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10-31 00:29
[육군] AMS-Advanced Mortar System 도..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4,883  

충분히. 국방부 내부의 높으신 포덕후(;;;)분들의 레이더망 안에 들어와 있을듯 하며.
분명
 
깊은 관심을 갖고.추진했을법한데.
 
일반. 수송차량.. 군용트럭 후부에 장착되어 있던 박격포는. 있었지만.
 
아직. 궤도형 이건. 차륜형이건. 장갑차량의 차체를 이용한 AMOS는 아직 좀더 기다려봐야 하는걸까요?
 
2009_SeoulAirShow_2009_1024_0487.jpg

 
200908191743527368808A_1.jpg

게다가..
 
 
120MM 자주박격포 로서.
 
ceb300a67fd297c7ae0c495933e8d4af.jpg

keshet.jpg

id_ltt-hmmwv_platform_07_500.jpg

imagesCA2A9855.jpg

imagesCA89DH5H.jpg

lePzMrs-Wiesel-21.jpg

moerser_wiesel_2-mortar-system.jpg
트레일러 뒤쪽이나. 장갑내 내부. 또는 후부에 장착하는거에 비해
장갑차량에. 박격포 포탑을  얹으면.
amos.jpg

 
amos_3_of_9.jpg

amos_5_of_9.jpg

amos_6_of_9.jpg

amos_7_of_9.jpg

amos_l1.jpg

amos_l2.jpg

amos_l3.jpg

amos_winter.jpg

amos-fire.jpg

cv90amos.jpg

방향 전환이라든가. 혹은 근거리. 직사에도 괜찮게 활용될것처럼 보여서 상당히 끌리는 병기네요.
 
ORD_AMOS_on_Patria_AMV_lg.jpg

XA203.jpg

AMOS 계열중에서는
 
현재로선
핀란드와 스웨덴이 공동개발한 AMOS가 가장 목표로 삼을 만한. 모델이 될수 있을듯해. 참고해 볼만도 할듯하네요.
 
뭐. 자주포 또는 견인포등에 비해서 박격포가 가진. 한계. 명중률이라든지. 사거리 라든지. 기상조건에 따른  제한등 부족하겠지만.
 
군당국의 기술개발 능력이라면. 박격포 특유의 인원살상력을 증대시키거나. 사거리를 늘려보아.
 
적보병이나. 경장갑차 정도는 씹어먹을만한 물건이 등장하였으면 하네요.
 
물론. 상당히 기대도 되기도 하고요.
 
11년도에. 자주박격포 개발을 위해. 예산을 약간이나마. 운용했던것 같은데. 감감무소식이 희소식이겠죠?
2.jpg

미군이 개발중이라는 신형
박격포탄.
 
XM395 정밀유도박격포탄 같은것도 개발중이였던것 같은데...흐음... 잘못기억하고 있는건가..가물가물하네요.
A0111137911040690000.jpg

AMOS_Naval_Advanced_Mortar_System.jpg

cb90amos.jpg

cb90amos2s.jpg

nemo-navelboatlarge.jpg

솔직히........
 
 
이게 더  묘하게 끌림.....ㅎㅎㅎ
 
40MM 함포도 아니고... 박격포라니...구조적으로 중량이 가볍고 간단해서 오히려. 모터보트에도 쉽게 운용할수 있는걸까요? 상당히 신기한 물건이네요.
 
 
출처/ 구글/http://www.doppeladler.com/misc/amos.htm/http://www.military-today.com/artillery/amos_images.htm/합동성 강화를 위한 무기체계/기타등등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강성대국 13-10-31 00:49
   
몰라서 물어 보는건데요.. 고속정에 저런 고각포가 왜 필요한가요?(대함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그리고 탄 자체가 정밀 유도가 된다면 모를까 고속으로 움직이는 고속정에서 쏜 고각포가 과연 표적에 명중할수있나요?

하여튼 명중된다면 게임에서나 볼 듯한 대낙각도  머리에 그려지고..... 하여간 참 신기하네요...
     
tools 13-10-31 01:24
   
저런 고속정의 고각포는 모두 육상지원용 자주박격포 입니다.
스마트MS 13-10-31 01:07
   
아니죠. 고작 저런 작은 고속정에 가성비 대비 대함미사일을 날릴. 수상함은 없을듯하네요 ㅎㅎㅎ.북해 연안이나. 호수 강 하천 많은 북유럽에서. 연안에 대한 화력지원
     
강성대국 13-10-31 11:50
   
음. 육상 화력 지원용이군요... 그렇다면  빠른 기동력으로 사격포인트를 접수하고 화력지원 후
잽싸게 튀는 고속정인듯 한데. 아마도 사격시에는 기동을 멈추어야 하지 않을까 봅니다만.
그리고 파도가 높을시 저 작은 고속정은 엄청난 롤링이 예상되고 그런 환경의 방열에서는
정확한 화력지원은 기대하기 힘들지 않을까요?...(아군에게 탄 배달 안하면 다행일듯..)
          
Ciel 13-10-31 12:52
   
범선시대에 이미 박격포함인 봄캣치를 건조해서 운용했던 적이 있습니다.
자위적 선제공격의 유명한 사례인 1807년 영국군의 코펜하겐 폭격때에도 활용된 바 있죠.
지금과는 비교도 안되는 그 시절에도 유용하게 활용했었으니 무리없이 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탄 자체의 정밀성, 유도능력도 뛰어난 수준이니 더더욱...
Ciel 13-10-31 06:56
   
아래쪽의 함정들은 범선시대의 건보트가 생각나는군요.
운용개념이나 주목표물도 역시 비슷할 것 같네요.
drone 13-10-31 11:36
   
전 박격포는 자동화보단 휴대성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저런건 그닥 안끌리네요..
자주포는 폼으로 있는게 아니니
산악전에 쓸수 있게 휴대할수있는 박격포가 더 좋아 보입니다..
망치와모루 13-10-31 23:09
   
가성비에 화력까지 생각하면 이미 자주포가 있으니 쉽지 않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