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5-30 14:04
[잡담] 레이저 무기가 만능은 아닐겁니다
 글쓴이 : 미신타파
조회 : 3,909  

레이저란게 빛을 증폭 시킨건데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빛을 증폭시키려면 거울(rear mirror, front mirror) 같은 반사체를
사용해서 빛을 증폭 시킨다음
레이저 출력을 빼내서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그러니 빛을 증폭해서 레이저 만들 때 사용한
동일한 반사체나 물질을 이용하면
적이 쏜 레이저를 그대로 적한테 반사 시켜서
되돌려 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러니 레이저 무기가 만능은 아닐꺼고
특정 목적을 위해서 쓰이겠죠
lasersys.gif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드라이브1 15-05-30 14:30
   
미사일을 거울처럼 코팅하면 레이저무기 무용지물 아닌가요?
몽실통통 15-05-30 14:30
   
우리나라가 한참 해멘것이 저분야죠.
실험할때마다 반사체가 녹아나니까.

반사체가 단단하거나 그런게 아니라. 파장에 맞춰서 회전하거나 굴곡을 주죠.
그러면 지금 예시한 레이저와 약간 다른 모델이 나옵니다.

A를 해결하면 B가 막히고 B를 해결하니 다시 A가 말썽을 부리는 그것의 끊임없는 반복...
그러니 단단한 반사체를 이용하면 괜찮다는 것은 아니죠.
     
미신타파 15-05-30 14:51
   
레이저는 파장이 고정되 있지 않나요?
          
하린 15-05-30 20:17
   
발사한 쪽이 사용한 고유 파장을 알아야 막을 수가 있는데...

그걸 알아봤자... 거기 딱 맞는 반사재를 제작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죠...

결국 이론상으로만 반사가 가능하죠...
스마트MS 15-05-30 14:43
   
고반사율 처리된 표면에 부착하는 보호재료나. 고속으로 회전중인 물체에 대해서는
레이져 효율이 감쇄하여. 손상효과가 줄어들긴 하지만.
손거울로. 빛을 반사하는 놀이같은. 카운터 능력은.흐음. 불가능한것으로 보여지는데 말이죠.

첨부한 그림자료속,레이져 공진기의

거울과 거울 사이.

광자를 양 거울사이에 가두는 하늘색 네모칸. 밀도반전에. 사용되는.

매질에 대한 오차없는 정확한 정보와. 밀도반전을 위하여. 에너지원을 외부에서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펌핑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정보.

등.여러가지 사항을 정확히 알고 있지않는 이상. 역반사는. 흠좀.

기본적으로 미래에 등장할 광학병기의 방어책은. '감쇄'가 기본이고.  더 깊이 발전해야 '상쇄'가 가능할듯 싶지만.

'역반사'는.. 혹시 만약  가능하다면..  광학병기는  폐기해야 하는 무기체계일듯.싶어지네요.
     
미신타파 15-05-30 14:54
   
그런거야 빛을 증폭해서 레이저를 만들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사항들인데요 레이저도 그래바야 고출력
빛에 지나지 않으니 빛을 증폭해서 레이저 만들려면
반사체가 반드시 필요하고 출력 되어 나온 레이저는
단순한 고출력 빛에 지나지 않으니 일반 빛 처럼 당연히
반사가 되겠죠
주글랭말랑 15-05-30 15:04
   
빛의 약점이 뭐겠어요 ㅎ 거울 ㅋㅋ 반사! 유치했나요? ㅎㅎ
도나201 15-05-30 15:12
   
실제로 레이저무기의 반사체실험을 미국에서 한것으로 알려집니다.
뭐 결과는 ... 그리 자세한것은 아니지만...(예전 어느 언론에서 뉴스로서 잠시 다뤄진것으로 기억하는데)
각.. mw당.. 실험을 한것으로 알려지는데..

어느정도.. 반사체가.. .역활을 하다가... 어느정도 출력을 올리니 반사체가 파손되었다라는
가쉽성.. 기사가 있었던 기억이 있읍니다.
쿠르웰 15-05-30 15:24
   
반사라고 해도
세상에 빛을 100% 반사되는 물질은 없습니다.
다시말해 99.99%를 반사시켜도
0.01%의 에너지가 계속 반사체에 축적되고
반사체에 축적된 에너지를 견디지 못하면 녹기 시작합니다.

결국 반사체의 내구성을 높인다면
그냥 레이저 출력을 높이는 것만으로도 쉽게 대응이 가능한 수준이죠
진실게임 15-05-30 15:50
   
아무리 레이저가 직진성이 높다해도 상대 무기를 맞힐 정도의 거리라면 몇 킬로는 떨어져 있는 상황인데
효율이 대단히 낮죠.

대기 자체가 필터 역할을 하니까
무기 안에서 사용한 반사체가 받는 에너지에 비해서 적기가 맞을 때의 에너지 수준은 한참 아래라는 겁니다.

