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11-27 10:58
[질문] F22는 항공모함에 탑재할수 없나요?
 글쓴이 : drone
조회 : 5,268  


항모 동영상보면 캐터펄트가 있어서 전투기들은 약 100미터정도 활주로에서도 이륙할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착륙도 마찬가지로 어레스팅와이어를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착륙거리를 줄인다고하구요.

F22가 항모에 없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한글만세 13-11-27 11:08
   
f-22 함재형도 제안된적이 있습니다.. 문제는 가격대비 효율성이죠. 값이 너무 비싸 공군도 몇대 도입을 못하고 끝낸 상황에서 그 보다 더 가격이 올라 갈지 모르는 함재형 도입은 안하겠죠. 그리고 기본적으로 해군에서는 스텔스기에 대한 중요성을 그렇게 인정하지 않고 집착하지도 않는 분위기로 알고 있습니다,
     
drone 13-11-27 11:12
   
해군은 F22를 가성비가 좋다고 보지 않나보군요.. 감사합니다.
어벙이 13-11-27 11:39
   
제일큰 이유는 해군하고 공군하고 자존심 싸움임...
f-14 f-15  / f-16 f-18등    팬텀옹 제외  해군하고 공군하고 서로 같은 기종 안쓸려고함

f-15도 함재기 할려다 퇴짜먹고    f-18도 사실  공군 f-16 경쟁하다 나가리된거  살려서 만든거고...

은근 양키들도  직업군인에  이성적인거 같지만    저런거보면 ㅡ.ㅡ  군대는 다 같은듯
     
drone 13-11-27 13:58
   
그런가요 ㅋㅋ
     
보라돌이 13-11-27 20:13
   
미해군만 쓰는 슬램ER를 한국공군 F-15K에 장착하는 걸 보고 특이한 케이스라고 했죠.
아이쿠 13-11-27 11:46
   
f-22 를 함재기로 만들려면 상당한 개조가 필요합니다
우선 랜딩기어를 매우 튼튼한걸로 바꿔야하고
착륙시 사용하는 후크도 매우 큰 하중이 걸리기에
기체 전체에 하중이 잘 분산될수 있도록 구조적 보강과 설계변경이 필요해보이고
날개를 접을 수있게 바꿔야하고 등등


그리고 한가지 문제는 f-22는 주익의 후퇴각이 항모에서 사용하기에는 크다는 것이죠
주익의 후퇴각이 클수록 고속 비행과 고기동성에 유리하지만 저속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어있는데 f-22는 공군용으로 고속의 고기동을 목표로 만들어진 물건이라
항모 착함을 위해 저속 접근시 매우 불안정해질수있고 실속의 위험이 큽니다.

f-18이 고속의 고기동을 포기하고 후퇴각을 작게 만든것은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이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방법이
f-14같은 가변익이나 러시아 베르쿠트 같은 전진익 방식인데
f-14같은 가변익은 운용유지가 극악의 물건이라 더이상 안만들고
러시아의 시험기 베르쿠트 전진익은 주날개에 가해지는 하중이 너무 커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내구도의 비행기를 만드는것이 불가능합니다
재료공학이 아직 따라오질 못하는상황
흑룡야구 13-11-27 13:07
   
F-22를 개조해서 쓸 공산도 크긴합니다, 다만 후크를 내부장착형으로 하려면 다소 개조가 필요해 보이네요. 명색이 스텔스 기체니 내부 창 하나 더 만들고 해야 할테니 말이죠. 더불어 랜딩 기어 강화도 필수겠죠.
drone 13-11-27 13:57
   
아무래도 항모 탑재용으로 하려면 개조비용이 꽤 많이 드나보네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