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3-04 16:37
[영상] 한국-필리핀 공군 수교 75주년 맞이 우정비행
 글쓴이 : 노닉
조회 : 1,600  




한국과 필리핀 공군이 오늘(3일) 수교 75주년을 맞아 필리핀 클라크 국제공항에서 우정비행을 실시했습니다.

이번 우정비행에는 한국 공군의 블랙이글스 T-50B 8대와 필리핀 공군의 FA-50PH 4대가 참여했습니다.

T-50B와 FA-50PH는 형제 격 기종으로, 한국은 2014년 국산 항공기인 FA-50PH 구매 계약을 통해 필리핀에 12대를 수출했습니다.

오늘 행사에는 6·25전쟁 당시 필리핀이 파병한 참전용사 중 전사자 11명의 가족이 초청받아 의미를 더했습니다.

양국 수교 75주년을 기념한 이번 에어쇼는 오늘 우정비행을 시작으로 모레(5일)까지 계속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igma6 24-03-04 17:45
   
유엔참전국 필리핀

필리핀의 6·25전쟁 참전은 군사적 지원이 어려운 상황 가운데 결정한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당시 필리핀은 독립 4년에 지나지 않았고, 공산당 반군과의 싸움이 마무리되지 않아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이었으나 6·25전쟁의 참전을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명예로운 일로 여기며 대한군사원조 결의로부터 시작하여 전차 18대를 급파하고 8월 7일에는 1개 보병대대 파병을 공표하였습니다. 미국·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전투병을 지원한 국가로 이름을 올렸고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가장 먼저 파병이 이루어졌습니다.

필리핀의 참전은 아시아에서 백인들이 전쟁을 주도하고 있다는 공산주의자들의 비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이었기 때문에 미국과의 합의에 따라 파병을 결정한 필리핀 정부는 공산반군 토벌작전에 투입된 부대 중 하나인 제10대대를 파병부대로 선정하고 독립적인 전투부대로 재편성하였습니다. ‘필리핀한국원정군(PEFTOK, 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 to Korea)’으로 명명된 이 부대는 1950년 9월 2일 필리핀 역사상 처음으로 해외파병식을 갖고 9월 15일 미 수송선편으로 마닐라항을 출발하여 4일 만인 9월 19일 부산항에 도착하여 10여 일간의 현지적응훈련을 마치고 사천으로 이동해 10월 1일 비행장 경비임무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6·25전쟁에 참전하게 되었고 제10대대·제20대대·제19대대·제14대대·제2대대 전투단이 교대하면서 한국에서 임무를 수행하게 된됩니다. 전쟁 초기부터 참전한 필리핀 대대는 낙동강방어선전투를 시작으로 38도선을 넘어 평양·군우리 까지 진격하였고, 1·4후퇴 당시 서울방어와 1951년 3월의 서울재탈환 작전에도 참가하였다. 또한 동부전선과 서부전선을 넘나들며 한반도 전역에서 유엔군 작전 전개에 함께 하였습니다.

6·25전쟁에 참전한 필리핀군은 약 1100~1400명 선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지상군 파병숫자를 유지하였고, 총 7420명의 필리핀 병사들을 한국에 파병하였습니다. 주요전투로는 율동전투, 글로스터대대구출작전, 크리스마스고지전투 등이 있으며, 수많은 전투와 작전을 수행하는 가운데 112명이 전사 또는 사망하고 299명이 부상당했으며 16명이 실종되고 41명이 포로가 되는 인명피해를 입었습니다. 각종 전투와 작전 가운데 필리핀군의 전투력과 책임감이 입증되며 당시 유엔군의 귀감이 되었습니다.

필리핀군은 전쟁기간 뿐 아니라 정전협정 이후에도 1955년 5월까지 부대를 한국에 주둔시키며 평화유지에 힘썼습니다. 특히 6·25전쟁이 일어나는 한반도 전역에서 전투를 수행하며 승리를 위해 싸웠고, 정전협정이 조인되던 1953년 7월 27일 당일까지도 포탄 사격을 실시하며 끝까지 진지를 방어하여 전술적 요지를 지켜냈습니다.

필리핀군은 용기와 희생은 그들이 수여받은 훈장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3회·을지무공훈장 8회·충무무공훈장 23회 등 수많은 무공훈장을 수여받았습니다.

[유엔평화기념관]
https://www.unpm.or.kr/un2022/sub.php?&MenuID=26&bCode=X10&cate=&st=&ss=&gotoPage=1&mode=view&bo_no=583
도나201 24-03-04 17:54
   
유엔참전국으로 인해서  우리나라 공여무기 1순위 대상국가죠.
JaneDoe 24-03-05 11:10
   
필리핀 FA-50 도색 예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