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1-15 11:05
[질문] 현무3 순항미사일 정보 찾다가 발견한건데
 글쓴이 : 일빠싫어
조회 : 9,033  

pyo[1].jpg

1500으로도 모자라 사정거리를 2배로 늘린 순항미사일을 개발 중이라는 자료가 있네요
(저 1500도 주변국을 의식하여 축소 발표한 것 같기도 하지만요)
 
근데 순항미사일이 한미 미사일 협정 대상은 아니라지만 저 현무3 발표했다면 미국이 뭔가 신경쓰고 제제하려 했을 것 같은데 그런 건 없는 건지 궁금해지네요.(제 생각이지만 예전에 미국이 한미 미사일 협정에서 사거리 800으로 늘리는 걸 허락한 게 아마 이것 때문이 아닐까 싶다는 생각도 드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NDolphin 13-01-15 11:10
   
일단 나로호성공하면 대륙간 미사일 개발은 80%완료된거나 마찬가지니 일단 전력은 북한에 주력하고 우주산업에 박차를 가하는게 좋을거같습니다.
     
호랭이님 13-01-15 11:31
   
나로호 성공해도 우리에게 대륙간 탄도미사일 기술이 남는게 아닙니다. 대륙간 탄도미사일은 고체연료를 이용한 발사인데요,,
나로호는 고체연료추진체도 아닐 뿐더러 1단로켓이 러시아산이기 때문에 대륙간 탄도미사일 기술을 80% 달성한거라는 님의 주장에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나로호는 그렇게나 애매한 존재입니다. 물론 성공하면 좋지만요
          
NDolphin 13-01-15 17:55
   
현재 75톤규모의 1단로켓까지는 개발된걸로알고있습니다.
러시아 1단로켓이 170톤이였고, 탄도미사일은 고체액체연료 둘다사용합니다. ^^
북한이랑 중국이 고체연료만 고집하고 다른국가들은 액체 고체 둘다사용하구요.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1단이 45톤이였구요
미국 아틀라스 탄도미사일 1,2단 합쳐서 160톤으로 알고있습니다.

아직도 설득력이 없나요??

1단이 75톤정도면 인도네시아까지는 보낼수 있을거같은데..
               
스마트MS 13-01-15 19:24
   
이 부분 과정을 좀더 살펴 본다면. 필요로 하는 시간은 생각외로 많다고 느끼실겁니다

개발중이지 개발완료가 아니 현실에서
30t급. 추력으 로켓 실험 2회 성공을 경험삼아
(연소실험은 30t급까지가 한계일텐데..)
본격적으로 75t급을 개발 진행. 4개를 붙인 다단식 로켓개발을 행하는 계획은 잡혀 잇지만
75t급 연소실험설비 조차 국내에 미미한 환경속. 200t급 까지의 길은 멀답니다
개발이 되건. 이제 실험을 위하여.  시 작하는 제품

시제품이며. 이것 역시 실험에 난항이고
더욱 문제인건.국회의. 검은 손길.  예산삭감의. 공포죠

최대 10년이상. 최소 10년 이내는 기다려야 자력개발이 가능한 분야이며
해외 파트너 국가가 잇으면 단축이 가능한. 우주항공분야의 로켓개발이니다
               
스마트MS 13-01-15 19:30
   
잠깐만요

북한이. 고체연료 로켓이 잇다고야?

북한에 고체는. 아주 옛날 초기 100km가 안되는 미사일 소량과

그나마 가장 최신형이라는. 독사밖에 없어요
스마트MS 13-01-15 12:13
   
글쎄요. 협약과 현무의1500급 사거리의 연관성은 거리감이 잇다고 생각 되네요
 
아음속의 제한된 중량의  재래식 탄두 1500키로를 날으려면. 30분이상의 시간이 다소 많이 필요로 하겟죠

미국이야 토마호크 후속작. 페스트 호크란 카드를 준비중이니 딕히. 한국의 순항분야까지. 건들일 생각이 없는게 아닐까 하네요
     
일빠싫어 13-01-15 12:32
   
음 확실히 미국 입장에서 한국 순항미사일은 그냥 어린아이 장난감 정도로 여기는 것일수도 있겠네요.(그래도 중국은 우리가 저거 발표하니까 꽤나 신경질을 내긴 했지만요)
          
스마트MS 13-01-15 12:34
   
탄두에 뭘 집어넣느냐의 차이에. 신경질을 부리는거엿겟죠 ㅎ
블랙맘마 13-01-15 12:39
   
한국에 있어 순항미사일의 전략적인 의미를 고려하면 여기에 재래식 탄두 집어넣어서 어떤 효과를 얻기는 사실 어렵죠.
탄두로 뭘 활용하느냐는 상황에 따라 전략적인 선택이 가해질 겁니다.
잠수함에도 이를 집어넣었다는 건 그렇게 활용할 의도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죠.
이스라엘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면...
허각기동대 13-01-15 15:18
   
순항미사일은 사거리가 긴게 큰 의미는 없습니다.  미사일의 위력은 속도와 탄두무게에 비례하니까요.

다만 어떤 방식이든 장거리 무력투사가 가능한 수단을 갖고 있다는 것과 이를 운용해본다는 경험만큼은

그런 전력에 익숙치 않은 우리로서는 필요한 일이겠지요. 현재 루머로는 초음속 순항미사일의 개발도

많이 진행되었다고 흘러나오는데 이건 확인된 사실은 아니고. 장기적으로 초음속 추진체계의 개발과

함께 중잠수함 전력의 확보가 비좁은 국토에서 우리 방어력의 생존가능성을 높여 줄겁니다.
뿍엑스 13-01-15 19:28
   
초음속으로 개발해야 되는대 초음속이 아닌것은 목표지점 가기전에 요격될 가능성이 높으니
     
라스푸틴 13-01-16 12:44
   
우왕 라바다 ㅋㅋㅋㅋㅋ
요새 사는 낙중의 하나에요 ㅎㅎ
라스푸틴 13-01-16 12:45
   
근데 순항미슬 기술자체는 하이테크아닌가요?
세계 몇 나라밖에 없다고 들은 것 같습니다.
미토콘 13-01-17 00:02
   
근데 대체 순항미사일이 쉽게 요격되어 별 쓸모가 없다는게 근거가 있는 소리임?
일단 순항미사일의 순항 고도 자체가 산악지형에서 요격되기 힘든 고도이고, 레이더 방공망이 무력화된 상황에서 요격하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건데 무슨 요격이 쉽다는 소리가 모범답안인냥 나오고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