그러니 대충이라도 거울 효과를 가진 적기는 일부러 당하겠다고 멈춰서 세월 기다리지 않는 한 별 피해를 안 보겠죠.
상도실어 15-05-30 16:02
   
미사일에 반사체 바르면 졸라 비싼거아니네요?
잠원 15-05-30 16:17
   
거울들고 레이저빔을 반사시켜서 지구를 구하는  만화영화가 생각나는구먼.
사실이었다니..
spirit7 15-05-30 16:32
   
레이저 만능 아닙니다.
power desnsity가 높아야 하고 공기중의 흡수율 낮아야 하고 거리에 비례하는 분산(dispersion)을 극복해야 합니다. 더 큰 문제는 정확히 원거리에서 타겟의 표면에 정확히 조사해서 일정온도 이상으로 타겟의 온도를 올려야 하는데 시간이 몇 초정도 걸립니다. 파워를 1오더 이상  올리면 순간적 파과 가능할지도 모르나 아직은 기술수준이 거기에 이르지는 못한 듯.
이러저러한 문제 때문에 고속비행체의 요격은 제한될 수 뿐이 없습니다. SBL(space ased laser)로 근거리에서 공격하자니 low power laser 정도나 위성체에 실을 수 있습니다. 차라리 요격미사일 공격이 낫습니다.
그래서 ICBM의 경우 저속 boost phase에서는 레이저로 (왜냐하면 적의 미사일기지까지는 워낙 장거리라 레이저외에는 답이 없음), midcourse에서는 GBI, SM3, terminal phase는 THAAD, PAC3가 담당합니다.
문제는 부스트 페이스에서 미국이 레이저 공격시 러시아가 반사코팅 및 동체회전기법으로 방어할 수 있다고 큰소리 친다고 합니다.
타로 15-05-30 17:28
   
개발단계의 기술이 어떤식으로 발전할지 지금은 품평하기 힘들지요.
참치 15-05-30 18:21
   
결국 레이져 무기도 가성비와 출력의 문제인 겁니다.

레이져무기의 핵심소재와 부품으로 비행체나 소모적인 미사일 등에 둘러치는 것은 비용의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뚫기위해 레이져의 출력은 계속 높아지겠죠.

레이져 무기가 일반화 되기 시작하면 창과 방패처럼 이런 식으로 경쟁적인 발전이 이뤄질 겁니다.
ANINY 15-05-31 09:01
   
레이저의 가장큰 특징이라면,,, 비용같은건 둘째치고 운용상의 장점중에 가장 큰건 아무래도 요격탄(?)의 속도죠
요격을 할때 기본적으로 목표물과 요격미사일 두가지의 궤도계산이 필요한데 우리쪽의 요격미사일에 대한 탄도나 속도등은 무시해도 되니까요. 목표물의 현재위치만 알면 빛의 속도로 날아가서 요격이 가능하니....
요격성공율이 비교가 안되게 높습니다. 출력이라든가 다른문제들이 어느정도 해결되면서 레이저요격이 주력으로 쓰이게되면 미사일은 앞으로 정말 사용하기가 힘들어질꺼에요.

반면에 빛이라는 특성이 있어서 목표물에 물리적인 충격이 전혀 없다는것과 '반사'같은 빛의 고유특성이 단점이 되죠,,
요격미사일은 꼭 명중시키지않는다해도 대략 근처가서 폭발해도 폭발의 물리적인 충격에 요격되거나 아니면 미사일의 궤도나 목표를 비틀어버릴수가 있는데
레이저는 물리적인 힘이 전혀없어서 목표물에 직접 닿아야만 합니다. 그것도 현재 기술상 닿자마자 폭발하지않고 최소 몇초정도는 유지하고있어야해요.   
그리고 또 레이저가 가시광선을 증폭하는거라 빛을 반사시키는 물체에 약할수밖에 없습니다.
레이저를 만화처럼 튕겨내버리는건 아니고 아마도 코팅제나 표면재질등이 발달하게되면 레이저요격을 받았을때 데미지를 상당히 상쇄시킬수 있을거에요. 조사되는 레이저의 몇십%정도를 반사시킨다던가 뭐...  1초만 쏘고있어도 될걸 10초를 쏴야할수도 있게되는거죠
어쨋든 뭐 세상에 완벽한 무기는 없고 창과 방패는 항상 서로를 견재하며 발전해왔으니까 레이저를 방어하는 수단도 또 그걸 넘어서는 더욱강한 레이저나 다른종류의 무기도 계속해서 나오게 될거에요.
누런봉다리 15-05-31 09:28
   
저는 과학의 진보는 보완과 역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레이져 무기 자체가 단순하게 빛으로 물체를 파괴하고 레이져무기를 막을방법은 빛을 반사시키면 된다고 생각하자나요 근대 정말 무서운점은 과학의 기술은 진보하고 발전하죠 빛이 반사는 되겠지만 인간의 상상력에서 나온 과학기술은 그걸 능가 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레이져 무기가 최소 20년 뒤에는 얼마나 발전할지 궁금합니다
레이져 무기가 만약에 발전한다면 기존에 무기 체계는 한순간 고철 덩어리가 되는거고 만약 제대로된 발전을 못하고 한계에 부디 친다면 그냥 거기서 끝이겠죠 ㅎㅎ 지금 인간의 판단으로 반사니 대단하니 판단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흩어진낙엽 15-06-01 03:05
   
아무리 100% 반사한다고 해도 레이저를 쏘고 움직이면

반사하더라도 움직이기 전상태로 반사가 돼지않을까요?

그짧은시간에 움직임까지 계산해서 반사하기는 불가능에 가까울거같은데요