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9-12 22:01
[영상] 미, 군사매체 K2 전차 세계1위로 선정, 폴란드 크비아트 코프스카 대위 인터뷰/번역
 글쓴이 : 레종
조회 : 3,305  

https://youtu.be/BibDo5DHtKo

세계 1위는 아니더라도 탑클래스인건 맞는거 같고 실전경험이 필요한데 어찌될런지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바람아들 23-09-12 22:12
   
레오파르트 당하는 모습 보고도 실전 경험이 하고 싶어 ?? 그냥 영상에 한번 씩 비춰가며 서구 언론으로 부터 괜찮은 탱크 소리듣는게 세일즈 하기에 좋아
푹찍 23-09-12 23:53
   
대놓고 한글 대박이네 ㅋ
도나201 23-09-13 00:39
   
문제는 한가지 조건이 붙는다라는 것.
APS 장착할때.  세계 1위라는 것.

현재 그렇게 따지면 . 이스라엘 메르카바 4  가 급상승한다라는 이야기임.

세계 차세대전차 개발시기하고 겹쳐서.. 일종의 공백기를 거치고 있는데.
문제는 이러한 공백기관련해서 .  이공백기에 팔아먹일수 있을만큼 팔수 있는 역량이 되느냐하는문제임.

실제로 현대로템의 K2 총양산대수를 1000여대를 보고 있는데 .
이건 국내에서 생산수량임.

결국 기술이전관련해서 부품공급하는 중소기업관련해서 엄청난 일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지금 노력중임.

현대로템은 현재 생산라인을 증설 계획을 잡고 있는데 .
이는 후에 K3 전차개발라인으로 옮길수 있도록 계산을 잡고 있는 상황임.

즉 생산라인 증설에 신규인력 2배를 뽑고 해서. 현재 가동라인을 증가한다라는 이야기임.

문제는  2032년 전까지  우리나라도 K2 전차 800여대 확보를 노력하고 있는중이고
K1E1 퇴역을 종용하고 있는 상황임.

500여대의 K1E1전차의 퇴역을 우선시하고 있어서 .  이 타이밍을 잡는것이 현재 가장 중요함.
그후. K3 전차도입으로 인한 K1E1의 퇴역을 순차적으로 잡고 있는 상황.

뭐 현재 계획은 그렇게 본다면.    향후 1~2년 내에.  500여대 이상을 더팔아야 한다라는 이야기임.
방탕중년단 23-09-13 09:04
   
그러게요.. 가벼운 무게만큼 방호능력이 의심스럽긴 하죠.
신소재가 한창 개발중인 요즘이라 무게=방호력이라는 공식이 깨지긴 했지만...
사커좀비 23-09-13 15:00
   
K-2전차 방어력에 대하여 이런 저런 말씀들이 많은데...
어차피 서방의 현용 3세대급 이상 모든 전차들은 전면 방호력은 비슷비슷합니다..
정확하게는 동종 전차의 주포로 동종 전차의 전면을 관통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방호력의 차이는 측면에서 갈리는데...
이건 해당 개발 국가의 기갑전술과 전략에 따른 설계사상에 따라 달라지죠...
우리 육군은 한반도 전장환경에 맞게 기동력을 살려 빠른 종심돌파에 중점을 두죠...
대규모 기갑전을 상정한 게 아닙니다..
한반도가 그런 대회전을 치를 공간도 없고요...

K-2가 대규모 기갑전을 상정해서 개발되었다면... 독일, 미국, 프랑스처럼 대형의 중전차가 되었을 겁니다..
In-Arm 현수장치는 개발되지도 않았을거고요...

K-2의 장점은 소형경량화(비교적), 기동성, 최상위급 사통장치, 네트워크전 체계(C4I 등)입니다..
그런데.. C4I 훈련은 하는지 모르겠네요..ㅎㅎ
     
slrkanfk022 23-09-13 15:18
   
K2는 보기륜 하나 빠져서 길이가 약간 줄어들고
높이도 낮춰서 체적을 줄여서 그렇지
방어력은 거의 비슷함.

윗면 다 약하고 옆구리는 rpg7정도만 방어가능.
전면은 대동소이하고
벽골재 23-09-14 06:15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