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9-19 14:16
[뉴스] ‘인공태양’ 시대 다가오나, 핵융합 난제 하나 해결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86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469&aid=0000234541







핵융합 연구소 국제핵융합실험로 초기 운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국가핵융합연구소는 KSTAR가 플라즈마


경계면의 불안정(ELM) 현상을 장시간 제어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핵융합연구소는 올해 KSTAR


실험을 통해 ITER가 요구하는 플라즈마 형상 및 성능 조건을 유지하며 34초간 ELM을 완벽하게 제어했다.


기존 핵융합장치들이 3,4초 제어에 그쳤던것과 비교하면 10배 정도 성능이 높은 셈이다. KSTAR는 ITER과


동일하게 초전도자석을 사용하는 핵융합장치인데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4가지 초기 운전조건을 모두 충족해


향후 ITER의 운전목표 달성에서도 앞서가게됐다. 또 핵융합에 필요한 플라즈마 이온 온도를 7,000만도까지


올리는데도 성공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7-09-19 14:16
   
     
뽐뿌맨 17-09-19 14:24
   
글 쓰기 하실 때요..
링크는 에디터 아이콘 하단부 오른쪽에서 7번째가 "하이퍼링크"라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링크 입력하세요.
친절하게 리플로 연결 안해도 됩니다..;;
hermitovers.. 17-09-19 16:21
   
핵융합 난제 하나 해결한 것은 축하할 일입니다.
그런데 ‘인공태양’ 시대가 현실화되 것이 언제쯤 될 것으로 예상들 하십니까?
     
마이다스21 17-09-19 16:25
   
최초 장기플랜 상 2050년 이후 에서
최근 속도를 내며 2035년 이야기도 나오는 걸 보면

2040년대 중반이면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hermitovers.. 17-09-19 16:36
   
2040년대 중반이면 광장히 빠르네요.
전 더 오래 걸릴것으로 생각했었지만요.
               
마이다스21 17-09-19 18:18
   
KSTAR에서 축척한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 실증로인 DEMO를 설계중이니
진척속도가 상당한것같아요.
미친파리 17-09-19 16:27
   
7천만도는 얼마나 뜨거울까요? ;;;
rozenia 17-09-19 16:31
   
2030년대면 본격적으로 그리고 경쟁적으로 인공태양의 시대가 열릴겁니다. 더불어, 소형화와 표준화를 어느나라가 먼저내서 특허화하는 것에 따라 전분야의 새로운 산업혁명 수준의 변화가 생길겁니다.
경불자조 17-09-19 17:06
   
7천만도는 그 뜨거움을 알수가 없는 경지죠..ㅎㅎㅎㅎㅎㅎㅎㅎㅎ 예전에 어디서 본거 같은데요...아이작아시모프인가...거기서 인공태양에...밤에는 검은색이 나오는 밤 조명이 생길거라는 얘기를 보긴 봣는데...이 기사보고 문득 생각이 나내요..ㅎㅎ
꾸물꾸물 17-09-19 17:33
   
1억도를 견디는 소재가 있어야한다던게... 도대체 1억도는 얼마야... 사람은 열이 40도만 되도 죽네 사네 하는데... ㄷㄷㄷ
좋은비 17-09-19 17:56
   
우리나라가 앞서가는 모습을 보니 흐믓합니다 지원이 많이되서 더좋은 연구환경에서 하면 분명 몇년후에 일낼거 같네요
기술털리지말고 잘지켜서 더 발전시켜서 2030년대에 산업혁명이 일어나서 부국이 됫으면 합니다
전쟁망치 17-09-19 18:28
   
결국 우주시대를 대비해야 하는 우리로써
인공태양뿐 아니라 소행성 자원채취하는 기술도 개발 해야 됩니다.
거기는 먼저 하는 것이 임자

더 나아가면 테라포밍을 위한 기술과 연계 되어야 하죠
     
좋은비 17-09-19 18:46
   
너무 나가신듯 하긴 언젠간되겟지만 기초과학도 부실한 나라고 로켓도 못쏘아올리는 나라에서

언제쯤 ....

저도 님 생각대로 됫으면 좋켓지만 현실은 정말 ㅜㅜ
          
전쟁망치 17-09-19 18:58
   
저는 좀 크게 그리는걸 좋아해서 ㅋ
          
바람노래방 17-09-20 01:51
   
소행성 자원채취를 꼭 로켓까지 다 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안엔 다양한 분야가 있죠!
룩셈부르크 처럼 소행성 자원채취 PF금융만을 지금부터 연구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그리고 진짜 돈을 로켓쏘는 나라가 아니라 돈 대는 나라가 벌겠죠
zone 17-09-19 19:13
   
좋은  소식. ...
태강즉절 17-09-19 19:20
   
저거 덕분에..진즉에 퇴직했어야할 고위직들 몇..파견이니 뭐니로 ..생명 연장하고 있다는..ㅎ
뱁새아닌 진짜  저 분야 최고 전문가들..원없이 연구해보니..느즈막 황혼에 ..째지는 달밤되시겠다는..ㅎ
깡통의전설 17-09-19 22:24
   
저거 좀 오픈 했으면 좋겠네요. 현재 몇도까지 올렸는지, 현실은 넘사벽인데 당장 손에 잡힐것 같은 희망 고문만 하고 있으니,
현재까지 플라즈마 상태로 30초동안 가두는데 성공했고, 핵융합은 실행하지 못했고, 7천만도 온도까지 올리지 못했다. 결국 몇도까지 올렸는지 알수 없다는 거군요
정말미친뇸 17-09-19 23:57
   
상용화하면 원자력 처리 골치덩어리
팔복 17-09-20 01:08
   
핵융합에 한국이 약한분야때문에 더욱 발전이 느려지고 있어요. 독보적으로 끌어올린다면 더욱더 높게 올라설수 있는데. 다른국가에서 따라오지를 못하니 걱정이될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