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7-20 00:02
[질문] 크리스라는 경기관총이 반동을 줄였다고 하는 이유를 설명해주실 분 없을까요?
 글쓴이 : 드뎌가입
조회 : 3,931  

미래의 무기들.EP10 - 접근전.CATV.XVID.avi_20130720_000313.685.png

미래의 무기들.EP10 - 접근전.CATV.XVID.avi_20130719_235415.386.png
미래의 무기들.EP10 - 접근전.CATV.XVID.avi_20130719_235425.840.png

미래의 무기들.EP10 - 접근전.CATV.XVID.avi_20130719_235433.952.png

미래의 무기들 10화 접근전편에서 다뤄진 경기관총을 크리스라고 하구요.
45구경인데 반동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하면서
총구가 들리고 어깨로 반동이 생겨서 사격할 때,  정확한 사격을 하기 힘들게 하는데
이 총은 위에 나온 그림을 보여주면서 말하길 반동을 아래로 향하게 했다고 하네요.
이거 혹시 이해하신 분 계시면 설명을 부탁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ultrakoo 13-07-20 00:16
   
총알이 나가면서 반동의 힘을

밑으로 흘려서 반동을 줄였죠.

반동이 진동 수준으로 줄였다고 하더군요.
솔아솔아 13-07-20 00:24
   
일단 경기관총이아닌 기관단총입니다.
경기관총은 K-3 와 M-249 SAW 미니.미 같은 기관총 사수 1명만으로도 운용가능할만큼 가벼운 기관총이라는 뜻입니다.

일반적인소총은 총알이 발사되고나서 반동으로 노리쇠가 "수평방향"으로 후퇴하여  노리쇠가 빈부분은 스프링이 팽창하여 탄환이 교체되고 다시 노리쇠가 앞으로 이동하여 스프링이 수축하여
지속적인 발사가 가능한 구조인데.

탄창을 삽입하는 을 보면 유난히도 부피가 크죠?
크리스는 그곳에 노리쇠를 넣어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이죠.
즉.. 일반소총은 노리쇠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니 개머리판쪽으로 반동이 쏠리고.
크리스는 수직방향으로 노리쇠가 움직이니 반동은 아래쪽으로 쏠리는겁니다.
솔아솔아 13-07-20 00:30
   
말로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니.
영상으로 올려드르겠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7Ur4tWh5jrY
크리스소총의 작동원리
http://www.youtube.com/watch?v=M7GTZ0DixqA
일반적인 소총의 작동원리
glhfggwp 13-07-20 00:34
   
반동을 많이 죽이진못했어요. 여전히 풀오토시 총구가 들립니다.
그래도 그나마 다른 기관단총보단 줄었지만.
     
glhfggwp 13-07-20 00:39
   
그리고 가장큰 문제가 어깨충격도 여전히 전해진다는거에요.

그리고 무지막지한 가격. 민수용으론 성공할지모르나. 군경용으로는 사용될지의문입니다.
허각기동대 13-07-20 00:34
   
군필이라면 설명이 쉬울거 같고 미필이면 다소 힘들거 같은데 미필이라 가정하고 설명해볼게요.

일반 총은 노리쇠가 탄을 물고 총구에 집어넣으면 그때 방아쇠를 당겨 격발을 합니다.

그렇게 되면 총알은 앞으로 발사되고 그때 발생한 화약의 가스가 통로를 통해 뒤로 빠져나와

노리쇠를 뒤로 밀죠. 이게 자동소총의 기본 발사 매커니즘입니다. 이때 충격이 어깨에 전해지면서

 발사시 총구는 약 좌상방 45도이상 되는지점으로 튀게되지여. 이 반동이 정확한 연사 탄착점을 어렵게

하는 변수입니다.  저 기관단총은 탄알을 물고 총구에 집어넣는 노리쇠 운동을 가스에 의해 뒤로 밀리

는 수평운동이 아니라 굴절형 구조로 만들어 탄을 쏘고난뒤 가스의 압력을 받으면 저기 방아쇠 앞의

두툼한 총기 몸통의 하방으로 움직이게끔 고안을 한거에요. 앞에서 말했듯이 수평운동방식의 총구는

발사하면 상방으로 튀는데 이 총은 그 순간 묵직한 노리쇠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무게균형을 맞춘다는

얘기에요. 그래서 저 총은 연사를 해도 거의 일정한 방향으로 탄이 발사가 되게 됩니다.

조금 이해가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설명이 허접해서.
미라이나 13-07-20 01:07
   
위에분이 잘설명해 주셧네요 간단히 요약하자면
보통의 경우 반동으로 인해 총구가 위로 들립니다. 특히 연사할경우 탄착점은 꾸준히 위로 형성이 되죠
이반동을 아래로 향하게 함으로써 반동을 줄이고 총구가 들리는걸 방지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조준사격을 가능하게 합니다.  ^^ 군대다녀오신분들이면 다아실듯 ^^
난디스 13-07-20 03:37
   
반동은 총구로 집중된 화력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죠.
보통 총알에 들어가는 화약 이래봐야 양이 적어 별거 아니지만,
폭발할 때의 화력을 총구로 집중시켜서 살상력을 가지게 된거죠.
이때 총구의 반대편인 사람쪽으로 반동이 생깁니다.
이건 어쩔수 없어요. 작용 반작용에 의해 발생되고, 위의 크리스도 이 반동이 보이네요.

중요한 것은 보통 이 반동으로 인해 총구가 위로 들리게 된다는 거죠.
이는 총구에서 발생된 반동과 그것을 버텨주는 고정점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아서 그래요.
                              <------[총구]
[개머리판/손잡이]----->
일반적으로 이런식으로 힘을 주고받다보니, 총구가 위로 들려버리죠.

크리스는 우선 손잡이를 총구와 최대한 일직선상에 위치시켜려고 고안된 구조이죠.
그래서 견착된 상태의 사격은 기존의 소총류와 별 차이가 없어요.
요즘 소총들의 개머리판의 위치와 반동흡수장치 등이 잘 되어있거든요.

하지만, 권총과 비교하면 얘기가 달라지죠.
고정점으로 손잡이가 유일한 권총으로선 총구가 위로 들리는 상황을 막을 방도가 없죠.
추가 개머리판을 장착해도 손과 팔이 받는 부담을 어깨로 나누어 주는 정도뿐이죠.
이때 저 크리스의 구조가 제몫을 해주는 것이죠.
여러 영상들을 살펴보니, 저 총은 개머리판이 없어도 총구가 많이 들리지 않네요.

마지막으로 반동자체를 줄이려면 총의 무게가 무거워야 됩니다.
총구로 몰린 폭발을 총의 관성으로 버티는 것이죠. 관성은 질량에 비례하거든요.
드뎌가입 13-07-20 19:45
   
설명 잘봤습니다.
총구랑 손잡이 위치를 가능하면 같은 위치에 놓아서 회전력 발생을 줄이려고 했다는 것도 이해했습니다.
답변 고맙습니다.

근데 K2 소염기 부분에 구멍 세 개. 이거 사실 설명만 그럴싸하지 별 도움되지 않는 거 같던데.
보통 제 위치를 벗어난 소총도 꽤 되었던 거 같고(창정비나 지원정비같은 걸 다녀온 소총이겠죠? 설마 공장출고 A급이 그렇지는 않겠죠) 그거 상관없이 잘 쏠 녀석은 잘 쏘는 수준이니.
상당한 표본을 가지고 통계를 낸다면 뭐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개인이 느낄만끔 도움은 안되는 거 같았거든요.
여튼 야간사격에 도움되라고 박아놓은 그거랑 비슷하게 쓸모없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