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8-05 01:27
[육군] 질문있습니다.
 글쓴이 : 고추잡채
조회 : 1,304  

국내 대공방어무기중에 대표적인 천마 비호 신궁.. 이렇게 세가지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한때 아파치수입에 열광했고 제공권만 확보되면 아파치가 육군에 무적인걸로 알고있었습니다.
 
다큐멘터리 보니깐 저 세가지 방공무기는 단거리 저고도 비행기에 특화된거라고 하는데..
 
그런데 우리 대공무기로 아파치급 헬기를 먼저 포착해서 요격할수있는 능력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불꽃요정 13-08-05 02:23
   
기본적으로 헬기는 기계화된 대공무기체계에 먼저 발각이 되어 선빵당하면
빠져나오는게 사실상 거의 힘듬.........
개떡 13-08-05 04:29
   
헬기 자체가 전투기보다 느리고 비행고도도 낮기 때문에 왠만한 대공무기에는 거의 취약하다고 보면 될듯요.
고추잡채 13-08-05 09:18
   
아아 그렇군요.. 그럼 아무리 아파치라도 무턱대고 들어가서 타격하는건 위험하겟네요..
흑룡야구 13-08-05 09:22
   
천마, 비호, 신궁들은 기동성이 뛰어나며 중저고도 비행체에 대한 요격을 맡고 있는 방공체계입니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기갑부대의 대공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갑부대는 전차와 무장 장갑차, 후방의 자주포를 중심으로하는 기동 전력입니다. 이들은 대전차 공격헬기, 지상 공격기에 매우 취약합니다. 때문에 이들을 향한 공중 위렵에 대한 방공이 필요하며 그것이 바로 천마, 비호, 신궁 등입니다.

천마는 고성능 미사일을 탑재하여 기갑부대 방공망의 선두이며 가장 먼 거리의 비행체 요격이 가능합니다.

비호는 30mm 고속 기관포를 탑재하여 근접하는 비행체를 요격합니다.

이는 마치 전투함에서 사용하는 방공체계인 시스페로우-골키퍼 체계와 비슷합니다.

신궁은 휴대용 대공 미사일로 대부분 근접하는 적의 공격헬기나 수송헬기, 저속 비행체에 유효한 장비입니다.

헬기의 경우 저속 기동성이 뛰어나 지상 공격 임무에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나 롱보우 아파치 헬기의 경우 화력통제 레이더를 갖추고 은밀히 적을 탐색하고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유도 미사일로 헬파이어 미사일(볼케이노로 개량 중이라고 들었습니다.)을 장비하여 지상 장갑전력에게는 지옥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발사후 망각방식의 해당 미사일은 헬기가 표적에 맞을 때까지 자세를 유지하거나 목표물을 응시하지 않아도 되 더욱 높은 전투 효율성을 지닙니다.

하지만 헬기 자체가 저속의 비행체고 어디까지나 가시권 교전이 유효하기 때문에(물론 롱보우는 레이더를 이용해 비가시권 교전이 일부 가능하지만) 중저고도 대공 미사일을 피하기는 힘듭니다.

대신 기갑부대의 대공 장비는 별도의 상부 지령이 없는 이상 보이지 않는 표적에 대해서는 교전이 힘들기 때문에 공격헬기가 대공망이 의심스러운 기갑부대와 접촉할 시 헬기의 기동성을 활용하여 은엄폐하고 저고도로 접근하여 대공체계 부터 무력화 시킨다면 기타의 기갑차량은 제압이 용이할 것입니다.

이런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공 체계가 헬기보다 우세한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우리의 대공 체계는 전략 대공체계와 전술 대공체계로 구분하며, 고고도, 중고도, 저고도 대공 체계가 따로 있습니다.

주로 공군이 담당하는 전략 대공체계는 비공개인 원거리 요격 체계와 철매, 나이키 미사일 등의 중거리 요격 체계, 그 외에 여러 기관포와 휴대용 대공 미사일, 기갑 차량형 등의 근거리 대공 체계로 구분합니다.

우리 나라의 주요 도시, 특히 서울에는 대형 건물에도 대공 체계가 대치되어 있어 적의 공중 공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대공 체계의 핵심은 신속한 탐지와 판단 그리고 각 체계간의 영역의 중첨과 상호 보완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으홍이 13-08-05 09:52
   
1. F15도 무턱대고  한국방공망에 침투하면 위험하죠.

  다들 방공무기에 대한 위치, 유효 사거리, 탐지거리를 조사하고 지도로 만들어서  그 빈틈을 찔러가는 방식으로 침투를 합니다.    빈틈이 없다면,  만들어내죠.  대 레이다 미사일 등등등 같은 것으로 말이죠.


2. 저고도 공격헬기의  장점은  미사일 회피시에  고도를 내려버릴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중, 장거리에서 오는 대공 미사일 이라면 지형을 방패막이로 삼을 수가 있는게  장점이죠.

    근거리 대공무기의  경우는  일단은  교란체계와 장갑을 믿는것 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이글라와 같은 맨패드 대공미사일의 경우는  무게제한상  시커(탐지기)가 고급이 아니라  교란체계가 잘 먹힌다는 것 입니다. ( 서로서로 업그레이드 경쟁붙지여 )

    사실 이거 믿고  장거리 침투공격하겠다고 하는 분들도 있지만,  이 분들도  무턱대고 들어가는게 아니라  조사하고 틈을 만들고 들어가서  나오겠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전쟁 중, 후반기라면  할만한 상황이 될것이고  논쟁의 시점이 되는것은  전쟁초기때 문제입니다.
고추잡채 13-08-05 10:18
   
밀게분들의 군사 지식이 장난이 아니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풀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