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4-18 22:36
[해군] [공군]1974년 부터 배치되기 시작한 녀-24 와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5,478  

untitled.png

35d516_0e16621c37d7ad7172955cddbbf381ae_jpg_srz_965_340_85_22_0_50_1_20_0.jpg

19_ZXLM.jpg

2764.jpg

sablogin_su-24m_01_1200.jpg

0415-03-2-5.jpg

su2407.jpg

trumpeter02835reviewme_1.jpg

DDG75_03-04_11377-1200.jpg

US_Navy_090429-N-4879G-349_A_Harpoon_missile_is_launched_from_the_guided-missile_destroyer_USS_Donald_Cook_(DDG_75)_during_the_sinking_exercise_portion_of_U.jpg

100729-n-6935k-003.jpg


미해군. 주력 전투함 . 이지스 전투시스템이 탑재된 알레이 버크급

수상함과.

1974년부터 배치되기 시작한 전투폭격기이자.

전투기계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su-24 펜서.

러시아의 공군 해군. 그리고 우크라이나 공군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su-24

1979년 6월 초도비행이후.  1983년 부터 배치되기 시작한 24의 개량형

su-24 fencer-D 펜서- 디

동체를 재설계하여 연장하였고 이 길어진 동체안에. 기수에는 공격용 레이더와 그외에

PNS-24M 관성항법 시스템과 디지털 미션컴퓨터. 레이져거리측정기등 업그레이드를 이루며

1993년까지 생산된 기종이라고 하네요.

24M 펜서 -디의 수출형 (이라 쓰고 다운그레이드 버전이라 읽을수도 있)는

24MK 펜서 -디를 시리아 알제리 이란 리비아등에 팔아먹기도 하였으며


그외 버전으로 24MR-펜서 E 이란 전술정찰형 기종(공격용레이더/레이져-TV 시스템이 제거된)으로

측면감시레이더/ 항공촬영용 카메라 적외선 정찰시스템등이 탑재되었다고 하네요.

유니크한. 버전으론.

전자정찰형 기종으로 24MP 펜서 -F가 약 10여대 가량 생산되었다고도 하네요.

PS. 최고 속도 마하1.35

이러한 전투 폭격기와 해당 전투기에서 운용 가능한 대함 미사일의 조합이라면.

베이스라인 6. 플레이트 II에 해당되는 1998년 12월에 취역한 도날드 쿡를 위협하기엔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도 드네요.

뭐 중간짤방속의 모습처럼.


도널드 쿡 근처에서 비행하는 18슈퍼호넷처럼 근접한다음 공격은 흠좀 무리이겠지만.

대공미사일 SM-2가 먼저냐  대함미사일  KH-31A 먼저냐 승패를 결정하는데 중요해 보이네요.ㅎㅎ

그렇다면 다시.원점으로 이지스의 레이더냐. 녀-24의 지상관제냐로 넘어갈려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내일을위해 14-04-19 02:33
   
오리가 이깁니다. 절대로 수호이 저눔은 오리방공체계 못뚫습니다. 그리고 펜서 레이더로 오리찾아 삼만리 할동안 이미 오리는 펜서 락온걸고 있을 확율이 높습니다. 기본적으로 항공기 장착되는 레이더는 한계가 있어서 관제기나 지상레이더의 도움 없이 단독 작전은 힘듭니다. 그리고 대함공격을 할시 한대로 공격못합니다. 한마디로 다구리하는겁니다. 동시 공대함을 쏟아부어야 요격되지 않은 미슬이 함선을 타격하는겁니다.
호랭이님 14-04-19 13:22
   
펜서가 처음 나왔을 때는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서방측에서 긴장했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성능이 호구라는게 입증되어서 지금은 그다지 전략적으로 취급도 안하는거 같더군요.
펜서 성능 별로입니다.
푸우님 14-04-19 20:47
   
글쎄요..
미군도 러시아군한테는 왠만해서는 충돌
안하려고 회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펜서가 근접해서 시위를 해도 가만히 있었죠.
만약 팬서가 이때 대함미사일을 발사했다면
이지스함이라도 격침 되었을 겁니다.
너무 근거리라 대함미사일을 요격하기가
어려웠을테니까요.
     
내일을위해 14-04-20 00:55
   
그런 정치적인 이유라면 가능하겠네요. 하지만 펜서란넘 엄청 고물에요. 공격기라기보단 전폭기개념이죠. 저 공군나왓는데 공군안에서두 저런거 좋아하는사람들 모임이 있었는데 그때 나온얘기가 팬텀은 커녕 F-5에도 떨어질걸? 이런 얘기 나온 기종에요.
스마트MS 14-04-20 09:41
   
생각외로. 안습이네요 ㅎㅎ;;
가변익기라는 특이성을 제외하면. 공대지 임무수행의 공격기로서의 성능발휘라면
모를까. 함대방공은 커녕 단일전투함에 대한. 자함방공 을 뜷을. 대함능력은 부족하다는 거군요
킁. 폭탄셔틀.
의자늘보 14-04-20 23:25
   
비슷한 개념의 F-111 은 퇴역중이니까....
이 녀석은 이미 퇴역했어야 될 놈이죠. 서방측 무기라면...
저렇게 접근할 때까지 놔둔건, 어떻게 하나 보자는 것이겠죠.
만약 펜서가 미사일질이 아니라 총질이라도 했다가는, 미국이 참전할 아주 좋은 구실이 되었을 겁니다.
망나니 14-04-23 22:13
   
리비아전때 리바아공군 팬서들이 프랑스공군 라팔에 일반적으로 학살당한 전례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