술은 엔진 추력을 한쪽 방향으로 집중시키는거라
엔진추력 성능하고는 상관이 없습니다.
간다히 말해서 F-5급 츨력의 엔진도 추력편향 기술을 적용할려면
할수는 있다는 소리입니다.
문제는 그럴경우 추력 편향 기술이 엔진과 일체형이라
다시 설계를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는 것 뿐입니다.
그리고 일본이  추력편향 엔진 개발에 어려움을 격는 건
이제 막 항공기에 엔진을 장착할 수 있는 개발할 정도로
아직 엔진 개발 기술이 떨어지기 때문이입니다
XF9엔진 개발도 그래서 어려움을 격어 롤스로이스로부터
기술지원을 받을려고 하는 겁니다
          
도나201 22-07-16 02:49
   
으응.... 아니야.....

추력편향노즐에 대해서 역분사로 엔진자체를 태워먹을수 있어서야.

그것때문에 추락할뻔한적도 있었고,

쉽게 이야기해서 실속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해서 그에 따른 엄청난 추력비를 내게되는 엔진을 채택하게 된거란다.

일본..  만화보고 3중편향노즐을 개발하네 뭐하네 했는데
들은 것은 있어서 . 그런지 실제로 
굉장히 떨어졌있었지... 근데 . 
생각만큼 방향성이 안나와..
연료는 엄청나게 잡아먹고,

실질적인 추력비가약해서 효과도 없어서.  엔진추력높을려고... 엄청나게 꼬라박고 있어...

한마딜 말해서 너처럼 만화만 쳐바르고 봐서 상식선이 거기에 머무른 놈들이지.

딱보니 일본에 가생이글 퍼나르는 쪽 빠 리 같은데...  알아서 꺼져라.
태강즉절 22-07-15 12:29
   
발통 뚜껑이 커보여서리..그 뚜껑에다 미샬 꽂아넣으면 안 되나?..상상했었는디..ㅋ
     
archwave 22-07-15 16:56
   
엄청나게 작은 꼬꼬마 미사일밖에 못 넣겠네요.
          
도나201 22-07-16 02:55
   
J20 이 저방식인데.  단거리 공대공미사일  좌우 2발 장착합니다.
F22도...  그렇고,

원래 측면에는 단거리 공대공무장을 장착합니다.
하부 무장창에는 장거리공대공 미사일과  공대지 .. 관련 무장을 하고 .


단거리공대공무장은  급기동시에도 발사할수 있게 설계방식부터 서로 다릅니다.

하부는  중력낙하식으로 한다면.

측면은 단거리공대공미사일은  주익끝단에 달리는 것 처럼 .. 바로 발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잇습니다.
               
archwave 22-07-16 14:43
   
동체 너비가 큰 기종들은 그렇게 할 수 있는데, KF-21 의 메인 랜딩기어 부위를 측면 무장창으로 쓰려면 넣을 수 있는 미사일 길이가 굉장히 작아야 될거 같다는 얘기였습니다. 1 미터도 안 될 듯.
archwave 22-07-15 16:55
   
F-35 착륙시 바닥과 배면 이격거리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706070 ) --- 이 글의 댓글 우선 참고. (댓글 2 개뿐임)

KF-21 의 반매립 무장공간 앞뒤 방향 길이 절반 정도의 옆에 메인 랜딩기어 수납부가 있기 때문에, 옆쪽 무장창이면서 아래 방향으로 뚜껑이 열리는 무장창을 넣는다해도 미사일 길이 1.5 미터 정도만 넣을 수 있을 뿐이죠. 또한 내장 기총 탄약 공간도 안 나오니 내장 기총은 포기해야 할 듯.

랜딩기어를 F-22 처럼 타이어가 날개쪽으로 가게 한다면 훨씬 긴 미사일도 옆쪽 무장창에 넣을 수 있겠지만, 그럴려면 동체 몸통 폭을 F-22 수준으로 넓혀야 합니다. 엔진이 2 개이면서 충분히 큰 내부 무장창을 넣으려면 넓은 몸통 폭이 필수.
     
도나201 22-07-16 02:52
   
현재 설계팀에서 내세우는 방식중 하나인데.
스텔스 외부무장창을 생각한다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보잉이 개발한 외부무장창..  3000파운드 장착이 가능하니. 
이를 이용해서 개발하는게 좋지 않을까 하는 ...    방안도 생각해봤다고 합니다.
          
archwave 22-07-16 14:41
   
CWB ( Conformal Weapon Bay ) 는 실연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5CRF53SNzHA ) 뜬 것이 11 년전인데, 그 후 채용된 사례도 없는거 봐서는 그냥 의미없다고 봐야겠죠.

영상을 봐도 저런 식이면 영 비효율적이라서..
따식이 22-07-16 19:06
   
안된데요
     
정의기사 22-07-17 06:10
   
안되면 되게 해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